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I 레이아웃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7초

멀티 디바이스 환경에서 반응형 웹의 사용자 경험 (User experience of responsive web on multi-device environment)

  • 강재신;이영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1호
    • /
    • pp.465-470
    • /
    • 2018
  • 본 연구는 멀티 디바이스 환경에서 반응형 웹의 크기 변화에 따른 사용자 경험 향상을 위한 레이아웃을 배치 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았다. 반응형 웹의 레이아웃 요소는 크게 콘텐츠에 따른 레이아웃 형식을 헤더, 메인 콘셉트 이미지, 그리고 메인 콘텐츠와 서브 콘텐츠, 푸터로 구분하였다. 헤더요소는 화면이 작아지면 세로 메뉴 배치보다는 드로워의 활용과 스클롤링 메뉴를 사용하는 것이 사용자 경험 향상에 도움이 된다. 메인 콘셉트 이미지는 일관성을 유지하고 시스템 폰트의 사용으로 가독성을 잃지 않아야 한다. 메인 콘텐츠와 서브 콘텐츠는 세로 스크롤이 길어지지 않도록 해 주어야 하며 그를 위해 카드 UI와 테이블 리스트 그리고 그리드 리스트를 대안으로 제시할 수 있었다. 또 그 밖에 세로 스크롤의 문제는 더 보기나 새 콘텐츠 고침 등의 사용자 선택 메뉴를 배치하는 것이 사용자 경험 향상을 위해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웹 프로젝트에서 디자인과 비즈니스 로직의 분리를 위한 웹 폼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Web Form System for Separating Design from Business Logic on Web Project)

  • 정강용;허영남;김원중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363-369
    • /
    • 2003
  • 소프트웨어 공학 측면에서 웹 기반 프로젝트는 상당히 비효율적인 분야이다. 웹 기반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이너가 먼저 화면 레이아웃을 설계한 후 그 화면의 레이아웃 소스를 가지고 다시 비즈니스 로직 개발자가 코딩을 하여 프로젝트를 완성한다. 유지 보수를 하는 경우에도 이와 비슷한 형태로 작업이 진행된다. 이러한 웹 기반의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은 JSP의 태그 라이브러리와 같은 다양한 형태로 제안되었으나 실제로 적용하는데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으며 기존의 C/S 기반의 소프트웨어 개발에 비해 생산성 측면에서도 매우 좋지 않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웹 폼 시스템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이 해결하지 못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과 비즈니스 로직을 분리하여 웹 기반 소프트웨어의 개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IoT에서 데이터 기반 앱을 모델로 한 UX디자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UX-Design as a Model for a Data-driven Apps in IoT)

  • 문희정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819-824
    • /
    • 2015
  • 과거의 조형중심, 시스템 중심의 디자인에서 점차적으로 사용자를 배려하는 디자인 철학이 반영된 사용자 중심 디자인으로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특히 어떤 제품이나 서비스를 사용하는데 있어 최적의 경험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UX디자인(User eXperience Design)의 중요성이 크게 인식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IoT시대에서 UX디자인이 고려해야할 변화 중에서 웨어러블의 기능에 영향이 적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디자인 부분에 접근해 보았다. 다양하고 많은 데이터를 가진 기존 소셜커머스 앱의 레이아웃이 IoT디바이스의 인터페이스에서도 데이터 기반의 레이아웃과 유사하다고 생각하였다. 데이터 기반 앱을 모델로 레이아웃을 분석하여 UX디자인 의 구조를 정리하였다.

MBTI 성격 유형별 음악 애플리케이션 UI 디자인 및 기능 요구 선호도 연구 (Research on Music Application UI Design and Feature Preferences by MBTI Personality Types)

  • 우위항;남인용;바오원화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3호
    • /
    • pp.437-449
    • /
    • 2024
  • 본 연구는 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 성격 유형이 음악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I) 디자인 취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온라인 설문을 통해 535명의 응답을 수집하고, Python을 사용한 ANOVA 분석을 통해 데이터를 처리하였다. 분석 결과, 어떤 MBTI 유형은 따뜻한 색조와 중성 색조의 조합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그들의 예술적 감각과 조화를 중시하는 성향과 일치한다. 반면에 어떤 MBTI 유형은 주로 차가운 색조나 차가운 색조와 중성 색조의 조합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는 그들의 실용적이고 체계적인 성향을 반영한다. 또한, 우리는 UI 레이아웃 선호도 또한 성격 유형에 따라 다르다는 것을 발견했다. 어떤 MBTI 유형은 'Mostly Fluid' 모델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그들의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성격을 반영한다. 이러한 발견은 음악 애플리케이션의 UI 디자인 시 사용자의 개인적인 성격 유형을 고려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디지털 능동형 가변 축전기를 사용한 적응형 이퀄라이저 (An Adaptive Equalizer with the Digitally Controlled Active Variable Capacitor)

