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yrosinase-Related Protein

검색결과 191건 처리시간 0.029초

포도송이가지 추출물의 항염증 및 미백효능에 대한 연구 (Studies on Anti-Inflammatory and Anti-Melanogenic Effect of Grape Fruit Stem Extract)

  • 최안나;이현서;김장호;조병옥;신재영;정승일;장선일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71-78
    • /
    • 2017
  • Objectives : The various grape extracts derived from grape pulp, seed and skin, containing various types of polyphenols and flavonoids, have been known to have anti-inflammatory, antioxidant and improve cardiovascular condition as well as sun's damaging effects. However, there have been rare reports of various beneficial effects of grape fruit stem extract (GFSE), one of the waste products of grapes. We investigated anti-inflammatory and melanogenesis inhibitory effects of GFSE. Methods : One-hundred gram of grape fruit stem was extracted with 80% ethanol at room temperature for 3 days. After filtration, the ethanol was removed using vacuum evaporator, then lyophilized to obtain the dry extract which was stored at $-20^{\circ}C$ until used. NO levels were measured by using Greiss reagent. Prostaglandin $E_2$ ($PGE_2$) production was measured by ELISA assay. The expression levels of iNOS, COX-2, TRP-1 and TRP-2 were evaluated by western blot analysis. Results : GFSE reduced the level of nitric oxide and prostaglandin $E_2$ ($PGE_2$) product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compared to control. Expressions of cyclooxygenase-2 (COX-2) and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protein were also effectively inhibited by the GFSE. In a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GFSE significantly reduced the tyrosinase activity and melanin content in a dose dependent manner, compared to control. GFSE also decreased the expression of tyrosinase related protein-1 (TRP-1) and tyrosinase related protein-2 (TRP-2), known as a melanocyte-specific gene product involved in melanin synthesis. Conclusions : Therefore,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GFSE had powerful anti-inflammatory and anti-melanogenic effects.

Decaschistia intermedia Craib 추출물의 멜라닌 합성 억제 효능 (Inhibitory Effects of Decaschistia intermedia Craib Extract on Melanin Synthesis)

  • 임리진;추병삼;이상우;;송희상
    • 생약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171-177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melanogenic effects of the extracts from Decaschistia intermedia craib (EDI).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effects of EDI on mushroom tyrosinase activity in in vitro, melanin contents, and expression levels of mRNA and proteins of melanogenesis-related genes in B16F10 melanoma cells. The treatment of EDI significantly decreased both tyrosinase activity and melanin contents in B16F10 cells with dose-dependent manner. In addition, we found that the expression of mRNA or proteins of melanogenic proteins, such as, a-melanocyte-stimulating hormone (a-MSH)-induced microphthalmia 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ITF), tyrosinase, tyrosinase related protein-1 (TRP-1), and TRP-2 was significantly downregulated with dose-dependent manner in the EDI-treated B16F10 cells compared to controls.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EDI inhibits cellular melanogenesis through downregulation of a-MSH-stimulated melanin synthesis. Thus EDI may potentially be an effective whitening agent.

효소(Protopectinase) 처리한 대두가 세포내 멜라닌 생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oybean Protopectinase on Melanin Biosynthesis)

  • 유진균;이진희;조형용;김정국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355-362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효소처리 한 대두추출물의 항산화 및 미백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DPPH 및 hydroxyl radical 포착활성을 측정하였고, 멜라닌 생성의 첫 단계인 tyrosinase 활성, mouse melanoma B16BL6 세포 생존율 및 TRP-1, TRP-2 발현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또한 기존의 기계적 마쇄 가공한 대두추출물과 효소처리 가공한 대두추출물의 항산화 및 미백효과를 비교 조사하였다. 효소처리 한 대두추출물의 DPPH radical 소거능과 hydroxyl radical 소거능이 마쇄처리 한 추출물보다 높았으며, 특히 효소처리군이 마쇄군에 비하여 20% 이상 높은 항산화력을 나타내었다. 또한 마쇄군에 비하여 효소처리군이 tyrosinase와 TRP-1, TRP-2의 더 높은 활성 억제능을 보였다. 이는 대두가 B16BL6 melanoma 세포의 tyrosinase 단백질의 활성을 저해시킴으로써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임을 의미하는 동시에 효소처리에 의하여 대두의 영양소의 손실이 더 적었음을 나타낸다. 결론적으로 효소처리에 의한 대두 추출물은 항산화 활성과 미백 효과가 우수하여 기능성 화장품의 천연 소재로서 활용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흑미의 주정 추출물이 melanin 생성과 관련된 tyrosinase 및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lack Rice (Oryza sativa L. indica) Ethanolic Extract on Tyrosinase Activity and Antioxidant Activity Related to Melanin Production)

