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iversity Students' Economics

검색결과 1,471건 처리시간 0.028초

기술.가정교과의 식생활교육에 대한 중학생의 인식 - 제7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Dietary Education in Technology.Home Economies Classes - Focusing on the 7th Curriculum -)

  • 김윤선;강세진;이귀주;김유경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61-174
    • /
    • 2011
  • 본 연구는 현재 기술 가정교과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학교식생활교육에 대하여 중학생틀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경기지역 중학교 3학년 남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바, 유효응답자 444명 중 78.1%가 주로 기술 가정교과로부터 식생활 관련 지식과 정보를 습득하고 있었으며, 62.6%가'실생활에 도움이 된다', 67.3%가 '학교식생활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현재 시행중인 식생활교육지원법에 대해서 88.7%의 응답자가 모르고 있었다. 식생활교육영역을 총28개의 항목으로 세분화하여 질문한 결과, 전반적으로 관심도가 높은 항목일수록 실천도 역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든 항목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은 관심도 및 실천도를 나타냈다. '식사예절' 및 '청소년의 영양과 식사' 영역과 관련된 교육항목에 대한 관심이 높았으며 '식품 조리' 영역에 대한 관섬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학교식생활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에는 '청소년의 영양과 식사' 단원에 대한 관심도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성별, '식사예절' 단원의 실천도 등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 PDF

대학생의 시간관리 : 관련 변수 및 생활만족도와의 관계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학생을 중심으로 (University Students' Time Management : Affecting Variables and Correlations with Life Satisfaction - Focusing on the Students at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 윤용옥;김외숙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5권6호
    • /
    • pp.71-82
    • /
    • 2007
  • On this research we investigated variables affecting university students' time management and verify relationship between the time management and life satisfaction. 438 students at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in Seoul were questioned through questionnaires composed of 47 questions. Data was analyzed by t-test, one-way ANOVA,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nd Person's correlation. The variables affecting time management were religion(those who believe in organized religion vs. those who do not), individual income, family income, teaming experiences for time management and reading books related to time management. fender, age, marriage status and occupation didn't affect the time management of students. The relationships between time management and life satisfaction showed a little positive relation. Some proposals for future researches and practices are given.

노인에 대한 지식과 경험 증가가 대학생의 노인지각에 미치는 영향 (Changing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Toward the Aged: Effects of Knowledge and Experience of the Elderly)

  • 박경란;이영숙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37-51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about the elderly before and after an introductory course for gerontology. Sixty-two male and female undergraduat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as a part of the course requirement. Throughout the semester, theme students received a series of classroom lectures on gerontology, as well as participated in diverse activities to experience elderly lives. A survey was administered with the students at the beginning of the first day of class and at the end of the semester. By the end of the unit university students were more likely to have accurate conceptions of and positive attitudes toward aging and the aged. More specifically, they were more likely to (1) perceive "old" and "getting old" as a positive one, (2) seem older adults spend their time on active self-development and social activities, (3) view older adults are important, (4) change opinions about what an old person and young person do together, and (5) have a positive outlook on their own future lives as older adults.

