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umor Suppressor Protein p53

검색결과 102건 처리시간 0.022초

HepG2 인체간암세포의 세포주기조절인자 발현에 미치는 sulforaphane의 영향 (Modulation of Cell Cycle Regulators by Sulforaphane in Human Mepatocarcinoma HepG2 Cells)

  • 배송자;김기영;유영현;최병태;최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7호
    • /
    • pp.1235-1242
    • /
    • 2006
  • 브로콜리를 포함한 십자화과 식물에서 glucoraphanin의 가수분해를 통해 생성되는 isothiocyanate의 일종인 sulforaphane은 역학적 조사를 포함한 다양한 선행 연구에서 강력한 암예방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항암효과에 관한 최근 연구 결과에 따르면 sulforaphane은 다양한 인체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고 apoptosis를 유발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나, 정확한 분자생물학적 기전은 밝혀져 있지 않은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sulforaphane의 항암작용 기전을 조사하기 위하여 HepG2 인체간암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sulforaphane의 영 향을 조사하였다. Sulforaphane의 처리에 의한 HepG2 세포의 증식억제 및 형태적 변형은 세포주기 G2/M arrest 및 apoptosis 유발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RT-PCR 및 Western blot 분석 결과, sulforaphane 처리에 의하여 cyclin A 및 cyclin B1, Cdc2의 발현이 단백질 수준에서 선택적으로 저하되었으며, 종양억제 유전자 p53 및 Cdk inhibitor p21의 발현은 전사 및 번역 수준에서 sulforaphane 처리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되었다. Sulforaphane의 항암 기전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부가적으로 필요하겠지만, 본 연구의 결과들에 의하면 sulforaphane은 강력한 인체암세포의 증식 억제 및 항암작용이 있을 것을 시사하여 준다고 할 수 있다.

산두근 추출물이 인체폐암세포의 COX-2 발현 및 PGE2 생성에 미치는 영향 (Antiproliferative Effect of RST Associated with the Inhibition of Cyclooxygenase-2 Expression and Prostaglandin E2 Release in Human Lung Carcinoma Cells)

  • 김강태;엄현섭;지규용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907-915
    • /
    • 2007
  • In this study the effect of water extract of Sophora tonkinensis Gapnep (RST) was investigated on the growth of human lung carcinoma A549 cells. Exposure of A549 cells to RST resulted in the growth inhibit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as measured by MTT assay. The antiproliferative effect by RST treatment in A549 cells was associated with morphological changes such as membrane shrinking and cell rounding up. RST treatment did not induce the cell cycle arrest and the levels of tumor suppressor p53 as well as cyclin-dependent kinase inhibitor p21(WAF1/CIP1). It was found that RST treatment decreased the levels of cyclooxygenase (COX) -2 mRNA and protein expression without significant changes in the expression of COX-1 and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which was correlated with a decrease in prostaglandin E2 (PGE2) synthesis. RST treatment also slightly inhibited the levels of human telomerase reverse transcriptase (hTERT) mRNA and protein expression, and the activity of telomerase. Taken together,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RST-induced inhibition of human lung carcinoma A549 cell growth was aoosciated with the inhibition of COX-2 expression and PGE2 production. These results provided important new insights into the possible molecular mechanisms of the anti-cancer activity of RST.

비소세포 폐암에서 단클론항체 M30를 이용한 세포자멸사 측정 (Detection of Apoptosis by M30 Monoclonal Antibody in Non-small Cell Lung Carcinomas)

