• 제목/요약/키워드: Usage Adoption

검색결과 252건 처리시간 0.027초

중간상과의 거래특성이 제조업체의 온라인 경로 활용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elationship Characteristics on the Adoption of Online Distribution Channels: The Case of Korean Manufacturing Companies)

  • 이민권;임영균
    • 한국유통학회지:유통연구
    • /
    • 제9권1호
    • /
    • pp.67-92
    • /
    • 2004
  • 본 연구는 국내 제조업체의 온라인 경로 활용이 중간상과의 거래특성에 의해 어떠한 영향을 받는가를 실증분석하고 있다. 국내 81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한 서베이 분석결과, 거래특성변수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취급되는 제품의 범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로기능별 활용도에 있어서는 거래특성변수 중 제조업체의 중간상에 대한 의존도와 제조업체가 인식하는 중간상의 기회주의가 제조업체의 온라인 활용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체로 이들 거래특성변수는 배달, 반품환불, A/S와 같이 전통적으로 오프라인 중간상이 수행하는 것이 보다 경제적으로 효율적인 기능에 있어 상대적으로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제품정보제공 기능의 활용도는 거래특성변수와 무관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상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제조업체의 온라인 경로 활용과 관련된 이론 및 실제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 PDF

OTT 서비스 이용 요인이 OTT 채택 및 요금 패키지별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Netflix와 Wavve 비교 분석 (A Study on the Influence of OTT Service Usage Factors on OTT Adoption and Acceptance Intention by Plan Package: A Comparative Analysis of Netflix and Wavve)

  • 김현진;진선우;박성복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301-313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UTAUT2 모델의 독립변인(성과기대, 노력기대, 사회적 영향, 촉진조건, 쾌락동기, 가격가치, 습관)들이 넷플릭스와 웨이브 채택의도 및 요금제 패키지별 수용의도에 어떤 인과관계를 나타내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총 308명에 대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넷플릭스의 채택의도에는 성과기대, 노력기대, 쾌락동기, 가격가치, 습관이 영향을 미쳤다. 둘째, 웨이브의 채택의도에는 성과기대, 사회적 영향, 가격가치, 습관이 영향을 미쳤다. 셋째, 넷플릭스의 요금제별 수용의도에서 베이직 요금제 수용의도에는 가격가치와 습관, 프리미엄 요금제 수용의도에는 성과기대, 습관이 영향을 미쳤으며, 스탠다드 요금제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넷째, 웨이브의 요금제별 수용의도에서 베이직 요금제 수용의도에는 가격가치가 부적 영향을, 습관이 정적 영향을 보였으며. 스탠다드 요금제 수용의도에 사회적 영향, 프리미엄 요금제 수용의도에 대하여 가격가치, 습관이 영향을 미쳤다.

모바일 채널 수용이 고객의 동영상 소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 연구 (The Impact of Mobile Channel Adoption on Video Consumption: Are We Watching More and for Longer? )

  • 최상아;이민형;최한별;이희석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25권3호
    • /
    • pp.121-138
    • /
    • 2023
  • 모바일 기술의 진보는 미디어 산업에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모바일 기기가 등장함에 따라 미디어 소비에서의 시공간적 제약이 사라졌다. 본 연구는 한국의 온디맨드 서비스 제공업체의 미디어 소비 데이터셋을 사용하여 모바일 채널의 도입이 개인의 영상 시청 행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모바일 채널 채택이 TV 기반의 총 영상 시청 시간과 시청 콘텐츠 수를 유의하게 증가시킨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모바일 채널이 기존 TV 채널에 보완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신흥 Over-the-Top(OTT) 시장에서 소비자 사용에 관한 이론 및 실무적 통찰력을 제공한다.