중학생의 식생활 단원에 대한 인식과 활용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Utilization on Food and Nutrition Sec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 김은숙;고무석;정난희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53-70
    • /
    • 2005
  • 본 연구는 중학교 1학년 가정교과를 이수한 2학년 남녀 학생을 대상으로 중학교 가정교과와 식생활 단원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과 식생활 단원에 대한 필요도, 난이도, 실생활에서의 활용 정도를 조사$\cdot$분석하여 식생활 단원의 효율적인 교수 학습 방안을 마련하고 새로운 교육과정을 편성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정교과 학습내용의 인식은 '조리, 세탁, 육아 등 가정생활에 필요한 기능을 배운다' $(38.9\%)$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은 '건전한 생활 이념과 올바른 인간 형성에 관한 것을 배운다'$(27.5\%)$로 나타났다. 식생활 단원에 대한 학습내용의 인식은 '식생활 향상을 위한 식품 영양의 지식과 원리를 배운다'$(38.8\%)$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은 '가정생활에 필요한 실질적인 기능을 배운다'$(30.7\%)$로 나타났다. 식생활 단원에 대한 필요도는 청소년의 식사(3.95), 청소년의 영양(3.89), 조리의 원리와 음식 만들기(3.88)순으로 대체로 높은 편이며 식생활 단원 전체와 모든 영역에서 여학생이 높게 나타났다. 식생활 단원에 대한 난이도는 청소년의 영양(2.78), 청소년의 식사(2.70). 조리의 원리와 음식 만들기(2.59) 순으로 중간 정도의 수준이었다. 여학생이 식생활 단원 전체를 더 어렵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또한 청소년의 영양과 청소년의 식사를, 남학생은 조리의 원리와 음식 만들기를 더 어렵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생활 단원에 대한 실생활의 활용도는 청소년의 식사(3.28), 조리의 원리와 음식 만들기(3.15), 청소년의 영양(3.07) 순으로 필요도보다 약간 낮은 수준이었다. 남학생이 식생활 단원 전체의 활용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또한 청소년의 영양과 청소년의 식사를, 여학생은 조리의 원리와 음식 만들기가 높게 나타났다. 식생활 단원의 필요도 및 난이도와 활용도의 상관관계는 식생활 단원의 학습내용에 대하여 학생들의 필요도가 높을수록 식생활 단원의 모든 영역의 실생활활용도가 높게 나타났고 어렵게 인식할수록 식생활 단원의 모든 영역의 실생활 활용도가 낮게 나타났다.

  • PDF

중학교 가정교과와 타 교과 교과서의 '식생활 단원' 중복 내용 분석 -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가정, 과학, 도덕, 체육, 보건교과서를 중심으로 - (The analysis of duplicated contents of 'Food and Nutrition unit' of Home Economics and other subject textbooks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 양수정;채정현;유난숙;박미정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31-50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2009 개정 가정교과서 '식생활 단원'을 중심으로 타 교과의 교과서와 중복되는 내용을 분석하는 데 있다. 가정교과서의 '식생활 단원'과 타 교과의 교과서 중복 내용 분석을 위하여 과학교과서 I II III, 도덕교과서 I II, 체육교과서, 보건교과서를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정교과의 '식생활 단원'과 중복 내용이 많은 교과는 과학과 보건, 그 다음 체육, 도덕 교과 순이었다. 가정교과는 '청소년의 식생활 문제'와 '균형 잡힌 식생활', '녹색 식생활', '한국형 식생활'에 초점이 맞춰져 청소년들이 당면한 식생활 문제에 대한 이론적 기초와 함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까지 제시되어 있다. 과학교과서는 '영양소의 역할', '소화 흡수' 등에 관한 과학적 이론과 원리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체육과 보건교과는 '건강'에 초점을 맞추고 있었다. 도덕교과는 식생활 교육과 관련된 부분에서 '한국인의 정체성'과 '환경'을 중요시 하고 있었다. 가정교과는 식생활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청소년기의 특성에 맞추어 다루고 있었지만, 타 교과에서는 특정 영역의 내용만 제시하거나 예시적 성격으로 다루고 있었다. 이에 중학교에서의 식생활 교육은 전반적인 내용을 다루고 있는 가정교과를 중심으로 각 교과와의 중복 내용을 고려하고, 개별적 특성을 반영하여 실시한다면 효과적인 교육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중학생 공감능력 향상을 위한 가정과 공동체주택 수업 개발 및 실행 효과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Effects of Home Economics Community Housing Classes for Improving Empathy Abil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 김희선;지은영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61권3호
    • /
    • pp.361-373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apply a teaching-learning plan of apartment house class to improve middle school students' empathy for home economics education and to verify its effect. The study was conducted in five stages: 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using the ADDIE model. In the analysis phase, the study set learning objectives after analyzing how community housing is dealt with in the 2015 revised home economics curriculum and 12 current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xtbooks. In the design and development stage, in order to evaluate the validity of the experts and to improve the empathy ability, the study goal design, the composition of the learning elements, the development of the learning materials, and the pre and post-questionnaire for the students were developed. In the implementation stage, the empathic ability evaluation was carried out before and after the beginning of the first class by applying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plan of the 8th class. In the evaluation stage, we examined whether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developed in this study has a significant effect on empathy ability by evaluating the pre-post difference of empathy abilit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sults of the pre - and post - evaluation of empathy ability for the results of this study, both cognitive and communicative factors were improved, and the apartment house clas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empathy ability.

