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ust

검색결과 4,557건 처리시간 0.032초

치안서비스 제고를 위한 경찰활동 (Activity of Police to Enhance Police Service)

  • 김경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11호
    • /
    • pp.263-271
    • /
    • 2008
  • 우리나라의 경우 오늘날 경찰행정은 외부적으로 변화하는 치안환경하에서 국민들의 치안서비스의 질적 향상 요구와 경찰기능의 변화에 대한 새로운 경찰개혁의 요구에 직면해 있다. 국민은 경찰이 공정하게 서비스하기를 원한다. 치안서비스의 신뢰에 있어 가장 심각하게 지적되고 있는 문제는 서비스질에 대해 공급자와 소비자가 갖고 있는 인식의 격차가 매우 크다는 데에 있다. 치안서비스 전달 과정에서 국민들의 신뢰를 받으려면 경찰 스스로 정당성, 일관성, 전달의 적시성, 적절성, 효율성을 갖추는 것도 중요하지만 치안서비스의 소비자인 일반시민들의 인식이 더욱 중요하다. 즉, 국민의 치안서비스의 공정성에 대한 인식이 평가에 있어서 중요한 기준이 된다. 위와 같은 경찰에 대한 국민의 요구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는 현재 치안서비스의 질을 평가해보고 결정하여야 할 것이다. 경찰활동의 질을 평가하려면 과연 고객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치안서비스의 제고를 위한 경찰활동 방안으로 첫째, 치안서비스에 대한 지속적인 평가, 둘째, 품질인증제도의 도입 및 강화, 셋째, 지속적인 서비스 교육훈련, 넷째, 치안서비스의 기준 강화를 제시하였다.

에티오피아 모바일화폐 서비스의 채택의향과 사용행태 결정요인 (Determinants of Behavioral Intention and Usage of Mobile Money Services in Ethiopia)

  • ;황기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2호
    • /
    • pp.23-35
    • /
    • 2020
  • 모바일 화폐는 금융 서비스 제공에 혁명을 일으켜 신흥국, 특히 동 아프리카 국가의 금융에 대한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금융 포용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 요소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UTAUT2 모델을 이용하여 에티오피아에서 모바일 화폐 서비스를 채택하려는 개인의 행동 의도 및 실제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결정 요인을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연구 모델과 가설은 에티오피아의 여러 지역에서 200명의 응답자를 추출하여 테스트했다. 데이터 분석 결과는 정부 지원, 성과 기대, 촉진 조건, 모바일 화폐 서비스에 대한 신뢰 및 노력 기대가 에티오피아의 모바일 화폐 서비스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도출된 반면, 사회적 영향과 낮은 거래 비용 요소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모바일 화폐 서비스의 낮은 수수료 책정보다는 적절한 정책과 규정을 통한 모바일 화폐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에티오피아 정부의 적극적 노력과 지원만이 자국의 모바일 화폐 서비스 채택 및 보급을 촉진할 수 있다는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경호전공 대학생들의 학과충성도가 진로정체감 및 직업선택과의 관계 (The Effect of Security Majoring Student' Loyalty on Department to Future Direction and Job Choice)

  • Kim, Sungchul;Kim, Jinhwan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0권3호
    • /
    • pp.408-418
    • /
    • 2014
  • 이 연구는 경호전공 대학생들의 학과 충성도가 진로정체감 및 직업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 변수들 간의 인과관계를 규명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대상은 2012년 2월부터 2012년 8월까지 경기도 Y시에 위치한 Y대학교, 경기도 S시 K대학교, 경상북도 G시 K대학교에 재학중인 경호전공 대학생들 가운데 남 여를 대상으로 모집단을 설정한 후 표집은 무선표집법을 하여 표본을 추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요인간의 내적 적합성 여부를 검토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고, 요인회전의 추출방법은 주성분 분석을 이용하였으며, 회전방식은 베리멕스(varimax) 직교회전방식을 선택하여 내용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그리고 신뢰도 분석은 Cronbach's ${\alpha}$ 값을 사용하여 신뢰도 계수를 측정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내용이 중복 또는 공통성이 낮은 문항은 연구자의 판단에 의하여 삭제함으로써 신뢰도와 타당도를 더 높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인더스트리얼 디자인에 있어서의 생산성 개념과 측정방법 (Productivity Concept and Measuaring Mathod of Industrial Design)