  • 이은빈;김문무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532-539
    • /
    • 2018
  • 백모 발생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모낭에 있는 melanocyte 수가 감소됨과 동시에 세포활성이 저하되고 동시에 과산화수소($H_2O_2$)가 축적되어 melanin 합성이 감소되어 진행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흑미 주정추출물인 Black oryzasativa ethanolic extract (BLEE)가 백모에서 흑모로 전환되는데 관련되어 있는 melanin 합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BLEE는 DPPH radical scavenging assay 및 환원력 실험에서 $64{\mu}g/ml$에서 항산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tyrosinase 활성 및 melanin 생성 촉진효과는 $16{\mu}g/ml$ 이상에서 효과가 나타났다. DCF fluorescence assay에서 세포내 $H_2O_2$를 소거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H_2O_2$를 처리한 세포에서 melanin 생성 촉진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Western blot 분석에서는 catalase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melanin 생성에 관여하는 tyrosinase, TRP-1, TRP-2, 효소 및 MITF 전사인자의 발현촉진에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BLEE의 melanin 생성 촉진효과는 tyrosinase 활성 증가와 세포내 $H_2O_2$의 생성을 감소시켜 melanin 생성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BLEE는 melanin 생성을 촉진시키는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본 연구에서 개발된 BLEE는 흑모성장과 연관이 있는 melanin생성 촉진과 관련된 모발화장품 개발분야에서 하나의 잠재적인 기능성 소재로 응용 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노무라입깃해파리 가수분해 추출물의 멜라닌합성 저해효과 (Melanogenesis Inhibition Effects of Nemopilema nomurai Hydrolized Extracts)

  • 이하연;김영훈;엄선영;정욱순;장문식;이남호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41-347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노무라입깃해파리(Nemopilema nomurai) 가수분해 추출물의 미백활성에 대하여 검색하였다. 가수분해 시료(NHE, N. nomurai Hydrolized Extract)는 노무라입깃해파리를 상업용 단백질분해효소(Protamex, Alcalase, Flavourzyme, Neutrase)를 이용하여 $55^{\circ}C$에서 pH 5-8 조건으로 처리하는 과정을 거쳐 얻었다. 미백활성은 B16-F1 멜라노마 세포에서 멜라닌 색소 합성 저해능 평가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실험결과, Neutrase로 처리된 시료(N-NHE)에서 $100{\mu}g/mL$의 농도에서 멜라닌 생성이 가장 효율적으로 89.9% 감소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이 시료는 또한 tyrosinase와 TRP-1 (tyrosinase related protein-1) 단백질의 발현을 억제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노무라입깃해파리 가수분해 추출물의 화장품 미백 소재로의 개발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용담화 추출물의 미백 활성 연구 (A Study on the Whitening Activities of Gentiana scabra Extract)

  • 이현상;석지현;;김윤정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9-14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항산화 및 미백 소재의 개발을 위해 다양한 추출법을 이용하여 용담화 추출물을 제조하고 항산화 효과 및 멜라닌 생합성 저해능을 평가하였다.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을 평가한 결과 용담화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은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용담화 추출물은 tyrosinase 활성을 저해시켰으며, B16F10 세포에서 멜라닌 생성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보였다. 멜라닌 생합성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tyrosinase-related protein (TRP)-1 및 2 mRNA 발현을 확인한 결과 용담화 추출물에 의해 TRP-1 및 2의 발현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용담화 추출물은 항산화 및 미백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Anti-melanogenic property of ginsenoside Rf from Panax ginseng via inhibition of CREB/MITF pathway in melanocytes and ex vivo human skin

  • Lee, Ha-Ri;Jung, Joon Min;Seo, Ji-Yeon;Chang, Sung Eun;Song, Youngsup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5권5호
    • /
    • pp.555-564
    • /
    • 2021
  • Background: Ginsenosides of Panax ginseng are used to enhance skin health and beauty.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use of ginsenoside Rf (Rf) from Panax ginseng as a new anti-pigmentation agent. Methods: The anti-melanogenic effects of Rf were explored. The transcriptional activity of the cyclic adenosine monophosphate (cAMP) response element binding protein (CREB) and the expression levels of tyrosinase,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ITF), and tyrosinase-related proteins (Tyrps) were evaluated in melanocytes and UV-irradiated ex vivo human skin. Results: Rf significantly inhibited Forskolin (FSK) or UV-stimulated melanogenesis. Consistently, cellular tyrosinase activity and levels of MITF, tyrosinase, and Tyrps were downregulated. Furthermore, Rf suppressed MITF promoter activity, which was stimulated by FSK or CREB-regulated transcription coactivator 3 (CRTC3) overexpression. Increased CREB phosphorylation and protein kinase A (PKA) activity induced by FSK were also mitigated in the presence of Rf. Conclusion: Rf can be used as a reliable anti-pigmentation agent, which has a scientifically confirmed and reproducible action mechanism, via inhibition of CREB/MITF pathway.