  • 김광일;이건;임창영;이헌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0권2호
    • /
    • pp.114-121
    • /
    • 2007
  • 배경: 종양 발생기전에 있어서 세포자멸사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조직 내의 세포자멸사 측정은 TUNEL (terminal deoxyribonucleotidyl transferase mediated nick end lagbelling), ISEL (in situ nick end labelling) 등의 방법을 쓰지만, 반응 세포의 비특이성 및 결과 판독의 주관성 등이 논란의 대상이 되어왔다. 최근 이러한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단클론항체 M30이 소개되어, 인체 조직의 대장암, 가슴 샘종, 유방암, 자궁내막암 등에서 M30 면역염색을 이용한 세포자멸사 연구가 있었으나 폐암에 대한 연구는 없었다. 저자들은 비소세포 폐암에서 M30 면역염색에 의해 발현되는 세포자멸사 양상이 세포주기 핵심조절자인 p53 면역염색 발현양상 및 임상양상과 갖는 연관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비소세포 폐암으로 근치적 절제수술을 받은 환자 4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M30과 P53 면역조직화학염색에 실시하여 각 항체의 발현양상과 임상 병리학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술 후 생존기간과 무병 생존기간을 구하였고, 단변량 분석을 실시하여 생존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알아보았다. 다변량 분석을 실시하여 M30과 p53 발현양상이 술 후 사망위험도 및 재발위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결과: M30 양성세포 수는 p53 양성군이 p53 음성군보다 유의하게 많았고(p53 양성군 $61.7{\pm}26.8$개 vs. p53 음성군 $45.6{\pm}29.6$개, p=0.005), 세포사멸사 지수가 1 이상(Apoptosis Index, $Al{\ge}1$)인 환자 수도 p53 양성군에서 유의하게 많았다(p53 양성군 52.4% (l1/21) vs. p53 음성군 16.7% (4/24), p=0.025). 단변량 분석에서는 흡연량, 활동도(Performance Status, PS), 그리고 AI가 술 후 생존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다변량 분석에서는 AI가 높은 군에서 수술 후 암사망 위험도(Relative risk, R.R 7.482; 95% Confidence Interval, CI $1.886{\sim}29.678$; p=0.004)와 재발 위험도(R.R 3.795; 95% CI $1.184{\sim}12.158$; p=0.025)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p53 발현양상은 수술 후 생존기간과 암사망 위험도 및 재발 위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결론: 이상의 연구에서 단클론 항체 M30을 이용한 면역조직화학염색이 비소세포 폐암의 세포자멸사를 관찰하는 데 매우 유용한 방법임을 확인하였으며, 환자의 예후를 예측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Combined EGFR and c-Src Antisense Oligodeoxynucleotides Encapsulated with PAMAM Denderimers Inhibit HT-29 Colon Cancer Cell Proliferation

  • Nourazarian, Ali Reza;Najar, Ahmad Gholamhoseinian;Farajnia, Safar;Khosroushahi, Ahmad Yari;Pashaei-Asl, Roghiyeh;Omidi, Yadollah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9호
    • /
    • pp.4751-4756
    • /
    • 2012
  • Colon cancer continues to be one of the most common cancers, and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new therapies needs to be stressed. The most important proto-oncogen factors for colon cancer appear to be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EGFR, and c-Src with high expression and activity leading to tumor growth and ultimately to colon cancer progression. Application of c-Src and EGFR antisense agents simultaneously should theoretically therefore have major benefit. In the present study, anti-EGFR and c-Src specific antisense oligodeoxynucleotides were combined in a formulation using PAMAM dendrimers as a carrier. Nano drug entry into cells was confirmed by flow cytometry and fluorescence microscopy imaging and real time PCR showed gene expression of c-Src and EGFR, as well as downstream STAT5 and MAPK-1 with the tumor suppressor gene P53 to all be downregulated. EGFR and c-Src protein expression was also reduced when assessed by western blotting techniques. The effect of the antisense oligonucleotide on HT29 cell proliferation was determined by MTT assay, reduction beijng observed after 48 hours. In summary, nano-drug, anti-EGFR and c-Src specific antisense oligodeoxynucleotides were effectively transferred into HT-29 cells and inhibited gene expression in target cell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appears that the use of antisense EGFR and c-Src simultaneously migh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olon cancer growth by down regulation of EGFR and its downstream genes.

