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ee Producing

검색결과 119건 처리시간 0.02초

Aspergillus flavus Y2H001의 식물생육촉진과 Gibberellin A3의 생산 (Plant Growth Promotion and Gibberellin A3 Production by Aspergillus flavus Y2H001)

  • 유영현;박종명;강상모;박종한;이인중;김종국
    • 한국균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200-205
    • /
    • 2015
  • 경상북도 성주군의 농경지에서 자생하는 들깨를 채집하여 이로부터 형태학적으로 상이한 15개의 내생진균을 순수 분리하였다. 이들의 배양여과액을 이용하여 난장이벼의 유묘에 처리하여 식물생장촉진 활성을 조사한 결과, 이들 중 Y2H001균주가 식물생장활성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Y2H001균주의 ITS영역 염기서열과 ${\beta}$-tubulin 유전자 염기서열을 사용하여 계통학적 유연관계를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분자계통학적 분석 및 형태학적 관찰을 통해 Aspergillus flavus로 동정되었다. 또한 A. flavus Y2H001균주의 배양여과액을 GC/MS를 통하여 분석하였고 식물생장을 촉진하는 원인물질로 $GA_3$ (1.954 ng/mL)를 생산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송이 감염묘 육성을 위해 야외 조건에서도 송이균 생존이 가능한 소나무의 최소 크기 결정 (Determination of the Minimum Size of Seedlings with Matsutake Mycelia That Can Survive in the Field for Matsutake-infected Pine Tree Production)

  • 가강현;김희수;전성민;유림;장영선;왕은진;정연석
    • 한국균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188-195
    • /
    • 2017
  • 송이는 세계적으로 상용 가치가 높은 버섯이나, 아직까지 자연 채취에 의존하고 있다. 현재까지 송이 감염묘를 통해 송이를 한 개씩 발생시키는 것까지는 한국과 일본에서 성공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송이 감염묘법에서 송이균이 생존할 수 있는 소나무의 최소 크기를 결정하고자 하였다. 송이 감염묘에서 송이균이 생존한 것은 이식 2년째에 14본(50%)과 이식 1년째에 10본(71%)이었다. 이식 후 송이균이 생존한 송이 감염묘는 이식 당시 평균 수고가 25 cm (최소 12 cm ~ 최대 40 cm) 였다. 결론적으로 송이 감염묘의 수고가 최소 12 cm 이상이 되면, 야외 조건에서 송이균이 생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 결과는 기존의 송이 감염묘에서 사용하는 기주식물의 크기를 획기적으로 줄여 송이 감염묘 방법을 개선하였고, 송이 인공재배를 위해 어느 정도 크기의 소나무를 활용하는 것이 좋을 지의 기준을 제시하였다.

뽕나무 절지의 저장 습도가 새싹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torage Humidity on the Sprout Growth of Mulberry Cut Twigs)

  • 배종향;조자용;김병운;장홍기;허북구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20-25
    • /
    • 2008
  • 목본류의 절지를 이용한 싹기름 채소생산의 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뽕나무 가지를 2006년 4월 13일에 절지하여 $4{\sim}6^{\circ}C$의 저온저장고에서 습도조건($40{\sim}50%$$80{\sim}90%$)에 따른 생존율과 $1{\sim}3$개씩의 싹을 붙인 가지를 자른 후 싹기름을 했을 때 저온저장 일수에 따른 새싹의 생장 정도를 조사하였다. 뽕나무 절지의 생존율은 저장일수가 길수록 낮아져 저온저장을 하지 않은 채취 당일에 싹기름을 한 것은 97.4%였고, 122일 저온저장한 후 싹기름을 한 절지는 $40{\sim}50%$의 습도조건에서 34.2%, $80{\sim}90%$의 습도조건에서 저장한 것은 85.7%였다. 또한 절지의 저장일수가 길수록 새싹의 잎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싹의 길이와 폭도 큰 경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뽕나무의 절지를 $4{\sim}6^{\circ}C$의 저장온도와 $80{\sim}90%$의 습도조건에서 저장한 후 $1{\sim}3$개씩의 싹을 붙인 가지를 잘라 싹기름을 하면 새싹 채소의 생산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Aspergillus SP. 균주에 의한 Gluconic Acid 생산조건에 관한 연구 (Studies on Conditions of the Gluconic Acid Production by a Mold isolated from the Soil of Seoul Area)

