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V-B irradiation

검색결과 245건 처리시간 0.04초

자외선 B 조사 마우스에서 표피멜라닌세포 변화에 대한 헤모힘의 방어효과 (Protective Effect of HemoHIM on Epidermal Melanocytes in Ultraviolet-B irradiated Mice)

  • 이해준;김종춘;문창종;정우희;박혜란;조성기;장종식;김태환;김성호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36권2호
    • /
    • pp.93-98
    • /
    • 2011
  • C57BL/6 마우스에서 자외선 B(UV-B) 조사에 의한 표피 멜라닌세포의 변화에 대한 헤모힘의 효과를 관찰하였다. 마우스에 UV-B를 매일 $80\;mJ{\cdot}cm^{-2}$ ($0.5\;mW{\cdot}sec^{-1}$)씩 7일간 조사하고 헤모힘을 UV 조사 전 또는 조사 후에 복강내주사, 경구투여 또는 피부에 도포하여 멜라닌세포 형성 억제효과 및 형성된 멜라닌세포에 대한 미백효과를 dihydroxyphenylalanine (DOPA) 염색으로 관찰하였다. 마우스의 귀등쪽 표피를 분리하여 관찰한바, 정상대조군에서는 $mm^2$당 13~15개의 멜라닌세포가 관찰되었다. 멜라닌세포 형성 억제 실험에서는 평균치를 기준으로 복강내주사군에서 44.9%, 경구투여군에서는 35.6%의 억제효과를 보였고, 피부도포군에서는 30% 이상의 유의성 있는 억제 효과가 관찰되었다. 형성된 멜라닌세포의 감소 효과 실험에서는 평균치를 기준으로 복강내주사군의 경우 3주 및 6주에 각각 18.3%, 12.5%의 감소 효과가 관찰되었고, 경구투여군에서는 3주 및 6주에 각각 16.9%, 20.4%의 감소 효과가 관찰되었으며, 피부도포군의 경우 3주에 32.0%, 6주에 31.2%의 감소 효과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는 헤모힘이 UV에 의한 멜라닌세포 형성 억제제 및 미백제로서의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구성 단미생약, 유효성분, 멜라닌세포 형성 억제 및 형성된 세포의 감소 촉진에 관여하는 작용 기전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상이한 광질 및 광주기 하에서 UV-A LED 부가 조사가 상추의 생장, 안토시아닌 및 아스코르빈산 함량에 미치는 영향 (Growth and Contents of Anthocyanins and Ascorbic Acid in Lettuce as Affected by Supplemental UV-A LED Irradiation with Different Light Quality and Photoperiod)

  • 김용현;이재수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4권4호
    • /
    • pp.596-606
    • /
    • 2016
  • 본 연구의 공시품종은 적치마 상추(Lactuca sativa L., cv. 'Jeokchima')로서 파종 후 본엽이 4매일 때 식물공장 내에 설치된 DFT 재배시스템에 정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피크파장이 각각 450nm, 660nm, 365nm인 청색 LED, 적색 LED, UV-A LED를 이용하여 청색 LED (B), 적색 LED (R), 청색+UV-A LED (BUV), 적색+UV-A LED (RUV) 등 4개의 처리구를 설정하였고, 대조구로서 3파장 백색형광등을 사용하였다. 또한 광주기(명기/암기)에 따른 효과를 분석하고자 3수준(12/12h, 16/8h, 20/4h)의 광주기를 설정하였다. 식물공장 내 환경 조건은 기온(명기/암기) $22/18^{\circ}C$, 상대습도 70%, $CO_2$ 농도 $800{\mu}mol{\cdot}mol^{-1}$로 조절하였다. 한편 광합성유효광양자속과 UV-A LED의 조사강도는 각각 $230{\pm}11{\mu}mol{\cdot}m^{-2}{\cdot}s^{-1}$, $80{\pm}3mW{\cdot}m^{-2}$이었다. 정식 후 28일째에 측정된 상추의 엽수, 엽장, 엽폭, 엽면적, 지상부 생체중 및 건물중은 본 연구에서 적용된 광질 및 광주기에 따라 유의차가 인정될 만큼 다르게 나타났다. 명기가 증가할수록 R 처리구에서의 엽수, 엽장, 엽폭, 엽면적, 지상부 생체중 및 건물중은 증가하였다. 한편 B 처리구에서는 잎의 신장이 억제되었으나, 엽록소함량은 증가하였다. UV-A의 부가 조사로 인하여 엽장, 엽폭, 엽면적 및 지상부 생체중이 감소하였다. 그러나 상추 잎의 안토시아닌 함량은 청색광 하에서 많이 증가하였으며, 명기가 짧아질수록 높게 축적되었다. 한편 UV-A의 부가 조사에 따른 안토시아닌 함량의 증가 효과는 R 처리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상추 잎의 아스코르빈산 함량은 광주기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청색 또는 적색 LED에서 UV-A LED의 부가 조사에 따라 아스코르빈산 함량이 20-30%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상추의 생장, 안토시아닌 및 아스코르빈산 함량에 미치는 UV-A LED의 조사 효과가 분명하게 나타났다. 향후 폐쇄형 시스템에서 엽채류의 영양성을 향상시키는 데 필요한 UV-A LED의 운용 조건을 제시하고자 할 때 본 연구 결과가 기초 자료로서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다.