녹나무 부탄올 분획물이 멜라닌 생합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BuOH Soluble Fraction of Cinnamomum camphora on Melanin Biosynthesis)

  • 하상근;문은정;이민재;박혜민;유은숙;오명숙;김선여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93-300
    • /
    • 200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innamomum camphora on melanogenesis. The MeOH extract of Cinnamomum camphora inhibited mushroom tyrosinase activity in dose-dependent manner. Moreover, it significantly suppressed the melanin production in melan-a cells at the concentration of $100{\mu}/m{\ell}$. The MeOH extract was partitioned with ethyl acetate, n-butanol and water. Among them, the BuOH soluble fraction exhibited significant inhibitory effect on mushroom tyrosinase. In addition, the BuOH soluble fraction reduced the melanin production in melan-a cells. But, the BuOH soluble fraction had less inhibition effects on melan-a cell originated tyrosinase. So, it was performed western blotting for melanogenic proteins (tyrosinase, tyrosinase-related protein (TRP-2)) using melan-a cells. The BuOH soluble fraction inhibited the protein expression of tyrosinase at the concentration of $100{\mu}/m{\ell}$.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BuOH soluble fraction of C. camphora might be a potent inhibitor of melanin biosynthesis in melan-a cells.

큰비쑥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 (Antimelanogenic of Artemisia fukudo Makino Extract in Melanoma Cells)

  • 김민진;김서연;현광희;김덕수;김승영;현창구
    • KSBB Journal
    • /
    • 제32권3호
    • /
    • pp.233-237
    • /
    • 2017
  • Melani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affecting skin color. Melanogenesis is the bioprocess of melanin production by melanocytes in the skin and hair follicles and is mediated by several enzymes, such as tyrosinase, tyrosinase related protein (TRP)-1, and TRP-2, MITF.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Artemisia fukudo Makino extracts on tyrosinase activity and melanin production as natural products of whitening functional cosmetics. Melanin content in murine B16F10 melanoma cells were decreased by Artemisia fukudo Makino extracts in a dose-dependently. In addition, the inhibition of tyrosinase activity of Artemisia fukudo Makino extracts showed to decrease tyrosinase activity as the concentration of ${\alpha}-MSH$ was increased. Furthermore, western blot analysis revealed that Artemisia fukudo Makino extracts significantly downregulated the expression of tyrosinase, TRP-1 which treat of ${\alpha}-MSH-induced$ melanogenesis in murine B16F10 melanoma cells. As a result, Artemisia fukudo Makino extract showed functionalities as an effective whitening agent to inhibit melanin formation.

차가버섯(Inonotus obliquus) 추출물의 B16F10 멜라노마 세포에서의 미백활성 검증 (Verification of Whitening Activity of Inonotus obliquus Extracts in B16F10 Melanoma Cells)

  • 최송윤;이제백;염현지;오민정;이진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05-112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차가버섯의 미백 활성 검증을 통하여 화장품 소재로써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차가버섯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전자공여능을 측정한 결과 농도가 증가할수록 활성도도 증가하였으며 1,000 ㎍/ml 농도에서 82.1%의 우수한 전자공여능을 나타내었다. 또한 미백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tyrosin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활성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MTT assay를 통해 멜라노마 세포(B16F10)의 세포 생존율을 확인한 결과 100 ㎍/ml 이하 농도에서 80% 이상의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세포 관련 실험은 25, 50, 100 ㎍/ml 농도에서 진행하였다. B16F10 cell에 차가버섯 추출물을 처리하여 멜라닌 합성과 관련된 단백질 발현을 측정한 결과 농도 의존성에 따라 모든 인자에서 단백질 발현이 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으며 100 ㎍/ml의 농도에서 TRP-1, MITF는 40.1%, 64.2%의 발현량을 나타내었고 tyrosinase 및 TRP-2는 arbutin 보다 단백질 발현 저해가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멜라닌 합성 관련 mRNA 발현 측정을 위해 B16F10 세포에 차가버섯 추출물을 처리한 결과, 농도가 증가할수록 mRNA 발현이 억제되는 것을 검증하였다. 이에 따라 차가버섯 추출물이 미백 활성을 가지는 화장품 소재로써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