  • 이원영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1053-1060
    • /
    • 2016
  • 본 논문은 디지털 능동형 가변 축전기를 사용한 적응형 이퀄라이저를 제안하고 있다. Equalizing amplifier는 주 증폭기와 source degeneration RC 필터로 구성되어 있으며, RC필터를 디지털 능동형 가변 축전기로 구현함으로써 면적 효율을 높이고 선형적인 손실 보상 영역을 확보했다. 능동형 가변 축전기는 miller effect에 의한 임피던스 증가 효과를 사용하였으며, 증폭기 이득 조정을 통해 capacitance의 가변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능동형 축전기의 선형적 가변 특성을 통해 입력 데이터의 고주파 손실을 보상하여 2Gb/s 전송속도에 대해 0.31 UI의 입력 eye 너비를 0.64 UI로 약 2배 증가시켰다. 적응형 이퀄라이저는 $0.13-{\mu}m\;CMOS$ 공정 값을 사용하여 설계 되었으며, 0.412 mm2 의 레이아웃 면적을 사용한다.

UX관점에서의 모바일 RPG 로비 layout 모델 제시 (Proposal for the Model of mobile RPG lobby layoutfrom Viewpoint of UX)

  • 김성곤;김태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2호
    • /
    • pp.467-472
    • /
    • 2019
  • 국내 스마트폰 이용률이 증가함에 따라 모바일 게임의 발전 속도도 빨라지고 있지만, 시장 규모가 커짐에 따라 경쟁이 심화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모바일 게임 시장에서 게임을 성공시키기 위한 요소 중 하나로 UI를 제시하고 있는데, 이러한 모바일 게임 UI 설계 시 이전에 기능과 심미적 표현, 기능중심디자인과 정보 전달과 더불어 사용자의 경험을 설계하는 측면에서 접근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제시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UX요소 중 경험을 이용해 효과적인 모바일 RPG의 로비 layout을 제시하였다. Ernest Adams와 Andrew Rollings의 레이아웃 분류 방법을 통해 google play 누적매출 순위 20위 내 모바일 RPG의 9개를 선정해 로비 layout을 분석한 결과 모바일 RPG장르의 첫 시장 흥행을 이끌었던 게임의 로비 layout이 이후 출시되어 흥행한 게임의 기준이 되었다는 결과가 나왔다. 이는 기존 RPG를 이용했던 경험에 의해 낮은 진입장벽과 학습이 불필요 하다는 점에서 이용자가 이전에 이용하였던 게임과 유사하게 느끼는 로비 layout이 효과적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RPG 이외의 다른 장르에 관한 최적의 UX를 측정할 수 있는 연구가 진행된다면 넓은 장르의 공통적인 layout을 도출해낼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명세 언어를 이용한 위피 비즈니스 프로그램 저작도구 구현 (Implement of The Authoring Tool for WIPI Business Program using UIDL(User Interface Description Language))

  • 이동수;박기창;김병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152-162
    • /
    • 2009
  • 현재 위피 응용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저작도구는 코드 작성의 편의성이 부족하고, 시각화를 배제한 문법 중심의 프로그래밍 도구가 대부분이다. 이로 인해 위피 응용프로그램 개발 시 개발자가 전체 개발과정에 걸쳐서 직접 코딩하여 개발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위피 응용프로그램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개발 할 수 있는 절차로써 위피API의 상위레벨(High level) 컴포넌트를 그래픽 컨트롤로 시각화하고, 이를 이용하여 시스템에서 제공한 모바일 레이아웃에 개발자가 쉽게 디자인한 후, UI 명세 언어와 소스 코드로 생성 해주는 과정을 거치는 개발 방안을 제시한다. 이를 위하여 위피 Jlet의 UI 명세 언어인 JIML(Jlet Interface Markup Language)을 제안하고, 제안한 JIML로부터 위피 Jlet의 UI와 관련된 위피 코드로의 생성을 위한 변환 규칙을 제시한다. 또한 위의 개발 과정을 자동으로 처리하는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구현한 시스템은 위피 비즈니스 프로그램 개발 시 효율성을 제공하고, 빠른 개발이 가능하도록 도와준다.