Forkhead-box A1 regulates tumor cell growth and predicts prognosis in colorectal cancer

  • YOUNG-LAN PARK;SEUNG-HUN KIM;SUN-YOUNG PARK;MIN-WOO JUNG;SANG-YOON HA;JUNG-HO CHOI;DAE-SEONG MYUNG;SUNG-BUM CHO;WAN-SIK LEE;HYUN-SOO KIM;YOUNG-EUN JOO
    • International Journal of Oncology
    • /
    • 제54권6호
    • /
    • pp.2169-2178
    • /
    • 2019
  • Forkhead box A1 (FOXA1) functions as a tumor suppressor gene or an oncogene in various types of cancer; however, the distinct function of FOXA1 in colorectal cancer is unclear. The present study aimed to evaluate whether FOXA1 affects the oncogenic behavior of colorectal cancer cells, and to investigate its prognostic value in colorectal cancer. The impact of FOXA1 on tumor cell behavior was investigated using small interfering RNA and the pcDNA6-myc vector in human colorectal cancer cell lines. To investigate the role of FOXA1 in the progression of human colorectal cancer, an immunohistochemical technique was used to localize FOXA1 protein in paraffin-embedded tissue blocks obtained from 403 patients with colorectal cancer. Tumor cell apoptosis and proliferation were evaluated using a terminal deoxynucleotidyl transferase-mediated dUTP nick-end labeling assay and Ki-67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respectively. FOXA1 knockdown inhibited tumor cell invasion in colorectal cancer cells, and induced apoptosis and cell cycle arrest. FOXA1 knockdown activated cleaved caspase-poly (ADP-ribose) polymerase, upregulated the expression of p53 upregulated modulator of apoptosis, and downregulated BH3 interacting domain death agonist and myeloid cell leukemia-1, leading to the induction of apoptosis. FOXA1 knockdown increased the phosphorylation level of signal transducer and activator of transcription-3. By contrast, these results were reversed following the overexpression of FOXA1. The overexpression of FOXA1 was associated with differentiation, lymphovascular invasion, advanced tumor stage, depth of invasion, lymph node metastasis and poor survival rate. The mean Ki-67 labeling index value of FOXA1-positive tumor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FOXA1-negative tumors. However, no significant association was observed between the expression of FOXA1 and the mean apoptotic index valu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FOXA1 is associated with tumor progression via the modulation of tumor cell survival in human colorectal cancer.

CYP1A1, GSTM1, GSTT1 and TP53 Polymorphisms and Risk of Gallbladder Cancer in Bolivians

  • Sakai, Kazuaki;Loza, Ernesto;Roig, Guido Villa-Gomez;Nozaki, Ryoko;Asai, Takao;Ikoma, Toshikazu;Tsuchiya, Yasuo;Kiyohara, Chikako;Yamamoto, Masaharu;Nakamura, Kazutoshi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2호
    • /
    • pp.781-784
    • /
    • 2016
  • The Plurinational State of Bolivia (Bolivia) has a high incidence rate of gallbladder cancer (GBC). However, the genetic and environmental risk factors for GBC development are not well understood. We aimed to assess whether or not cytochrome P450 (CYP1A1), glutathione S-transferase mu 1 (GSTM1), theta 1 (GSTT1) and tumor suppressor protein p53 (TP53) genetic polymorphisms modulate GBC susceptibility in Bolivians. This case-control study covered 32 patients with GBC and 86 healthy subjects. GBC was diagnosed on the basis of histological analysis of tissues at the Instituto de Gastroenterologia Boliviano-Japones (IGBJ); the healthy subjects were members of the staff at the IGBJ. Distributions of the CYP1A1 rs1048943 and TP53 rs1042522 polymorphisms were assayed using PCR-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assay. GSTM1 and GSTT1 deletion polymorphisms were detected by a multiplex PCR assay. The frequency of the GSTM1 null genotyp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GBC patients than in the healthy subjects (odds ratio [OR], 2.35; 95% confidence interval [CI], 1.03-5.37; age-adjusted OR, 3.53; 95% CI, 1.29-9.66; age- and sex-adjusted OR, 3.40; 95% CI, 1.24-9.34).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frequencies of CYP1A1, GSTT1, or TP53 polymorphisms between the two groups. The GSTM1 null genotype was associated with increased GBC risk in Bolivians. Additional studies with larger control and case populations are warranted to confirm the association between the GSTM1 deletion polymorphism and GBC risk suggested in the present study.

