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analysis of duplicated contents of 'Food and Nutrition unit' of Home Economics and other subject textbooks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중학교 가정교과와 타 교과 교과서의 '식생활 단원' 중복 내용 분석 -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가정, 과학, 도덕, 체육, 보건교과서를 중심으로 -

  • Yang, Su Joeng (Yangcheun Elementary School) ;
  • Chae, Jung Hyun (Dep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 of Education) ;
  • Yu, Nan Sook (Dep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Ec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Park, Mi Jeong (Maehyeon Middle School)
  • Received : 2014.11.21
  • Accepted : 2015.02.03
  • Published : 2015.03.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duplicated contents of 'Food and Nutrition unit' of Home Economics and other subject textbooks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the textbooks of "Home Economics I II", "Science I II III", "Ethics I II", "Physical education", and "Health education"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analyses were as follows. According to the analyses of the common contents with other subjects related to the 'Food and Nutrition unit' in the "Home Economics I II" textbooks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under the 2009 revised curriculum, the high percentages of the common contents were found in "Science" curriculum and "Health education" curriculum, followed by "Physical education" and "Ethics". It was observed that the Home Economics curriculum provided not only the theoretical basis about the dietary issues that the youth faces but also a plan to address those issues, as "Home Economics" textbooks were focused on 'dietary problems of the youth', 'balanced diet', 'green diet', and 'Korean-style diet'. The "Science" curriculum focused on scientific theories and principles, as the "Physical Education"and the "Health education" focused on health. In contrast, it was revealed that the "Ethics" curriculum considered 'Koreans' identity' and 'environment'. Overall as for the strength of 'Food and Nutrition unit' of "Home Economics"compared to those of other subjects, comprehensive contents for dietary life had been dealt with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adolescent in "Home Economics", while other subjects focused on specific contents or examples concerned with 'Food and Nutrition unit'. In this regard, the dietary education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will be more effectively conducted by "Home Economics", as compared with other subjects.

본 연구의 목적은 2009 개정 가정교과서 '식생활 단원'을 중심으로 타 교과의 교과서와 중복되는 내용을 분석하는 데 있다. 가정교과서의 '식생활 단원'과 타 교과의 교과서 중복 내용 분석을 위하여 과학교과서 I II III, 도덕교과서 I II, 체육교과서, 보건교과서를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정교과의 '식생활 단원'과 중복 내용이 많은 교과는 과학과 보건, 그 다음 체육, 도덕 교과 순이었다. 가정교과는 '청소년의 식생활 문제'와 '균형 잡힌 식생활', '녹색 식생활', '한국형 식생활'에 초점이 맞춰져 청소년들이 당면한 식생활 문제에 대한 이론적 기초와 함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까지 제시되어 있다. 과학교과서는 '영양소의 역할', '소화 흡수' 등에 관한 과학적 이론과 원리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체육과 보건교과는 '건강'에 초점을 맞추고 있었다. 도덕교과는 식생활 교육과 관련된 부분에서 '한국인의 정체성'과 '환경'을 중요시 하고 있었다. 가정교과는 식생활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청소년기의 특성에 맞추어 다루고 있었지만, 타 교과에서는 특정 영역의 내용만 제시하거나 예시적 성격으로 다루고 있었다. 이에 중학교에서의 식생활 교육은 전반적인 내용을 다루고 있는 가정교과를 중심으로 각 교과와의 중복 내용을 고려하고, 개별적 특성을 반영하여 실시한다면 효과적인 교육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