정보기술 활용 성과 분석-B제약회사의 사례를 중심으로- (An achievement analysis on information technology adoption-in case of comparison two pharmaceutical companies-)

  • 한계섭;정진우
    • 한국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시스템학회 1997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기업경쟁력 향상을 위한 정보통신 기술의 활용
    • /
    • pp.283-295
    • /
    • 1997
  • Comparing two pharmaceutical companies which one is adopted a leading-edge information technology for years but the other is still operated by the traditional business styles. This study presented the power of the impor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for improving business foundation for improving business foundation and the top manager have to control the resources of information technology more efficiently for rapid enterprise growth. Information technology adoptions should be considered as an assessing models which could performance the effects of user satisfaction productivity, performance and concentration on the job. The study results revealed that positive attitude toward usage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on information technology and helped more other than specific elements in the business. All the outcomes positively related to attitudes toward usage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its devices.

  • PDF

섬유.의류산업의 B-to-B EC에서 SCM으로 QR 수행을 위한 인터넷 활용 (Internet Usage for the Implementation of Quick Response as Supply Chain Management across Business-to-Business Electronic Commerce in Textile and Apparel Industry)

  • 오현남
    • 복식문화연구
    • /
    • 제9권1호
    • /
    • pp.100-110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Internet usage for the implementation of Quick Response Supply Chain Management across Business-to-Business Electronic Commerce in textile and apparel industry. This paper involves theoretical studies, which developed 3 step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of B-to-B EC, SCM, and QR, and provides broader awareness of new trend in the textile and apparel industry. SCM as one of B-to-B EC solutions introduced QR into the textile and apparel industry in 1985, and B-to-B EC is regarded as a means for achievement of QR with the widespread adoption of Internet technologies by businesses over the last four years. Finally, the Internet enables textile and apparel firms to access international networks of suppliers, distributors, and customers, so Internet-based B-to-B EC, SCM, and QR with Internet/EDI and XML/EDI are expected to become a central part in propelling fashion business into new directions.

  • PDF

An Empirical Analysis of Smart Signage and Its Market Delimitation

  • Kim, Hang Sub;Lee, Bong Gyou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9권8호
    • /
    • pp.2910-2927
    • /
    • 2015
  •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ease of use, usefulness, and hedonic desires affect the intention to use smart signage, based on market delimitations. Smart signage is at an early phase of adoption and its market can be divided broadly into indoor and outdoor markets. In this study, an empirical study model was established in conjunction with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which was applied to the IT area of a smart signage map and to a hedonic model. Empirical results showed that the key hedonic attributes affecting the intention to use smart signage include information delivery for the indoor environment and emotional and entertainment content for the outdoor environment. In the future, specific guidelines can be presented to boost the usage of smart signage through an empirical study based on the identification of external factors that affect usage intention.

기술준비도가 자동출입국 심사시스템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technology readiness on the usage of Smart Entry Service)

  • 최진호;박진우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71-76
    • /
    • 2013
  • This paper seek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echnology readiness on the usage of smart entry service.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passengers who were experience with smart entry service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tiliz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revealed that optimism had a positive impact on perceived usefulness and insecurity had a negative effect on perceived enjoyment. Perceived ease of use had a positive impact on perceived enjoyment, perceived usefulness and intention to use. In addition, perceived usefulness had a positive impact on intention to use. The results from this paper can be used as basic knowledge for developing the smart entry service activation plan.

지속 사용 행동이 실 사용량에 끼치는 영향: 모바일 웹을 중심으로 (The Impact of Continued Behavior on Real Usage: Focusing on Mobile Web)

  • 최훈;유성열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27-38
    • /
    • 2008
  • 정보 기술의 급격한 발달로 인해 다양한 상품과 서비스가 출시되고 있다. 하지만 지속적으로 사용을 계속하는 상품이나 서비스는 많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새로운 사용자를 유치하는 것보다 기존 사용자를 지속시키는 것은 기업의 효율적인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기존의 정보 기술과 관련한 연구들은 새로운 사용자를 유치하는데 초점이 맞추어져 왔다. 따라서 기존 사용자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연구는 매우 미미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웹 사용자를 대상으로 모바일 웹의 지속적 사용을 위한 지속 사용 모델을 개발하였고, 이러한 지속 사용 행동이 실제 사용량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모바일 웹의 지속적 사용에 중요한 영향을 끼치는 요인을 발굴하였고,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사후 기대인 사후 유용성, 사후 사용 편의성, 사후 즐거움, 사후 지각된 가치가 사용자의 만족, 사용 지속의도에 유의하게 영향을 끼쳤으며, 사용자의 사용지속의도 역시 모바일 웹의 실 사용량에 유의하게 영향을 끼쳤다. 본 연구 결과와 더불어, 만족과 사용 지속의도에 중요하게 끼치는 영향은 서로 다르게 나타나 만족과 사용 지속의도를 높이는 전략이 서로 다르게 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연구의 한계점과 실증적 시사점에 대하여 제시하고 있다.