감광성 도판트를 이용한 풀컬러 구현 가능 반사형 콜레스테릭 액정 (Full Color Reflective Cholesteric Liquid Crystal using Photosensitive Chiral Dopant)

  • 박서규;김정수;조희석;권순범;유리레즈니코프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474-480
    • /
    • 2008
  • In order to make full color cholesteric displays, color filter-less R, G, B sub-pixel structured cholesteric LC cells have been studied. To make R, G, B colors, UV induced pitch variant chiral dopant was added to cholesteric LC mixtures. The concentration of the photo-sensitive chiral dopant was adjusted so that the initial state showed blue color and the color was changed from blue to green and red with increase of UV irradiation to the cholesteric cells. To prevent the mixing of R, G, B reflective sub-pixel liquid crystals, separation walls were formed using negative photo resister in boundary area between sub-pixels, Through the optimization of the material concentrations and UV irradiation condition, vivid R, G, B colors were achieved.

마우스에서 보중익기탕이 자외선 B 조사에 의한 표피멜라닌세포 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Bu-Zhong-Yi-Qi-Tang on Epidermal Melanocytes in Ultraviolet B-irradiated Mice)

  • 이해준;김환성;박영종;김중선;문창종;김종춘;배춘식;조성기;김성호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33권3호
    • /
    • pp.87-91
    • /
    • 2008
  • C57BL/6 마우스에서 자외선(Ultraviolet, UV) B 조사에 의한 표피 멜라닌세포의 변화에 대한 보중익기탕(Bu-Zhong-Yi-Qi-Tang, BZYQT)의 효과를 관찰하였다. 마우스에 UVB를 매일 $80\;mJ/cm^2$ (0.5 mW/sec)씩 7일간 조사하고, BZYQT를 UV 조사전 또는 조사 후에 복강내주사 또는 피부에 도포하여, 멜라닌세포 형성 억제효과 및 형성된 멜라닌세포에 대한 미백 효과를 dihydroxyphenylalanine (DOPA) 염색으로 관찰하였다. 마우스의 귀등쪽 표피를 분리하여 관찰한바, 정상대조군에서는 $mm^2$ 당 11-16개의 멜라닌세포가 관찰되었으며, UV 조사 일주일 후 발달된 가지를 가진 DOPA양성 멜라닌세포는 급격히 증가하였다. 멜라닌세포 형성 억제 실험에서는 평균치를 기준으로 복강 내 주사군에서 16.3%, 피부도포군에서 26.6%(p<0.01)의 효과가 관찰되었으며, 형성된 멜라닌세포의 감소 효과 실험에서는 평균치를 기준으로 복강 내 주사군의 경우 3주에 24.0%(p<0.01), 6주에 26.0%(p<0.01)의 효과가 관찰되었고, 피부도포군의 경우 3주에 5.2%, 6주에 12.5%(p<0.05)의 효과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는 BZYQT가 UV에 의한 멜라닌세포 형성 억제제 및 미백제로서의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Accumulation of Chlorogenic Acid as a near UV-shielding Compound in Cauliflower Grown under Enhanced UV-B Radiation