β-Sitosterol에 의한 인체 대장암 HCT116 세포의 증식억제에 관한 연구 (β-Sitosterol Induced Growth Inhibition is Associated with Up-regulation of Cdk Inhibitor p21WAF1/CIP1 in Human Colon Cancer Cells)

  • 최영현;김영애;박철;최병태;이원호;황경미;정근옥;박건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6
    • /
    • 2004
  • $\beta$-Sitosterol은 과일과 야채 등을 포함한 대부분의 고등식물에 존재하는 중요한 phytosterol의 하나로서, 인체 암의 예방과 치료에 매우 유효한 것으로 보고되어져 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beta$-sitosterol의 암세포 증식억제 기전의 해석을 시도하기 위하여 인체 대장암세포 HCT116의 증식에 미치는 $\beta$-sitosterol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beta$-Sitosterol의 처리로 HCT116 암세포의 증식은 처리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되었으며, 특히 7.5 $\mu$M 이상 처리에서는 급격한 성장억제 효과가 있었다. 또한 5.0 $\mu$M 처리군에서부터 apoptotic body의 형성이 관찰되었고, $\beta$-catenin 단백질의 분해 현상과 연관성이 있었다. 그리고 $\beta$-sitosterol이 처리된 암세포에서는 종양억제유전자 p53 및 Cdk inhibitor p21의 발현이 전사 및 번역 수준에서 모두 증가되었다. 본 결과는 그동안 연구가 거의 진행되어져 있지 않았던 $\beta$-sitosterol에 의한 암세포주기 조절 해석을 위한 주요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DNA topoisomerase 억제제인 β-lapachone에 의한 인체 간암 및 방광암세포 증식억제에 관한 연구 (Growth Inhibition of Human Hepatoma and Bladder Carcinoma Cells by DNA Topoisomerae Inhibitor β-lapachone)

  • 최다연;이재일;정협섭;서한결;우현주;최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23-331
    • /
    • 2005
  • 남미지역에서 자생하는 Tabebuia avellanedae라는 나무의 수피에서 동정된 quinone계 물질이며, DNA topoisomeras억제제로 알려진 $\beta-lapachone$의 항암작용에 관한 부가적인 자료를 얻기 위하여 인체 간암(HepG2) 및 방광암(T24)세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게 되었다. MTT assay 및 flow cytometry 분석 등의 결과에서, $\beta-lapachone$의 처리에 따라 조사된 두 가지 암세포에서 $\beta-lapachone$처리 농도의존적으로 암세포의 심한 형태적 변형이 동반되면서 암세포의 증식이 억제되었으며, 생존율이 저하되었고 이는 apoptosis유발과 상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beta-lapachone$처리에 의한 두 암세포의 증식억제는 종양억제 유전자 p53 및 Cdk inhibitor p21의 발현과는 큰 연관성이 없음을 RT-PCR 및 Western blot analysis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그러나 전사조절인자 Sp-1 및 세포증식 주요조절인자인 PCNA의 단백질 발현은 $\beta-lapachone$처리에 따라 매우 감소되었으며, telomere조절에 중요한 인자들의 선택적 발현 저하 현상도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인체 암세포에서 $\beta-lapachone$의 항암작용을 이해하는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며, $\beta-lapachone$과 유사한 화학적 구조 및 성질을 가지는 항암제 후보물질들의 항암기전 비교 및 항암제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서 응용될 것이다.