종합병원 전자건강카드 도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Influencing Factors for Adoption of Smart Cards in Hospitals)

  • 안이수;윤석준;안형식;홍석원
    •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13-123
    • /
    • 2006
  • Objective : This research is focused on understanding the current status of the Health Smart Card already in use in other advanced countries. This research will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the medical institutions Health Smart Card system adoption process and its effects, and provide a basis for future policy decisions for the effective adoption and diffusion of a Health Smart Card system, in the medical field, through the completed research and analysis. Method : This research surveys the domestic, and foreign, status of Health Smart Card usage. The research also presents up-to-date methodology for the evaluation of the effects of medical and health care technology. The research also conducts a survey of the domestic medical institutions that have implemented a Health Smart Card system, and then analyzes the results of the survey. Additionally, the research carried out a survey and analysis of medical institutions with no Health Smart Card system implemented, and considered the factors affecting the diffusion of Health Smart Card systems in considering an effective policy for the introduction and diffusion of such a system. Research Results : Through the study of the methodology of medical and health care information technology in advanced countries, the methodology for assessing Health Smart Card technology has been established, and focuses on 6 aspects. The study on the status of foreign implementation has shown a model for the Health Smart Card system.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current status of medical institutions with an implemented Health Smart Card system, and the survey results have been analyzed. Also, factors influencing the adoption of Health Smart Card systems have been analyzed through the survey on those medical institutions that have not implemented a Health Smart Card system. Conclusion : The government must provide institutional measures for sharing medical records by constructing an IT infrastructure at the national level to enable the adoption and diffusion of a Health Smart Card system. Such a network will make connections between medical institutions possible, thus making the diffusion of the Health Smart Card system nationwide. For the successful adoption and diffusion of a Health Smart Card system, a model system development, under a medical record sharing system, should be conducted. Additionally, a regional unit based model should be developed for the model project, as is done in advanced countries, along with the application of such results.

  • PDF

가구의 정보통신수용도가 DTV 구매에 미치는 영향 micro data를 이용한 실증연구 (Effects of IT-related Household Demand Characteristics on DTV Adoption: An Empirical Analysis Using Micro Data)

  • 윤충한;김형준;김용규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64-181
    • /
    • 2007
  • 본 연구는 국가 경제적으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기술혁신적인 제품인 디지털 TV의 보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해 정보통신수용도를 중심으로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1,000개의 가구 설문조사를 토대로 구축된 미시 데이터(micro data)를 이용하여 가구의 DTV 구매선택에 어떤 요인들이 영향을 미쳤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이로부터 디지털 TV보급관련 정책에 함의를 찾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다른 설명변수의 조건이 일정할 때 가구 세대주의 학력이 높은 가구가, 소득이 높은 가구가, 통신 및 방송, 인터넷 등 정보통신 여러 부문에 대한 수용도가 높은 가구가 각각 DTV의 구매의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2010년에 아날로그 방송이 중단되며 디지털방송으로 전환이 이루어진다는 정책방향을 아는 가구가 이를 알지 못하는 가구에 비해 훨씬 구매의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정부의 디지털전환 정책 홍보가 디지털 TV의 보급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TV를 구입한지 오래될수록 디지털 TV를 구매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TV의 대체수요에 대한 인센티브를 줄 경우 더 많은 가구들이 구매할 것임을 보여 주었다. 끝으로, 디지털위성방송 시청가구가 그렇지 않은 가구에 비해 디지털 TV구매 확률이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나 DTV 확산을 위하여는 위성방송에 대한 정책과의 연계가 효과적이라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