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lmus davidiana root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31초

당느릅나무(Ulmus davidiana Planch) 부정근 절편으로 부터 부정아 유도를 통한 식물체 생산 (Plant Regeneration Via Direct Adventitious Roots from Free Root Segments of Ulmus davidiana Planch)

  • 김지아;유향령;안창호;이재선;최용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6권1호
    • /
    • pp.83-88
    • /
    • 2007
  • 당느릅나무(Ulmus davidiana Planch) 기내번식 방법을 개발하기 위해 유식물의 뿌리로부터 부정근을 유도 한 후 이들 부정근 절편으로부터 부정아 유도과정을 거쳐 식물체를 재생시켰다. 기내발아 식물체의 뿌리 절편을 0.2 mg/L IBA 처리한 1/2 SH 배지에 배양한 결과 다수의 부정근을 유도할 수 있었다. 유도된 부정근으로 부터 절편을 만들어 부정아 유도를 위해 MS배지에 4가지 종류의 cytokinin(zeatin, 2-iP, BA, kinetin)을 첨가한 결과 0.2 mg/L kinetin을 첨가한 배지에서 가장 높은 부정아 유도율과 절편 당 부정아수를 얻었다. 유도된 부정아로부터 줄기생장 및 뿌리유도를 위한 실험에서 줄기 생장은 1/2 WPM배지에서 가장 양호하였고, 뿌리유도는 1/4 WPM배지에는 가장 양호하였다. 또한 기내 재분화묘를 기외로 순환시킨 결과 4주후 100%의 식물체 생존율을 얻었다.

유근피 추출물이 B6C3F1 마우스 신장에서 반응성 산소종의 발생과 제거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Extract of Ulmus davidiana Root on the Activity of Enzymes Related to the Removal of Reactive Oxygens in B6C3F1 Mouse Kidney)

  • 홍종연;송혁환;이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577-583
    • /
    • 2006
  • 유근피 추출물을 20주간 장기 복용한 B6C3F1 마우스의 신장에서 노화 및 생체 독성의 중요한 지표로 알려진 반응성 산소종 발생 및 제거에 관여하는 효소들의 활성 현화를 관찰하였다. 실험군을 1군(대조군), 2군(암유발군-DEN을 주사하여 암유발), 3군(유근피 복용군), 4군(유근피 암치료군-DEN을 주사한 후 유근피복용), 5군(유근피 암예방군-유근피를 먹이면서 DEN 주사)등 5개군으로 나누었다. 암을 유발시킨 군에 유근피 추출물을 투여시 4군 및 5군에서 암유발군에 비해 유의적(p<0.01)으로 감소된 xanthine oxidase 효소활성을 확인하였다. Cu,Zn-SOD의 활성도는 정상군과 처리군에서 큰 차이는 없으나 Mn-SOD의 활성도는 정상군보다 암유발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암유발군(2군)과 유근피 암치료군(4군)은 대조군 보다 catalase 효소이 낮았으며, 유근피 암예방군(5군)에서는 암유발군(2군)보다 catalase 활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암유발군(2군)에서는 glutathione peroxidase의 활성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발암물질 처리와 동시에 유근피 추출물을 처리한 유근피 암예방군(5군)에서는 기타 실험군에 비해 효소활성이 매우 증가하는 것으로 (p<0.01) 나타났다. 대조군(1군)에 비해 암유발군(2군)에서 지질의 과산화도는 매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근피 복용군(3군)에서도 유의적으로 증가(p<0.05)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암발생 후 유근피 추출물 식이군인 유근피 암치료군(4군)과 암발생과 동시에 유근피 추출물을 식이한 유근피 암예방군(5군)의 경우 암유발군(2군)보다 지질의 산화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Distribution of the Genetic Resource and the Biomass of Root Bark of Ulmaceae Species