  • 이수봉
    • 디자인학연구
    • /
    • 제14권
    • /
    • pp.181-191
    • /
    • 1996
  • $\ulcorner$ID생산성$\lrcorner$이란 $\ulcorner$인더스트리얼 디자인$\lrcorner$(Industrial Design; 이하 ID로 약칭)과 $\ulcorner$생산성$\lrcorner$(Productivity)을 결합한 용어로서 그 개념은 상품의 디자인개발에 투입된 모든 디자인자원 및 요소의 효율적인 이용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설명될 수 있다. $\ulcorner$ID생산성$\lrcorner$은객관 적인 방법과 주관적인 방법 두 가지 측면에서 측정 할 수 있다. 전자는 투입과 산출의 관계를 가능한 객관적, 정량적으로 분석한다는 방식이며, 후자는 ID의 방법 자체가 극히 주관적이라는 특성을 전제로 하여 $\ulcorner$ID생산성$\lrcorner$을 가능한 한 정상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이다. 전자는 디자인 시간, 디자이너 수 , 경비를 공통의 투입요소로 사용하여 개인별.요소별.디자인문문 전체의 디자인 생산성 측정 그 자체가 불가능하며 신뢰성이 없는 단점이 있다. 후자는 Good Design을 산출요소로 사용하여 개인 및 디자인 부문 전체의 합리적 디자인 생산성 측정이 가능한 반면, 주관적 평가를 위한 설문조사나 분석방법 절차 등이 번거러운 단점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전자보다는 매우 합리적이며 신뢰도가 높다는 이점이 있다.

  • PDF

Treatment of refractory IgA vasculitis with dapsone: a systematic review

  • Lee, Keum Hwa;Hong, Sung Hwi;Jun, Jinhae;Jo, Youngheun;Jo, Woogyeong;Choi, Dayeon;Joo, Jeongho;Jung, Guhyun;Ahn, Sunghee;Kronbichler, Andreas;Eisenhut, Michael;Shin, Jae Il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63권5호
    • /
    • pp.158-163
    • /
    • 2020
  • IgA vasculitis, formerly known as Henoch-Schönlein purpura, is a systemic IgA-mediated vasculitis of the small vessels commonly seen in children. The natural history of IgA vasculitis is generally self-limiting; however, one-third of patients experience symptom recurrence and a refractory course. This systematic review examined the use of dapsone in refractory IgA vasculitis cases. A literature search of PubMed databases retrieved 13 articles published until June 14, 2018. The most common clinical feature was a palpable rash (100% of patients), followed by joint pain (69.2%). Treatment response within 1-2 days was observed in 6 of 26 patients (23.1%) versus within 3-7 days in 17 patients (65.4%). Relapse after treatment discontinuation was reported in 17 patients (65.4%) but not in 3 patients (11.5 %). Four of the 26 patients (15.4%) reported adverse effects of dapsone including arthralgia (7.7%), rash (7.7%), and dapsone hypersensitivity syndrome (3.8%). Our findings suggest that dapsone may affect refractory IgA vasculitis. Multicenter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trials are necessary to determine the standard dosage of dapsone at initial or tapering of treatment in IgA vasculitis patients and evaluate whether dapsone has a significant benefit versus steroids or other medications.

구매기업과의 장기적 거래관계 형성을 위한 공급업체의 전략 수립에 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the Suppliers' Strategy for Developing Long-term Relationship with Buyers)

  • 이윤숙;신호정
    • 한국경영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13-30
    • /
    • 2008
  • We explore the determinants of long-term relationship between the buyer and the supplier to help suppliers develope a strategy to build long-term relationship with their buyers. Based upon an extensive literature review, we propose three droops of independent variables which may affect long-term relationship, including (a) environmental factors (product complexity, product importance, source dependence, price sensitivity), (b) relational factors(trust, commitment, satisfaction, intention of expansion), (c) operational performance(quality, delivery, cost capability, technical knowhow). The buyer's actual period of relationship with its main supplier is used as a dependent variable. Using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 empirically test hypotheses, analysing a sample of 290 manufacturing firms in the U.S. The statistical results indicate that the buyer's source dependence, price sensitivity and the supplier's commitment play a significant role in establishing long-term relationship between the buyer and the supplier. However, the supplier's cost capability and technical knowhow in operational performance negatively affect long-term relationship in contrast with our hypotheses. Due to this controversial result, we divide the sample group Into dual sourcing and multiple sourcing environments and reconduct regression analysis in a post hoc manner. The findings show that the supplier's cost capability and technical knowhow a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length of relationship only in the multiple sourcing environment. The results may confirm that both parties' opportunistic behavior is more salient in the multiple sourcing environment than in the single sourcing environment.

도시의 사회적 다양성이 서울시민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분석 - 다수준모형을 활용하여 - (Social Diversity and Quality of Life among People Living in Seoul: An Application of Multilevel Model)

  • 최희용;서은혜;전희정
    • 지역연구
    • /
    • 제36권1호
    • /
    • pp.69-88
    • /
    • 2020
  • 최근 지역에 거주하는 구성원이 다양한 사회적 배경을 갖는 정도를 의미하는 사회적 다양성 논의가 확산되고 있다. 기존 연구들은 사회적 다양성이 사회적 신뢰, 사회자본 등 삶의 질과 높은 상관관계를 형성하는 개념들과 긍정적 영향관계가 있음을 제시한다. 사회적 다양성의 대칭적 개념인 사회적 분리가 주민의 삶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력이 사회 이슈임을 고려할 때 사회적 다양성과 삶의 질에 대한 직접적이고 심층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지역의 사회적 다양성이 개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력을 다수준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기존 연구 결과에 기초해 전체표본에 대한 분석과 더불어 소득계층을 구분한 분석을 추가적으로 진행하였다. 그 결과, 투입된 다섯 개의 사회적 다양성 지표 중 주민 직업 유형의 다양성을 측정한 직업다양성이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소득다양성의 경우에는 동질성이 높을수록 삶의 질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은 이후 도시정책의 방향 설정에 유용한 정책적 함의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SNS를 통한 군(軍)의 위기관리 커뮤니케이션 전략 :메시지 형태가 장병의 위기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Military Crisis Management Communication on a Social Network Service :Focusing on the effect of message form on the crisis perception of soldiers)

