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eponema denticola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21초

Binding of Tp92 homolog of Treponema denticola to fibronectin and epithelial cells

  • Jun, Hye-Kyoung;Lee, Sung-Hoon;Lee, Hae-Ri;Choi, Bong-Kyu
    • International Journal of Oral Biology
    • /
    • 제33권2호
    • /
    • pp.45-50
    • /
    • 2008
  • Treponema denticola is the best studied oral spirochete and numerous studies have shown that it is strongly associated with periodontitis and expresses several putative virulence factors. In this study, we report on a surface protein of T. denticola, Td92, which is homologous to Tp92 of Treponema pallidum, an agent of syphilis. Immunofluorescence assay and immunogold labeling with anti-Td92 Ab revealed that Td92 had surface-exposed epitopes. And Td92 was capable of binding to fibronectin and KB cells, an oral epithelial cell line. In addition, Td92 could enter the KB cell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d92 is a fibronectin-binding protein which can bind to and internalize into the host cells, facilitating the virulence of T. denticola.

Characterization of Binding of Treponema denticola to Immobilized Fibrinogen using the Fluorescent Fatty Acid Labeling Method

  • Hong, Jin;Lee, Si-Yo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Oral Biology
    • /
    • 제35권3호
    • /
    • pp.107-111
    • /
    • 2010
  • Treponema denticola is a gram-negative anaerobe that can cause periodontal disease. The adhesion of this bacterium to host tissues is considered to be the primary event in the colonization and infection of a host. Fibrinogen is generally found in damaged tissues resulting from periodontitis. The binding ability of T. denticola to fibrinogen may therefore be an important virulence factor in inducing periodontal diseases. It has been reported recently that oral spirochetes can be labeled with fluorescent fatty acids and we speculated that this labeling method could be used in an oral spirochete binding assay. The binding of several different strains of T. denticola to immobilized human fibrinogen was therefore tested using the fluorescent fatty acid labeling method. In the case of immobilized fibrinogen, the T. denticola ATCC 35405 strain showed saturable binding to immobilized fibrinogen. Indeed, all four different T. denticola strains tested in this experiment, T. denticola ATCC 35405, T. denticola ATCC 33520, T. denticola ATCC 35404 and T. denticola OTK showed binding to fibrinogen. The fluorescent fatty acid labeling method thus shows utility in binding assays for T. denticola, different strains of which can generally bind to immobilized fibrinogen.

Postantibiotic Effects and Postantibiotic Sub-MIC Effects of Antibiotics on Treponema Denticola

  • Lee, Si-Yo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Oral Biology
    • /
    • 제34권3호
    • /
    • pp.165-168
    • /
    • 2009
  • Postantibiotic effect (PAE) is defined as the length of time that bacterial growth is suppressed following brief exposure to an antibiotic. In this study, the in vitro PAE, postantibiotic sub-MIC effect (PA SME) and sub-MIC effect (SME) of antibiotics on Treponema denticola ATCC 35405 were investigated. The PAE of doxycycline and metronidazole were 20.3 h and 25.0 h, respectively. The PA SMEs examined by addition of 0.1, 0.2 and 0.3X MICs during the postantibiotic phase of the bacteria for metronidazole were longer than those for doxycycline. In contrast, the SMEs for doxycycline were longer than those for metronidazole. The PA-SME and SME values increased as the concentration of antibiotics increased. The present study illustrates the existence of PAE, PA-SME and SME for several antibiotics against T. denticola, thereby extending the pharmacodynamic advantages of these antibiotics.

Treponema denticola 분쇄액에 의한 파골세포 형성 효과 (Effect of Sonicated Extract of Treponema Denticola on Osteoclast Differentiation)

  • 최봉규;이현정;정국진;정순희;곽월아;유윤정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9권4호
    • /
    • pp.995-1005
    • /
    • 1999
  • Alveolar bone destruction is a character-istic of periodontal disease. Treponema denticola are found in significantly increased numbers in the sites affected with periodontal disease. In order to clarify the role of T. denticola in destruction of alveo-lar bone in periodontal disease,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determine the effect of sonicated extract of T. denticola on osteo-clast differentiation in co-culture system of mouse bone marrow cells and calvaria cells. The ability of osteoclast formation was estimated by counting the number of tar-tartrate resistant acid phosphatase(TRAP) positive cells. Sonicated extract of this bacteria stimulated osteoclast formation in a dose dependent manner(p<0.05). Indomathacin, an inhibitor of prostaglandin synthesis, decreased osteoclast formation induced by sonicated extract of this bacte-bacteria(p<0.05). Extract-induced osteoclast formation was decreased, when sonicated extract of bacteria was heated(p<0.05).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 denticola induces osteoclast differentiation, and protein component of this bacteria and $PGE_2$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this process.