  • Park, Dong Jin;Yong, Seong Hyeon;Yang, Woo Hyeong;Seol, Yuwon;Choi, Eunji;Kim, Hyeong Ho;Ahn, Mi-Jeong;Choi, Myung Suk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53권2호
    • /
    • pp.65-75
    • /
    • 2019
  • Stem and root of elm trees have used as traditional medical materials, but there is little information on the distribution and resources of habitats. Korean native growing Ulmus spp. (U. davidiana var. Japonica, U. parvifolia, U. davidiana, and U. macrocarpa) genetic resources studied through The National Forest Inventory of Korea data and field survey. The distributions of U. davidiana var. japonica according to elevation distributed evenly. Both U. parvifolia and U. davidiana were inhabited mostly at less than 200 m of altitude. Each Ulmaceae species widely were distributed nationwide, but a dominant species was different depending on locals. It observed that Ulmaceae inhabits mainly in steep slopes of 31-45 degrees. Most of the habitats regenerated by natural seeding and the most abundant species were a codominant tree. Distribution of trees in U davidiana var. japonica was 7 m-13 m, and in young U. parvifolia and U. macrocarpa, more than 25% of young trees less than 7 m observed. The distribution of the diameter of breast height of the U. davidiana var. japonica was 46.4% for 11-20 cm, 52.6% for 11-20 cm in U. parvifolia. The average T/R ratio was 0.83, and the mean weight ratio of root bark was 62%.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domestic Ulmaceae biomassare very small. It is difficult to harvest in that the habitat on the slope. Thus, it is too hard to develop functional materials using biomass at pres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technology for the selection and propagation of elite trees of Ulmaceae.

Effect of Alcohol Insoluble Residues from Stem and Root Barks of Elm (Ulmus davidiana) on Intestinal Characteristics in Rats

  • Choi, Yun-Kyung;Lee, Chang-Hyun;Lee, Moon-Won;Kwon, Jin;Song, Geun-Seoup;Kim, Young-Soo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3호
    • /
    • pp.380-384
    • /
    • 2006
  • Sprague-Dawley rats (n=32) were fed a diet containing basal (control), cellulose (5%), or alcohol insoluble residue (AIR) (5%) extracted from the stem and root barks of elm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Nakai) for 4 weeks. The effects of the diets, on gastrointestinal functions and morphology were evaluated. The weight gains, food intake, and food efficiencies for the cellulose and AIR diet-fed group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of the AIR-free (basal) diet. The gastrointestinal transit times of the stem and root bark AIR diets were significantly reduced (p<0.01) compared to the basal diet, and were slower than those of the cellulose diet. The fecal weights of the stem and root bark AIR diet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p<0.01) up to 4-fold compared to those of the basal diet. The height of the mucosal villi, and mucosal and muscle layer thicknesses of the colon were greater and more developed in the stem and root bark AIR diets (p<0.01) than in the basal diet. The villus heights in the jejunum and the colon mucosal goblet cells were more developed in the order of cellulose > stem bark AIR > root bark AIR diets.

Lignan and Neolignan Glycosides from Uimus davidiana var. Japonica

  • Lee, Mi-Kyoung;Sung, Sang-Hyun;Lee, Heum-Sook;Cho, Jeong-Hee;Kim, Young-Choong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4권3호
    • /
    • pp.198-201
    • /
    • 2001
  • Four lignan xylosides and two neolignan glycosides were isolated from the stem and root barks of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Their structures were identified as lyoniside, nudiposide, 5'-methoxyisolarciresinol-9'-O-$\beta$- D-xylopyranoside, isolariciresiol-9'-O-$\beta$-D-xylopyranoside, rel-trans-dihydrodehydroconiferyl alcohol 4'-O-$\alpha$-L-rhamnopyranoside and icariside E3 by comparison of their spectral data with those reported in the literatures, respectively.

