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TAUT모델

검색결과 65건 처리시간 0.03초

자동차 보험 거래에 있어서 전자적 채널 이용 의도의 영향 요인: UTAUT 모델의 응용 (Determinants of Intention to Use Electronic Channel of Automobile Insurance: Applying the UTAUT Model)

  • 이미화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2권1호
    • /
    • pp.181-200
    • /
    • 2013
  • Electronic channel of automobile insurance has emerged as an attractive way of lowering costs and saving time to do the transaction for customers. Electronic channel refers to using web sites to find useful information on insurance products, buy automobile insurance, and ask for services related to the insurance. This study suggests a modified model of the UTAUT and examines the factors influencing intention to use electronic channel in the transaction of automobile insurance. Based on 203 responses from potential automobile insurance buyers, the results showed that performance expectancy, effort expectancy, social influence, service expectancy, and security risk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intention to use electronic channel.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age as a moderator influences the effects of performance expectancy and effort expectancy on intention to use electronic channel. The study results would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the factors to which managers of insurance companies should pay attention in order to increase their sales through electronic channel.

가상 피팅 서비스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 UTAUT2를 중심으로 - (Understanding factors influencing usage intention of virtual fitting services - An application of the UTAUT2 model -)

  • 정세리;정제라;신은정
    • 복식문화연구
    • /
    • 제31권4호
    • /
    • pp.489-503
    • /
    • 2023
  • This study utilized the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 2 (UTAUT2) to examine usage intentions associated with virtual fitting services. Six independent variables were examined: performance expectancy, effort expectancy, social influence, facilitating conditions, hedonic motivation, and habit. The study collected responses from 445 participants who had utilized virtual fitting services. Regarding factors related to usage intentions associated with these services, performance expectancy and social influence were found to significantly influence the usage intentions associated with photo-based virtual fitting services. Furthermore, performance expectancy, social influence, and habit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usage intention of avatar-based virtual fitting services. This suggests that higher levels of performance expectancy and social influence positively impact the usage intentions associated with both types of virtual fitting services, while habit influences only avatar-based virtual fitting services. Moreover, the findings confirm that effort expectancy, facilitating conditions, and hedonic motivation from UTAUT2 do not significantly influence usage intentions associated with virtual fitting services. By analyzing factors influencing potential customers' virtual fitting service usage intentions, this study can suggest effective strategies to increase usage intentions for companies providing virtual fitting services. Additionally, these findings can be utilized in the formulation of virtual fitting service marketing strategies.

보건의료분야에서의 인공지능기술(AI) 사용 의도와 태도에 관한 연구 (Study on Intention and Attitude of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n Healthcare)

  • 김장묵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53-60
    • /
    • 2017
  • 본 연구는 UTAUT 모델을 이용하여 보건의료분야 대학생들의 인공지능기술(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AI)의 사용 의도와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연구대상은 278명의 대학생으로, 2016년 5월 15일부터 6월 14일까지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성과기대, 사회적 영향, 업무의 유용성, 불안요인이 사용 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성과기대, 업무의 유용성, 불안요인은 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용 의도는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안요인과 업무의 유용성이 태도에 미치는 직접 효과가 사용 의도에 의해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들의 AI 기술에 대한 긍정적인 사용 의도와 태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사실에 근거한 정확한 정보전달과 막연한 불안감을 줄이면서 성과기대, 사회적 영향, 인지된 유용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UTAUT를 이용한 디지털 헬스케어 사용의도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Use Intention of Digital Healthcare using UTAUT)

  • 김태희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1호
    • /
    • pp.95-102
    • /
    • 2023
  • 본 연구는 UTAUT 모델을 기반으로 간호사의 디지털 헬스케어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고 임상경력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문항은 성과기대 3문항, 촉진조건 3문항과 지각된 위험 3문항을 추가하여 구성하였고, 구성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확인적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평균분산추출 .5이상, 개념신뢰도 .7이상, CMIN/df=1.797, GFI=.955, CFI=.979, TLI=.968, IFI=.979, RMSEA=.063으로 타당도와 모델적합도를 확인하였으며 내적신뢰도는 성과기대 .93, 촉진조건 .84, 지각된위험 .64로 나타났다. 회귀분석 결과 성과기대, 촉진조건, 지각된 위험은 사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임상경력은 지각된 위험이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절효과를 나타냈다(t=-2.159, p=.032). 따라서 디지털 헬스케어의 사용의도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성과기대, 촉진조건을 높이고 지각된 위험을 감소시켜야 하는데, 경력간호사의 역량을 활용하여 지각된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고령자의 스마트폰 활용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통합기술수용모델(UTAUT)을 중심으로 (Factors Affecting the Usage of Elderly People's Smartphones: Based on UTAUT Model)