  • PDF

Treponema denticola 분쇄액에 의한 조골세포분화 억제효과 (Effect of sonicates of Treponema denticola on osteoblast differentiation)

  • 최봉규;강정화;진승욱;옥승호;이승일;유윤정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3권1호
    • /
    • pp.79-89
    • /
    • 2003
  • 치주질환은 세균감염에 의해 치조골이 파괴되는 염증성질환으로서 치아상실의 주된 원인이다. Treponema denticola는 성인성 치주염의 병소에서 자주 발견되는 세균으로서 부착능 및 단백분해효소생성능과 같은 독성 인자가 밝혀져 치주조직 파괴에 있어서 중요성이 강조되어 왔다. 골개조는 조골세포의 골형성및 파골세포에 의한 골흡수의 균형에 의하여 유지되며 치주염시 야기되는 치조골파괴는 조골세포 및 파골세포 기능의 불균형에 의하여 야기되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다. 골세포에 대한 영향으로서 T. denticola는 파골세포의 형성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나 조골세포에 대한 영향은 아직 밝혀져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T. denticola가 골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마우스의 두개골세포로부터 조골세포를 분리한 후 T. denticola분쇄액으로 처리하여 본 세균이 조골세포의 alkaline phosphatase(ALPase) 활성, 석회화결절 형성 및 Prostaglandin $E_2\;(PGE_2)$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ALPase활성은 p-nitrophenylphosphate분해능, 석회화결절형성은 Von Kossa 염색법, 그리고 PGE2의 농도는 효소면역측정법으로 측정하였다. T. denticola분쇄액 (2.5 ug/ml)은 마우스 두개골세포의 ALPase활성을 억제하였으며 석회화결절의 형성을 감소시켰다. 또한 동일한 농도의 균분쇄액은 마우스 두개골세포의 $PGE_2$ 생산을 증가시켰다. 균분쇄액과 prostaglandin의 합성억제제인 indomethacin으로 세포를 동시에 처리한 경우 T .denticola분쇄액에 의한 $PGE_2$의 생산은 감소되었으나, ALPase의 활성억제에는 변화가 없었다. 균분쇄액을 열처리하여 마우스 두개골세포에 처리하였을 때에도 ALPase의 활성이 억제되는 것에는 변함이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T. denticola의 구성성분 중 열에 안정한 물질이 prostaglandin과 무관한 경로를 통해 조골세포의 분화를 억제함을 시사하며 이와 같은 T. denticola에 의한 골형성억제가 치주염시 야기되는 치조골 파괴에 관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reponema denticola 면역억제 단백질이 T 세포의 cytokine 발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reponema denticola immunoinhibitory protein on cytokine expression in T cells)

  • 이상엽;손원준;이우철;백승호;배광식;임성삼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9권5호
    • /
    • pp.479-484
    • /
    • 2004
  • 감염근관내 spirochetes의 존재 유무에 대한 논란이 많았으나 최근 PCR을 사용한 세균검출 실험에서 Treponema denticola 균주가 감염근관의 50%이상의 경우에서 발견됨에 따라 이 세균이 치수 및 치근단 질환의 병인과정에 관여하는 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Shenker 등이 T. denticola의 sonicated extract에서 순수분리된 면역억제 단백질 (immunoinhibitory protein)이 T 임파구의 proliferation을 방해함을 보고한 바 있다. 하지만 이 세균성 단백질이 T 임파구의 기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T. denticola의 면역억제 단백질이 처리되기 전과 후의 T 세포에서 분비되는 cytokine Interleukine-2와 Interleukine-4의 발현 정도를 비교하여 그 작용기전을 밝히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Treponema denticola LL2513를 혐기성 상태에서 TYGVS 배지에 배양한 다음 PBS 세척과 lyophilize 과정을 거친 후 sonication을 시행한다. 이 과정을 거쳐 추출된 상층액이 T. denticola의 면역억제 단백질인 sonicated extract이다. 실험을 위해 건강한 혈액 공여자로부터 T 세포를 Buoyant density 방법으로 추출해 낸 다음 24-well plate에 100만개의 세포를 주입한 다음 Group 1에는 2% FBS의 medium만으로 배양하고, Group 2에는 100 $\mu$l의 PHA로만 증식 자극을 하였고, Group 3에는 PHA처리 전 sonicated extract로 T세포를 자극하였다. 72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상층액을 추출하여 ELISA assay를 사용하여 IL-2와 IL-4의 발현정도를 측정하였다. PHA로 자극받은 Group 2에서는 IL-2와 IL-4가 대조군인 Group 1에서보다 높은 수준으로 발현되었다. 하지만 $12.5{\;}\mu\textrm{g}/ml$의 T. denticola sonicated 추출물로 전처리한 Group 3에서는 IL-2와 IL-4의 수준이 유의성있게 억제되어 발현되었다 (p < 0.05).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T. denticola에서 추출된 면역억제 단백질이 Th1과 Th2의 cytokine 분비 기능을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 되었으며 이 기전이 감염 근관에서 발견되는 T. denticola의 치수 및 치근단 질환에 대한 병인기전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Treponema denticola와 Treponema lecithinolyticum의 분쇄액이 치은섬유아세포의 Cytokine 분비 및 Matrix metalloproteinase 활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onicated Extracts of Treponema Denticola and Treponema Lecithinolyticum on the Cytokine Secretion and Matrix Metalloproteinase Activation of Gingival Fibroblast)