  • PDF

유근피(楡根皮)에 존재하는 matrix metalloproteinase-9 억제 물질의 분리 및 정제 (Separation and purification of substance having matrix metalloproteinase-9 inhibition effect in Ulmus davidiana Plancn. var. japonica Nakai)

  • 한기정;이광수;공광훈;조성희
    • 분석과학
    • /
    • 제16권3호
    • /
    • pp.179-184
    • /
    • 2003
  • 극성이 다른 여러 가지 용매를 사용하여 느릅나무의 뿌리 껍질(이하 유근피)을 추출하였다. MeOH 추출물이 SK-Hep-1에서 분리된 matrix metalloproteinase-9(MMP-9)의 zymography에서 저해능을 나타내었다. 분리 정제한 물질의 분자량은 GC-MS spectrum에서 $M^+=281$인 것으로 나타났고 MMP-9의 활성은 $314.7{\mu}g/g$에서 47%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SK-Hep-1 세포주는 $31.47{\mu}g/g$에서 60%의 생존율을 나타났다.

유근피와 유백피 추출액의 유지에 대한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Effects of Ulmus davidiana Extracts on Various Oil)

  • 임용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07-116
    • /
    • 2010
  • Fish oil에 대한 유근피 및 유백피 추출물의 과산화물가를 측정한 결과 유근피는 모든 용매의 추출물에 대해 항산화 작용이 높게 나타났다. 0.1% 추출물 첨가구 모두 저장 6시간에는 30 meq/Kg을 보인 후 최종 18시간까지 40 meq/Kg이하의 과산화물가를 보여 저장 시간이 증가해도 산화 억제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0.05%의 경우 부탄올과 메탄올 추출물은 상업용 항산화제와 비교할 때 유사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유백피는 0.1% 첨가군에서 물, 부탄올 추출물이 가장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였다. 금속이온 첨가에 따른 각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는 유근피의 경우, 메탄올과 부탄올 추출물 0.1% 첨가군이 산화 억제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유백피는 에탄올 추출물이 가장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저장 시간 동안의 과산화물가의 변화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Perilla oil에서는 천연 항산화제인 $\alpha$-tocopherol의 항산화능이 전혀 나타나지 않았으나, BHT는 항산화 효과가 나타났다. 유근피 0.2% 첨가군에서 메탄올, 부탄올 추출물군은 거의 산화가 진행되지 않아 가장 항산화력이 우수하였다. 유백피 역시 0.2% 메탄올 추출물에서 높은 항산화력을 나타났다. 금속이온 첨가에 의해서는 모든 추출물 중 유백피 0.2% 메탄올 추출물이 가장 우수하였다. Lard에서는 각 용매 추출물 농도별 (0.05, 0.1%) 첨가군에 따른 각 추출물간의 항산화 효과에 따른 차이는 크지 않았으며. 금속이온 첨가에서도 0.05, 0.1% 첨가에 따른 차이는 크지 않았다.

느릅나무 뿌리껍질 성분의 유방염균에 대한 항균효과 (Effects of Root Bark Components from the Elm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on Mastitis Pathogens)

  • 신성진;윤민호;권순경;최우영
    • 농업과학연구
    • /
    • 제26권1호
    • /
    • pp.71-76
    • /
    • 1999
  • 젖소 유방염 병원균에 대한 느릅나무 뿌리껍질(유백피(楡白皮))의 항균활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용매분획별로 시험한 결과 일반적으로 chloroform 분획이 가장 효과적이었고 butanol 및 물분획의 활성은 낮았다. 유방염균을 Fleish extract broth에서 액체 배양할 경우에 chloroform 분획을 첨가하면 생육이 억제되었으며 특히 Staphylococcus aureus 및 Streptococcus sp. No. 12는 초기생육이 현저하게 저해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Hoechst 제약의 표준방법에 의한 MIC 시험에서도 유사한 결과를 얻었다. 또한 건조한 느릅나무의 뿌리껍질 100 g을 물로 추출하여 겉보기 점도 77.5 cP, 최대흡수 파장 440nm의 황갈색 수용성 점질물 4.500ml를 회수할수 있었다. 이를 정제 건조한 무게는 32~35 g이었으며, 탄수화물 함량이 $61.0{\pm}1.0%$, 단백질 $8.0{\pm}0.2%$로서 다당이 주성분이었다. 이상의 실험결과를 통해 유백피의 용매 추출분획물은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성분으로, 그리고 수용성 점질물은 흡수성과 점성이 높은 다당류로서 염증 부위에 수렴작용을 나타내는 성분으로 결론지을 수 있었다