  • 장현용;고준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6권1호
    • /
    • pp.143-169
    • /
    • 2017
  • Purpose With the increase of the elderly population, the growth of its information system related market is increasing. However, empirical studies for the usage of elderly people's smartphones are still limited.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seniors' smartphone usage behaviors. Design/Methodology/Approach First, a preliminary study was conducted with targeting seniors who have visited Gwangju Senior Technology Center(GSTC) in order to understand the factors that affect the intention of utilizing smartphones. Next, based on the preliminary study results and literature reviews including the UTAUT model, performance expectancy, effort expectancy and social influence were considered for the major factors affecting the usage of elderly people's smartphones. Also, the moderate effects of personal innovativeness and usage function were discussed. A questionnaire survey of 181 seniors visiting GSTC was analyzed to empirically test the research model. Findings By the empirical tests, the performance expectancy and the effort expectancy of the seniors had significant impacts on their smartphone usage behavior. While the moderating effect of personal innovativeness was not significant,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usage function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ormance expectancy and the smartphone usage behavio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guidelines to excavate the technical development and the niche market targeting the elderly people.

Analysis of Key Factors in Corporate Adoption of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on the UTAUT2 Model

  • Yongfeng Hu;Haojie Jiang;Chi Go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9권7호
    • /
    • pp.53-71
    • /
    • 2024
  • 생성형 인공지능은 그 광범위한 응용 범위와 깊은 영향력으로 인해 사회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본 논문은 통합 기술 수용 및 사용 이론 2(UTAUT2)를 기반으로 개인의 혁신성과 인지된 위험 등의 변수를 결합하여, 기업이 생성형 인공지능을 채택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연구하기 위해 종합적인 이론 모델을 구축하였습니다. 우리는 가설 경로를 검증하기 위해 구조 방정식 모델(SEM)을 사용하였고, 부트스트래핑 방법을 통해 수용 의향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였으며, 계층적 회귀 분석을 통해 인지된 위험의 조절 효과를 탐구하였습니다. 연구 결과, 성과 기대, 노력 기대, 사회적 영향, 가치 평가 및 개인 혁신성이 수용 의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수용 의향은 이러한 요인들과 사용 행동 사이에서 중요한 매개 역할을 한다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반면, 인지된 위험은 수용 의향과 사용 행동 사이에서 부정적인 조절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본 연구는 기업이 생성형 인공지능을 효과적으로 채택하는 방법에 대해 이론적 근거와 실증적 지원을 제공하며, 중요한 실무적 의의를 가집니다.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 기술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Influential Factors on Technology Acceptance of Augmented Reality(AR))

  • 정병규;동학림
    • 벤처창업연구
    • /
    • 제14권3호
    • /
    • pp.153-168
    • /
    • 2019
  • 증강현실(AR)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 서비스 기술 중의 하나이다. 시장 확산을 위해선 새로운 기술에 대한 소비자의 수용성 문제(public acceptance)는 대단히 중요한 이슈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반 소비자들의 AR기술에 대한 수용 내지 사용 의도나 사용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는 아직까지 많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AR산업에 있어서 확장된 통합기술수용 모델(UTAUT2)을 기반으로 기술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존의 연구와 비교를 통해 논의를 하였다. 연구 결과 기존의 UTAUT1 모형의 주요 요인인 성과기대, 노력기대, 촉진조건 및 UTAUT2의 쾌락적 동기, 습관이 사용 의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또한 본 연구에서 새롭게 투입한 인지된 위험(perceived risk)은 사용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쳤다. 이들의 영향 관계는 노력기대(${\beta}=.294$)>습관(${\beta}=.268$)>쾌락적 동기(${\beta}=.266$)>성과기대(${\beta}=.263$)>촉진조건(${\beta}=.233$)>인지된 위험(${\beta}=-.094$)순으로 나타났다. UTAUT1의 사회적 영향은 사용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사용 의도는 실제 사용과 추천의향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연령은 독립변수와 사용 의도간 조절 역할을 할것이라는 가설 검정결과 사회적 영향, 촉진조건, 쾌락적 동기, 습관과 사용 의도 간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일한 방법으로 성별의 조절효과를 검정한 결과 성별은 촉진조건, 인지된 위험과 사용 의도 간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확장된 UTAUT2모델을 AR기술 수용에 처음으로 적용하여 검정했다는 점에서 학술적인 의의가 있다. 실무적으로는 쾌락적 동기와 습관이 AR기술 수용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이 밝혀짐에 따라 이 부분에 대한 차별화 전략을 통해 경쟁우위를 확보해 나가는 것도 효과적인 전략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업무환경에서의 메타버스 사용의도에 대한 영향요인 연구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Usage Intention of Metaverse Services in the Work Environment)