  • 양호석;김동훈;양한철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93-102
    • /
    • 1980
  • 서울 근교의 토양과 나무잎을 시료로 체취하여 여기서 gluconic acid의 생산성이 우수한 Aspergillus SP. 로 동정된 잠정적으로 KUF-O4로 명명한 균주를 분리하여 여러가지 배양조건으로 gluconic acid 생산성을 연구하였다. 그 실험 결과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배양시간은 30시간에서 40시간 사이가 적합하였으며 40시간이 경과되면 오히려 생산량이 감소하였다. 2. CaCo$_3$는 10g/100ml의 Glucose를 배지에서 3g/100ml 이상이 첨가되어야 양호하였다. 3. 탄소원으로서는 Glucose의 chain이 갈수록 불량하였으며 glucose가 가장 적합하였다. 4. 질소원으로서는 NH$_4$태 질소가 NO$_3$태나 유기태 질소보다 우수한 결과이었으며 그 농도는 (NH$_4$)$_2$SO$_4$로서 0.1g/1,000m1 내지 0.5g/1,000ml이었다. 5. 무기염으로서는 KH$_2$PO$_4$와 MgSO$_4$를 소량 첨가시키는 편이 생산성을 향상시켰으며 그 농도는 전자는 0.1g/1,000ml이고 후자는 0.5g/l,000ml 이었다. 한편 미량첨가물로서 Vitamin와 amino acid는 별다른 효과를 인지할 수 없었다. 이상과 같이 KUF-04 균주를 잘 이용한다면 앞으로 gluconic acid를 공업적으로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Egr-1 유전자의 발현 유도물질을 생산하는 항균성 저 영양 세균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Three Pseudomonas koreensis Strains with Anti-microbial Activities Producing Inducers of the Expression of Egr-1 Gene)

  • 윤상홍;김동관;이영한;신순영;권순우;이창묵;강한철;구본성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19-125
    • /
    • 2011
  • 전국 경작지 토양에서 분리한 저 영양 세균 3,800주를 대상으로 암 억제유전자의 작동과 관여하는 전사인자인 Egr-1의 promoter 활성화를 유도하는 세 균주(SSG5, SSG6, SSG10)가 Egr-1 reporter assay와 western blotting 분석으로 최종 선발되었다. 이들 선발 균주들은 16S rDNA와 상업용 생화학적 키트(API 20NE, API ZYM, ID 32GN) 분석에 의해 모두 Pseudomonas koreensis인 것으로 최종 동정되었다. 이들 균주들은 Egr-1 발현을 유도하는 물질뿐만 아니라 다양한 세균의(B. subtilis, S. aureus, and L. monocytogenes) 성장을 저해하는 항균물질도 생산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사과 경엽 살포용 살균제의 겹무늬썩음병균에 대한 포자형성 억제작용과 그것이 병 방제에 미치는 영향 (Suppressive Activities of Foliar Spray Fungicides for Apple Against Sporulation of Botryosphaeria dothidea, the Causal Fungus of White Rot, and Their Role in Disease Control)