급성림프구성백혈병에서 면역조직화학염색에 의한 p16 단백질 소실의 의의 (Clinical significance of loss of p16 protein by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in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 진혜영;강경인;김선영;윤유숙;강준원;조덕연;권계철;박경덕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1호
    • /
    • pp.73-77
    • /
    • 2008
  • 목 적 : p16 유전자는 염색체 9p21에 위치하는데 종양억제 유전자 중 하나로 cyclin-dependent kinase의 억제제로 작용하며 Rb 인산화를 억제한다. 다양한 종류의 종양에서 p16 유전자의 결실 또는 과메틸화가 발견되고 있는데 이는 급성림프구성백혈병에서도 흔히 발견되는 이상 소견으로 높은 빈도로 나타나고 있지만 급성림프구성백혈병의 예후와 p16 유전자의 연관성에 대해서는 아직 논란의 여지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면역조직화학염색으로 확인한 p16 단백질의 소실과 급성림프구성백혈병 환아들의 임상 경과와의 연관성에 대하여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 법 : 1998년 1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급성림프구성백혈병으로 진단된 74명의 진단 시 골수 슬라이드에서 p16 단백질 면역조직화학염색을 하였다. 환아들의 임상 양상, 검사실 소견, 치료 후 경과에 대해서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 과 : 74명 중 12명에서 p16 단백질이 면역화학염색 결과 음성이었다. 이들 중 남아가 7명 여아가 5명이었으며 진단 시 연령의 중앙값은 5.8(1.3-18.8)세였다. 백혈구 수의 중앙값은 17,225 $(500-403,300)/{\mu}L$ 이었으며 면역표현형은 early pre-B CALLA (+)형이 7명, T 세포형은 5명이었다. 진단 시 예후 중간군이었던 두 명의 환아들에서 골수 재발 하였으며 3명의 환아들이 유방암의 가족력이 있었다. 4명이 사망하여 8년 생존율은 $53.5{\pm}18.7%$였다. 결 론 : p16 단백질의 소실은 소아 급성림프구성백혈병에서 불량한 예후와 연관된 인자로 추정되며 임상에서 진단 시 p16에 대한 유전자 검사뿐만 아니라 단백질에 대해서도 검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좀더 많은 환자들에 대한 분석이 더 정확한 연관성을 밝히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인체폐암세포에서 Bcl-2 발현저하 및 caspase 활성을 통한 청조구폐탕의 apoptosis 유발에 관한 연구 (Apoptosis of Human Lung Carcinoma Cells through the Inhibition of Bcl-2 Expression and Activation of Caspase by Chungjogupae-tang)

  • 조인주;감철우;김기탁;박동일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93-97
    • /
    • 2007
  • We previously reported the anti-proliferative effect of Chungjogupae-tang (CJGPT) in human lung carcinoma A549 cells, which was associated with the induction of cyclin-dependent kinase inhibitor p21 in a tumor suppressor p53-independent manner. CJGPT treatment also resulted in the inhibition of prostaglandin E2 release A549 cells by the down-regulation of cyclooxygenase-2.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pathway of the induction of apoptotic cell death by CJGPT in A549 cells. It was found that CJGPT could inhibit the cell viability and induce the apoptotic cell death of A549 cells in a dose-dependent manner as measured by hemocytometer counts, flow cytometry analysis and agarose gel electrophoresis. Apoptosis of A549 cells by CJGPT was associated with a down-regulation of anti-apoptotic Bcl-2 and inhibitor of apoptosis proteins (IAPs) expression. Additionally, DNA fragmentation by CJGPT was connected with the activation of inhibitor of caspase-activated DNase/DNA fragmentation factor 45 (ICAD/DFF45) protein expres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