  • 서혜연;최봉규;최성호;조규성;김종관;채중규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9권4호
    • /
    • pp.979-995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치주질환과 관련이 깊은 것으로 알려진 구강내 spirochetes 균중 Treponema denticola 분쇄액(TDC)과 가장 최근에 분리 배양된 Treponema lecithinolyticum 분쇄액(TLC)이 치은섬유아세포의 cytokine 분비 및 matrix metalloproteinase(MMP)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기 위하여 균의 분쇄액을 치은섬유아세포에 처리한 후 Interleukin-6(IL-6)와 $Interleukin-1{\beta}(IL-1{\beta})$의 분비 증가 여부를 ELISA를 통하여 측정하였으며, 또한 gelatinase zymography와 gelatin 분해능 측정을 통하여 교원질 분해 효소의 하나인 pro-MMP-2(progelatinase A)의 활성화 여부를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TDC와 TLC가 치은섬유아세포의 IL-6 분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본 결과, TDC 와 TLC 처치군에서 세균 분쇄액이 없는 비처치군에 비해 IL-6 분비량이 증가하였으며 유의성 있는 차이가 있었다(p<0.05). 2. TDC 와 TLC로 처리한 치은섬유아세포의 $IL-1{\beta}$ 분비는 측정 가능치(1pg/ml)이하의 분비량이 관찰되었다. 그러므로 $IL-1{\beta}$의 분비에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 3. 치은섬유아세포에서 분비되는 분자량 72 kDa의 pro-MMP-2가 TDC와 TLC에 의해 활성형으로 발현되어 zymography상에서 62kDa의 위치에 clear band로 나타났다. 4. 치은섬유아세포가 분비하는 MMP-2의 gelatin 분해능이, TDC와 TLC 처치군에서 비처치군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유의 성 있는 차이가 있었다(p<0.05). 5. TDC 처치군에서는 gelatin 분해능에 있어서 세균 자체의 serin protease의 영향이 있었으나 TLC 처치군에서는 치은섬 유아세포의 MMP에 의해서만 gelatin이 분해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보아 TDC와 TLC는 치은섬유 아세포를 자극하여 IL-6 의 분비는 증가시킬 수 있으나 $IL-1{\beta}$의 분비에는 영향을 미칠 수 없으며, 치은섬유아세포에서 분비되는 pro-MMP-2를 활성형으로 발현시켜 결합조직의 파괴를 야기함으로서 치주 질환의 병인론에 기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치주병원균의 성장에서의 heme의 영향 (Heme effects of hemin on growth of peridontopathogens)

  • 유현준;이성훈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7권1호
    • /
    • pp.31-38
    • /
    • 2021
  •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치주병원균에 대한 헴의 영향을 살펴보기 위함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치주낭에 존재하는 7종의 혐기성세균을 이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세균을 혐기환경에서 배지를 이용하여 hemin의 있고 없음으로 하여 배양을 하였다. 세균의 성장은 매 6시간마다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헤민의 존재여부에 따른 성장의 차이는 Porphyromonas gingivalis에서만 관찰되었다. Treponema denticola를 제외한 치주병원균의 성장은 헤민의 농도에 의존적인 것으로 관찰되었다. T. denticola의 성장은 헤민에 의해 방해를 받았다. 결론: 헴은 치은연하 치태의 미생물 생태계에서 미생물분포의 불균형을 유도하여 치주염을 유발하는 환경을 조장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