  • 조원상;안현철
    • 지식경영연구
    • /
    • 제23권4호
    • /
    • pp.251-273
    • /
    • 2022
  • 메타버스는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2019년부터 시작된 코로나19의 대유행으로 인해 디지털화가 가속화되면서, 최근 가장 빈번하게 회자되는 용어 중 하나이다. 메타버스는 사용자 경험에 있어 전반적인 우리의 삶에 새로운 혁명을 가져올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특히 업무영역에서도 원격근무를 채택하게 되면서, 디지털 화상회의, 원격오피스 등의 가상 서비스, 즉 메타버스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업무환경에서 활용될 수 있는 메타버스 서비스에 대한 사용의도에 대하여 확장된 통합기술수용모델(UTAUT2: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 2)에 메타버스 특성을 나타내는 요인들인 자기표현 욕구, 원격 현전감, 그리고 테크노스트레스를 추가하여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분석하고 논의하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메타버스가 아직 많이 보급되지 않은 상황에서 현재 가장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으면서 업무환경에서 활용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PC 기반의 게더타운과 VR 기반의 페이스북 호라이즌을 잠재적인 사용자들에게 소개하고 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일반적인 메타버스를 대상으로 하여 주로 연구되었던 기존 연구와 달리 메타버스를 업무환경으로 적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의 기술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확장된 통합기술수용모델(UTAUT2)를 기반으로 새롭게 제시했다는 점에서 학술적인 의의가 있다. 실무적으로는 메타버스를 업무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기업에서 적용할 때 고려해야하는 요인들에 대해서 제언함으로써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혁신성이 SNS 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UTAUT를 중심으로 (Influence of the Innovativeness on the Use Intention in SNS: Focused on UTAUT)

  • 이문봉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177-186
    • /
    • 2012
  • SNS는 인터넷 상에서 비슷한 관심을 가진 사람간에 관계를 형성하고 정보나 컨텐츠를 공유하거나 인맥 관리 등과 같은 다양한 활동을 지원하는 서비스이다. 본 연구는 UTAUT를 기반으로 하여 혁신성이 사용 의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성과 기대, 예상 노력, 사회적 영향, 혁신성을 독립 변수로 하고, 성별과 혁신성을 조절 변수로 하여 연구 모델을 설정하였다. 403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증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과 기대, 예상 노력, 사회적 영향, 혁신성은 사용 의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예상 노력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은 조절 효과가 있는 반면에, 혁신성은 조절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의 경우 성과 기대가 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강하게 나타났으며, 여성의 경우 사회적 영향이 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강하게 나타났다.

스마트웨어 수용의도 연구: 확장된 UTAUT 모형을 중심으로 (Research on Intention to Adopt Smart Wear: Based on Extended UTAUT Model)

  • 성희원;성정환
    • 패션비즈니스
    • /
    • 제19권2호
    • /
    • pp.69-84
    • /
    • 2015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tention to adopt smart wear, based on extended UTAUT model. We examined the effects of performance expectancy (PE), effort expectancy (EE), hedonic motivation (HE), social influence (SI), facilitating conditions (FC), and price value (PV) on the intended adoption of smart watch and smart shoes, respectively. In addition, moderating effects of gender, age, and innovation resistance were examine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comprised of 2030 consumers who were aware of smart watch or smart shoes. In total, 393 responses were analyzed. About 50.4% were male, and 44.8% were in their 20's.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generated five factors - PE & HM, EE, SI, FC, and PV- which were employed as independent variables in the multiple regression models. PE & HM, PV, and SI influenced on the intention to use both smart devices. FC showed the significant effect only on the intention to adopt the smart watch. In terms of gender differences, SI and PV were the important predictors of the intention to adopt the smart watch in the female group only. With respect to age difference, SI was very effective in explaining the intention of individuals in their 30's to adopt smart wear. Among the low innovation resistance group, SI was significant predictor, while PE & HE and PV were significant among the high resistance group. The findings provide useful information about the possibility of the adoption of smart wear, and new insight into market segmen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