대학생들의 낭만적 애착과 대인관계문제에 관한 연구 (Romantic Attachment and Interpersonal Problems of College Students)

  • 박장희;조윤주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4권7호
    • /
    • pp.113-124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omantic attachment and interpersonal problems of college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20 college students in Seoul and A-san. The romantic attachment was assessed by the multi-item measure of adult romantic attachment (Brennan et al., 1998) and the interpersonal problems were assessed by KIIP (Cho & Park, 2005).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44.5% of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as fearful, 26.8% as secure, 18.6% as dismissing, and 10.0% as preoccupied. Second,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romantic attachment groups was found with the fearful group reporting a higher level of interpersonal problems than the secure and dismissing groups. Gender was a significant factor on independent problem in interpersonal problems. Third, avoidance and anxiety of romantic attachment dimension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interpersonal problems. There was a gender differ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voidance of romantic attachment dimension and overgenerous in interpersonal problems. Avoidance of romantic attachment dimension in female student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overgenerous in interpersonal problems.

고등학생이 지각하는 가족건강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igh School Students' Consciousness of the Family Strength)

  • 김현경;장상옥;유태명;최정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99-109
    • /
    • 2009
  • 본 연구는 변화하는 현대사회에서 고등학생의 가족건강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경남지역의 고등학생 598명이며,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의 가족건강성은 5점 만점에 평균 3.28점으로서 보통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등학생의 가족건강성에 유의한 관련변인은 한달 용돈, 아버지의 직업, 자아존중감, 효의식 등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등학생의 가족건강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효의식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볼 때, 고등학생이 지각하는 가족건강성이 보통수준으로 나타나, 고등학생의 가족건강성을 좀 더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고 본다. 또한 고등학생의 가족건강성에 가장 영향력을 미치는 변인이 효의식으로 규명되었으므로, 고등학교 가정교과 수업을 통해 효의식을 강화하여 고등학생의 가족건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 하겠다.

  • PDF

기술.가정교과 내의 '옷 만들기와 재활용' 단원에 대한 수업운영실태 및 교과내용의 적절성에 관한 연구 - 중학교 가정과 교사를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Classroom Operations and Adequacy of Curriculum Regarding "Clothes-making and Reuse" in the Subjects of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 Targeting Home Economics Teachers in Middle Schools -)

  • 김주경;오경화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25-37
    • /
    • 2008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materials that would enable students who take courses in the subjects of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o take the knowledge and technological skills they learn in the classroom and apply them to real life situations and to nurture their thinking power and creativity. To achieve these research objectives, a survey was conducted on 217 home economics teachers at 129 schools in the metropolitan area in order to assess their classroom operations and the adequacy of the curriculum regarding "clothes-making and reuse." The results showed that most of the schools surveyed have only one classroom for home economics and that a majority of them are cooking rooms. The most preferred place to practice making clothes was found to be the classroom. In addition, the use of teaching aids pertaining to clothes-making are lacking or in poor shape. Furthermore, analysis of the curriculum regarding "clothes-making and reuse" showed that most of the students use kits that contain materials for making clothes, due to a lack of practice hours. Most teachers thought that this section was appropriate for the school curriculum. In the more detailed categories, the students' ability to use sewing machines was the lowest, while the ability to sew by hand was selected as the most useful and most appropriate for real life situ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