  • Shibata, Hitoshi;Tanaka, Tomoyuki;Yonemura, Takeshi;Sawa, Yoshihiro;Ishikawa, Takahiro
    • Journal of Photoscience
    • /
    • 제9권2호
    • /
    • pp.436-438
    • /
    • 2002
  • Since solar radiation contains wavelength essential for photosynthesis accompanying with near-UV light, UV-B effects on biological parameters and acclimation mechanisms are influenced by photosynthetically active radiation (PAR). Therefore, to elucidate near-UV shielding mechanism in higher plants, we cultivated cauliflower under usual solar radiation and increased UV-B from fluorescent lamps, two- or three-fold excess over continuously estimated UV-B dose in PAR during daytime, using computer regulated systems. Increased UV-B radiation had little effect on growth expressed as fresh weigh and leaf area. Water soluble low molecular weight compounds showing absorption in near UV region were enhanced according to the irradiated UV-B dose. One of compounds in cauliflower leaves was identified as chlorogenic acid. This was found to have no near-UV photosenSitizerable activity and is known to have an ability to scavenge a wide species of active oxygen. Another pro-oxidant compound that generates superoxide anion radical under near-UV irradiation was not induced by increased UV-B during cultivation, and identified as lumazine, a degradation product from folic acid.

  • PDF

광 조사에 의한 마늘의 알리신 함량 변화 (Changes in Allicin Contents of Garlic via Light Irradiation)

  • 정훈;이선호;윤홍선;최승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81-87
    • /
    • 2013
  • 최근 국민의 생활수준이 높아지면서 건강과 먹거리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항암효과나 항산화물질을 함유한 기능성 농산물이나 식품 등의 소비도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마늘은 항균, 항암, 항산화 등의 여러 가지 기능성 효과 때문에 건강 농식품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꾸준히 소비가 되고 있는 농산물이다. 특히 마늘의 알리신 성분의 증폭을 위해 최근 연구되고 있는 광 조사에 의한 알리신 성분 향상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한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깐 마늘에 형광등, 컬러등(녹색, 황색, 청색, 적색), 자외선등(UV-A, UV-B, UV-C) 등을 다양한 조건으로 조사 했을 때, 알리신 성분의 함량이 가장 많이 증가한 처리구는 UV-B 자외선등으로 700 mm 광원 거리에서 15초 동안 조사한 $0.129W/m^2$ (40 W) 강도의 처리구와 적색등의 700 mm 광원 거리에서 24시간 동안 조사한 126 lx (40 W) 조도의 처리구이며, 각각의 알리신 함량 변화는 $15.15{\pm}0.25mg/g$$15.15{\pm}0.34mg/g$ 으로 나타나 대조구에 비해 10%의 증폭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이들 두 처리구에 대해 광 조사 처리를 하지 않은 마늘과의 유의성 검증 결과, 5% 이하의 유의수준에서 광 조사 미처리구에 비해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광조사 처리에 의한 마늘의 알리신 등의 기능성 성분이 증폭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대량으로 마늘의 기능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처리장치의 개발 등으로 산업화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실내환경에서 자외선 조사 및 원적외선 차단이 월계수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UV-B Irradiation and Far-red Light Reduction on the Growth of Laurus nobilis in Indoor)

  • 후지와라 케이스케;토다 히로토;최동수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1-7
    • /
    • 2012
  • 실내 광환경은 자연 상태와 달라 실내 조경 식물의 생장 및 생리활성에 영향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본 연구는 광질(光質)이 월계수의 생장 및 생리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월계수 묘목은 4개의 다른 광원 처리구(control, +UV, -FR, +UV-FR 처리구)에서 180일 동안 생육시켰다. 자외선 추가 처리구(+UV)에서 생육한 월계수는 건중량 및 잎 면적이 감소되었지만, 잎 두께 및 잎내 자외선 흡수 물질의 함유량은 증가했다. 반면, 원적외선 차단 처리구(-FR)에서 생육한 월계수는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하지만, 자외선 추가 및 원적외선 차단 처리구(+UV-FR)에서 생육한 월계수는 신장생장 및 광합성 속도가 유의적으로 저하했다(P<0.05).이상의 결과, 광질이 실내 조경 식물인 월계수의 생장 및 생리활성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실내 조경 식물인 월계수를 관리할 때 광질을 이용한 관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Luminescence of $Eu^{3+}-doped\;GdCa_4B_3O_{10}$ phosphor under UV and VUV irradiation