모바일 인터랙션을 위한 새로운 접근 -휴대폰 버튼의 최적화 배치 방법을 중심으로 - (A New Approach to Mobile Interaction - focused on optimized button layout for mobile phone -)

  • 변재형;문준기;양승호;김명석
    • 디자인학연구
    • /
    • 제18권2호
    • /
    • pp.165-172
    • /
    • 2005
  • 휴대폰의 버튼 배치는 제조회사에 따라 독특한 레이아웃으로 표준화를 이루어 가고 있으나, 각 제조사마다 서로 상이한 배치를 보이고 있으며, 심지어는 한 제조사에 있어서도 모델별로 일관성이 결여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는 휴대폰 제조사의 제품 인터페이스 표준화가 미흡함에 기인하는 것으로서, 아직까지는 제품의 물리적 인터페이스 개발을 위한 방법론적 접근이 활발히 진행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휴대폰의 제품 인터페이스 요소 중 출발점은 버튼의 레이아웃을 결정하는 것이며, 본 연구에서는 이의 최적화에 대한 연구를 통해 휴대폰 버튼 레이아웃의 표준안 개발을 위한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휴대폰 사용 상황과 기능에 의한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각 버튼들의 군집도를 측정하고 조작 시퀀스(sequence) 평가를 통해 최적화를 위한 방향을 설정한 후, 새로운 제시안의 평가를 통해 최적화된 표준만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국내 시판 중인 모델 중 평가제품을 선별하고 전체 버튼의 그루핑과 인접도, 조작경로에 대한 평가를 실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인터페이스 평가 방법들이 GUI 위주로 이루어진 데 반해 제품의 물리적 인터페이스 개선을 위한 방법론적 접근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휴대폰의 제품디자인을 위한 가이드라인의 역할을 기대할 수 있다.

  • PDF

유소년층 타깃의 캐주얼 MMORPG 개발 -UI를 중심으로- (Development of Casual MMORPG for Pre-Teenagers -Focus on UI-)

  • 유왕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125-131
    • /
    • 2008
  • 유소년층을 타깃으로 하는 MMORPG 개발에는 유저들의 심리 생리학적인 특성을 고려해야한다. 끊임없는 선택의 결과물이라는 게임 플레이에 있어서 유소년 유저들은 즉흥적으로 선택하며 직관적으로 판단하는 특성을 보인다. 이와 같이 유저에 대한 이해를 반영하여 디자인된, 알파버전의 온라인게임을 유저로 하여금 시연하게 하고 FGI를 통하여 그 사용성을 평가하였다. 결론적으로 스토리텔링과 연계된 인터페이스는 게임에의 몰입을 유도하고, 게임화면의 레이아웃의 경우 조작의 직관성보다 정보의 중요도나 사용빈도에 따른 배치가 중요한 것으로 분석되어 졌다. 또한 유저가 이러한 인터페이스 요소들을 조작했을 때, 빠르고 명확하게 반응해야 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디지털 복합TV환경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위한 OSD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On Screen Display Interface Design for Digital Convergence TV User)

  • 심재희;이건식;유경희;김운영;김정주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6년도 학술대회 2부
    • /
    • pp.9-13
    • /
    • 2006
  • 본 연구는 HD 복합TV 사용자의 시청행태 및 사용자 니즈 분석을 통해 사용자 시나리오를 도출하여 실제 제품에 적용할 수 있는 DTV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일반적인 원리를 발견하고 대형 DTV 화면에 적합한 OSD디자인을 개발하여 디지털 복합 TV에 적합한 새로운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제안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DTV 시청환경을 기반으로 PVR, EPF, 녹화, 1394 등 다양한 기능에 대한 사용 시나리오를 정의하고 유저 내비게이션 특성을 반영한 OSD디자인 방향을 검토하였고 개발환경인 50인치 PDP 화면에 적합한 레이아웃을 제작하여 사용자조사를 통해 검증하였다. 사례연구로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타임머신 기능 X Canvas PDP의 OSD 디자인을 개발하여 양산용 제품에 적용할 수 있었다. 대표적인 특징으로 복합 TV 의 Gateway 인 홈메뉴, PVR 기능의 핵심인 프로그래스바, 모든 컨텐츠에 일관되게 적용할 수 있는 목록화면, 녹화관련화면에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폰트,칼라,레이아웃,위젯 정의를 수행하여 각 기능별 화면들이 Package개념으로 Identity를 갖추면서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구성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하여 DTV Application Design에 일반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메뉴구조 및 화면디자인 가이드라인을 도출하였고 세계최초로 자사에서 개발한 하드디스크 내장 HD TV Application GUI 의 사용성 및 심미성 측면을 모두 만족시키는 등 DTV GUI 분야에서 주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