  • 김태웅;양종훈;이상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102-110
    • /
    • 2019
  • 군은 국민의 신뢰를 근간으로 운용된다는 측면에서 위기 발생 시 외부공중의 반응에 매우 민감하게 대처한다. 하지만 군 조직은 다른 여타 조직과 다르게 내부공중인 장병이 군 복무를 통해 군을 체험하고 전역 후 조직을 평가하는 외부공중이 된다는 특수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군의 위기상황 관리 측면에서 내부공중인 장병을 대상으로 한 효과적인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이 무엇인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군 복무 중인 장병들의 미디어 이용행태를 고려해 SNS에서 전달되는 위기관리 메시지 형태(디지털이미지 메시지 vs.텍스트 메시지)가 장병들의 군 조직의 위기에 대한 인식, 메시지 수용도, 그리고 군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실험 결과 디지털이미지 메시지에 노출된 집단이 텍스트 메시지에 노출된 집단보다 군의 위기대응 메시지를 수용하는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군의 위기관리 커뮤니케이션 전략에 대한 실무적 함의를 제공했다.

Capsular Contracture after Breast Augmentation: An Update for Clinical Practice

  • Headon, Hannah;Kasem, Adbul;Mokbel, Kefah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2권5호
    • /
    • pp.532-543
    • /
    • 2015
  • Capsular contracture is the most common complication following implant based breast surgery and is one of the most common reasons for reoperation.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try and understand why this happens, and what can be done to reduce its incidence. A literature search using the MEDLINE database was conducted including search terms 'capsular contracture breast augmentation', 'capsular contracture pathogenesis', 'capsular contracture incidence', and 'capsular contracture management', which yielded 82 results which met inclusion criteria. Capsular contracture is caused by an excessive fibrotic reaction to a foreign body (the implant) and has an overall incidence of 10.6%. Risk factors that were identified included the use of smooth (vs. textured) implants, a subglandular (vs. submuscular) placement, use of a silicone (vs. saline) filled implant and previous radiotherapy to the breast. The standard management of capsular contracture is surgical via a capsulectomy or capsulotomy. Medical treatment using the off-label leukotriene receptor antagonist Zafirlukast has been reported to reduce severity and help prevent capsular contracture from forming, as has the use of acellular dermal matrices, botox and neopocket formation. However, nearly all therapeutic approaches are associated with a significant rate of recurrence. Capsular contracture is a multifactorial fibrotic process the precise cause of which is still unknown. The incidence of contracture developing is lower with the use of textured implants, submuscular placement and the use of polyurethane coated implants. Symptomatic capsular contracture is usually managed surgically, however recent research has focussed on preventing capsular contracture from occurring, or treating it with autologous fat transfer.

The Oncological Safety of Nipple-Sparing Mastectomy: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with a Pooled Analysis of 12,358 Procedures

  • Headon, Hannah Louise;Kasem, Abdul;Mokbel, Kefah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3권4호
    • /
    • pp.328-338
    • /
    • 2016
  • Nipple-sparing mastectomy (NSM) is increasingly popular as a procedure for the treatment of breast cancer and as a prophylactic procedure for those at high risk of developing the disease. However, it remains a controversial option due to questions regarding its oncological safety and concerns regarding locoregional recurrence. This systematic review with a pooled analysis examines the current literature regarding NSM, including locoregional recurrence and complication rates. Systematic electronic searches were conducted using the PubMed database and the Ovid database for studies reporting the indications for NSM and the subsequent outcomes. Studies between January 1970 and January 2015 (inclusive) were analysed if they met the inclusion criteria. Pooled descriptive statistics were performed. Seventy-three studies that met the inclusion criteria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yielding 12,358 procedures. After a mean follow up of 38 months (range, 7.4-156 months), the overall pooled locoregional recurrence rate was 2.38%, the overall complication rate was 22.3%, and the overall incidence of nipple necrosis, either partial or total, was 5.9%. Significant heterogeneity was found among the published studies and patient selection was affected by tumour characteristics. We concluded that NSM appears to be an oncologically safe option for appropriately selected patients, with low rates of locoregional recurrence. For NSM to be performed, tumours should be peripherally located, smaller than 5 cm in diameter, located more than 2 cm away from the nipple margin, and 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2-negative. A separate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of the subareolar tissue and exclusion of malignancy at this site is essential for safe oncological practice. Long-term follow-up studies and prospective cohort studies are required in order to determine the best reconstructive metho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