  • Oh, Jae-Suk;Kwak, Chung-Heop;Jung, Ha-Kyun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06년도 6th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
    • /
    • pp.1355-1359
    • /
    • 2006
  • Due to its efficient red emission, $Eu^{3+}$ ion has been doped in various host materials. $GdCa_4B_3O_{10}:Eu^{3+}$ phosphor for red emission has been prepared by solid state reaction. Photoluminescence properties for the phosphor under UV and VUV excitation were investigated. The $GdCa_4B_3O_{10}:Eu^{3+}$ phosphor under both excitation conditions shows typical red emission spectrum centered at 611 nm with several weak peaks due to energy transfer from $^5D_O\;to\;^7F_J(J=1,2,3,4)$ of $Eu^{3+}$ ion. On the other hand, the activator content exhibiting the concentration quenching under UV and VUV irradiation is 10 mole% and 2.5 mole%, respectively.

  • PDF

Anti-Skin Aging Effect of Syriacusins from Hibiscus Syriacus on Ultraviolet-Irradiated Human Dermal Fibroblast Cells

  • Ryoo, In-Ja;Moon, Eun-Yi;Kim, Young-Hee;Lee, Ik-Soo;Choo, Soo-Jin;Bae, Ki-Hwan;Yoo, Ick-Dong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18권3호
    • /
    • pp.300-307
    • /
    • 2010
  • Photosensitized peroxidation of membrane lipids has been implicated in skin pathologies such as phototoxicity and premature aging. We have previously reported that syriacusin compounds isolated from Hibiscus Syriacus inhibited lipid peroxidation. Here, we investigated whether syriacusins could be effective inhibitor to skin aging using ultraviolet-irradiated human dermal fibroblast cells (HDFCs). Syriacusins A, B, and C inhibit the activity of human neutrophil elastase (HNE), a serine protease to degrade extracellular matrix (ECM) proteins including elastin, with $IC_{50}s$ of 8.0, 5.2, and $6.1\;{\mu}M$, respectively. No changes in cell viability were detected by syriacusins A and B in UV-B ($10\;mJ/cm^2$) irradiated HDFCs. Matrix metallo-proteinase (MMP)-1 expression in HDFCs was increased by UV-B irradiation. MMP-1 expression in UV-B irradiated HDFCs was decreased by $10\;{\mu}M$ and $20\;{\mu}M$ syriacusin A to 50% and 20% of untreated control, respectively. Syriacusin B treated with $20\;{\mu}M$ reduced MMP-1 expression in UV-B irradiated HDFCs to 60% of untreated control. Syriacusin A also inhibited MMP-2 expression accompanying the increase of type-I pro-collagen in UV-B irradiated HDFCs.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syriacusin A could be a more effective compound to inhibit skin aging caused by UV irradiation. It suggests that syriacusins A and B might be developed as possible agents to treat or prevent skin aging.

UV-B 조사에 의한 웨빙용 PET필라멘트의 취화 거동 (Degradation behavior in UV-B irradiation of PET filaments for webbing)

  • 김유겸;김갑진
    • 한국섬유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섬유공학회 2003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51-254
    • /
    • 2003
  • 자동차에 장착되어 폐차시까지 사용되는 안전벨트용 웨빙은 일정 수준이상의 인장강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여 착용자를 사고로부터 보호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섬유 제품이다. 그러나 차량에 처음 장착되었을 때의 초기 인장강도가 사용 기간 증가에 따라 점차 저하된다. 웨빙의 사용 시간 증가에 따른 인장강도 저하의 주요 원인을 구성 PET 필라멘트의 취화로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웨빙의 구성 소재인 PET 필라멘트가 환경 요인에 의하여 취화되는 과정을 확인하고자 온도와 UV-B 자외선 조사에 의한 가속실험을 실시하였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