  • PDF

유근피내의 Matrix Metalloproteinase-9 활성 억제제에 관한 연구 (A Study of matrix metalloproteinase-9 inhibitor in root bark of ulmus davidiana planchon)

  • 공광훈;한기정;이광수;조성희
    • 분석과학
    • /
    • 제18권2호
    • /
    • pp.104-111
    • /
    • 2005
  • 70% 에탄올로 추출한 후 농축한 유근피 추출물을 여러 용매로 분획한 부분들의 MMP-9 활성 저해능 실험에서 ethyl acetate 분획분이 MMP-9 활성 저해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분획분에서 MMP-9의 활성에 저해능을 나타내는 물질을 분리 정제하여 분석하였고 이 물질은 catechin 계열로 판명되었다. Zymography법에 의해 MMP-9의 활성 억제 효과를 관찰하였고 정제된 화합물은 MMP-9을 5 mM 농도에서 48%가 억제하였고 10 mM 에서는 43%를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상 세포주인 Chang 세포주와 인체 간암세포인 SK-Hep-1 세포주를 동일한 조건으로 배양한 후에 형태학적 변화를 관찰한 결과, 정상 세포주의 핵과 그 주변에서는 변화가 거의 관찰되지 않았으나 SK-Hep-1 세포주는 핵의 주위에 검은 반점이 관찰되었다. 세포의 증식과 살아있는 세포를 측정하기 위하여 MMP-9 억제물질인 정제된 추출물을 투여하고 MTT 검색법에 의해 ELISA reader로의 측정에서 정상세포주인 Chang 세포주에서는 1 mM에서 세포 활성이 오히려 증가하는 경향($130.77{\pm}13.71$)을 보인 반면, SK-Hep-1 세포주에서는 세포 증식이 상당히 억제된 것으로 나타났다.

채취 시기에 따른 느릅나무의 종자 형질 및 발아 특성 변화 (Change in the Seed Characteristics and Germination Properties of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According to Seed Collection Time)

  • 탁우식;최충호;김태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5권3호
    • /
    • pp.316-322
    • /
    • 2006
  • 느릅나무는 개화 후 결실에 이르는 기간이 매우 짧으며, 또한 단시일에 결실에서 낙과(落果)에 이르기 때문에 적정 채취 시기를 구명하는데 어려움이 많아 이를 해결하고자 채취 시기별 종자 형질 및 발아 특성을 관찰하고 유묘의 생장 및 생리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종자는 강원 정선지역에서 낙화 후 1주일인 2005년 4월 21일부터 7일 간격으로 채취하였다. 채취 시기에 따른 종자 형질 및 발아 특성에는 차이가 있었다. 종자의 크기는 채취 시기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수분 함량은 5월 5일까지 증가한 후 감소하였으며 실중은 5월 12일까지 증가한 후 감소하였다. 채취 시기는 종자 특성 중 종자 크기와 높은 정의 상관(r=0.790, p<0.01)을, 수분 함량과는 부(-)의 상관(r=-0.919, p<0.01)을 보여주었다. 발아율은 5월 5일 채취한 종자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후 시간에 따라 감소하였다. 평균 발아 일수, 발아 속도 및 발아 균일 지수 역시 5월 5일 채취한 종자에서 가장 높았다. 발아율, 평균 발아 일수 및 발아 속도는 실중을 제외한 모든 종자 특성과 상관성을 나타냈다. 종자 채취 시기에 따른 유묘의 상대생장율 및 엽록소 함량에 있어 5월 5일 채취한 종자의 유묘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느릅나무 종자는 외형적으로 건조가 시작되기 전 단계인 개화 종료 후 약 20일 후에 채취하여 파종하면 활력이 좋은 유묘의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