  • 이동혁;조래홍;신정섭;엄재열
    • 식물병연구
    • /
    • 제12권3호
    • /
    • pp.240-248
    • /
    • 2006
  • Control of white rot which is one of the most serious apple diseases in Korea has mainly relied on periodical spray of protective fungicides. As the main inoculum source of the disease is pycnidiospores produced in the warts formed on affected stems of apple tree, it can be conceivable that inhibition of spore production might be an effective means for controlling the disease. Inhibitory efficacy of eight selected fungicides against sporulation of the fungus was assessed by counting the number of spores produced at detached warts treated with the fungicides of recommended dilution. They showed diverse effect on sporulation. Carbendazim and azoxystrobin suppressed sporulation almost completely, the former irreversively. Thiram and folpet promoted sporulation as producing much more number of spores than untreated control. Others showed almost no effect on sporulation. Effects of suppression and promotion in the sporulation shown by the fungicides on the control of white rot were examined by incidences of disease and infection at the plots adopted the spray programs of which the fungicide at late May was substituted by carbendazim, azoxystrobin, folpet and thiram, respectively. Disease incidence and infection frequency at the plots sprayed former two chemicals which suppressed sporulation were much lower than those of the plots adopted latter two chemicals and untreated plot at which the fungicide spray was skipped at that time. These facts were reconfirmed in the experiments conducted with carbendazim and thiram, in which 100 fruits were bagged just prior to each spray from late May to late July for elucidating the effect of the two fungicides on the action of subsequent ones. Disease incidence and infection frequency on the fruit bagged just prior to each spray were gradually increased as the seasons going on. The increase rate at the carbendazim plot was much lower than that of thiram. Especially, the fruit infected till late July at the carbendazim plot were almost completely cured by the three fungicides, iminoctadine-triacetate, tebuconazole and samzinwang, a combined formular of iminoctadine-triacetate and difenoconazole, sprayed at late July and hence. In thiram plot, infected fruit were also cured by the 3 fungicides but not remarkable. From thes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control efficiency of white rot can be greatly enhanced by selecting the fungicide capable of suppress the sporulation of white rot fungus at the season when the mass dispersal of spores is not initiated.

북한 지역을 대상으로 한 조림 CDM 사업의 경제적 타당성 연구 (An Economic Feasibility Study of AR CDM project in North Korea)

  • 한기주;윤여창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6권3호
    • /
    • pp.235-244
    • /
    • 2007
  • 본 연구는 교토의정서에서 인정하고 있는 조림 CDM을 북한 지역에 적용하였을 때의 경제적 타당성을 분석하였다. 기존의 북한 산림면적 추정에 관한 연구결과를 활용하여 조림 CDM을 적용할 수 있는 잠정 대상 면적을 추정한 결과 북한에는 조림 CDM 사업이 가능한 황폐임지가 약 51만 ha가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경제적 타당성 검토 대상지로 선정된 개성지역에는 약 8,000 ha의 CDM조림사업이 기능한 황폐임지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성지역의 산림황폐지에 북한의 주요조림수종 가운데 하나인 아까시나무(Robinia pseudoacacia)를 인공조림하고 20년 동안 유지함으로써 기존의 토지이용에 비하여 탄소고정을 증가시키는 사업을 조림 CDM사업으로 설정하였다. 수목의 탄소흡수량을 추정하고 사업을 시행하는데 필요한 산림조성 비용, 사전행정비용, 배출권 관련 행정비용을 포함하는 비용을 분석함으로써 조림 CDM사업의 경제적 효과성을 평가하였다. 개성지역 황폐임지에 아까시나무를 조림하여 20년 동안 유지하는 CDM 사업을 통해서 흡수할 수 있는 이산화 탄소량은 ha당 약 $376\;tCO_2$로 추정되었으며 배출권 판매 시나리오별로 생산할 수 있는 배출권량은 총 사업기간을 통해 tCER이 503 tCER/ha, lCER이 265 lCER/ha로 나타났다. 총 투입된 비용을 기준으로 tCER 한 단위를 생산하는 데 투입된 비용은 US$ 4.04로 나타났고 lCER 한 단위를 생산하는 데는 US$ 7.67로 나타났다. 그러나 tCER과 lCER은 시장 가격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단순히 배출권량만으로 그 경제적 수익성에 있어서의 우위를 가름하기는 힘들다.

한국의 밤나무 재배품종에 대한 밤나무혹벌 내충성 검정 (Resistance to Chestnut Gall Wasp (Dryocosmus kuriphilus) of Chestnut Cultivars Cultivated in Korea)

  • 김만조;황명수;김선창;이욱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6권3호
    • /
    • pp.295-299
    • /
    • 2007
  • 밤 주산지별로 최적 재배품종을 선발하기 위하여 현재 재배되고 있는 주요 품종 및 국립산림과학원에서 육성된 신품종, 그리고 민간에서 육성된 지방품종을 대상으로 밤나무혹벌 (Dryocosmus kuriphilus)에 대한 내충성을 검정하였다. 2004년~2006년 3년간 밤나무혹벌 피해를 조사한 결과 중부지방의 공주와 충주 검정림에서는 모든 품종에서 밤나무혹벌의 피해가 전혀 나타나지 않았으나 남부지방의 광양, 산청 및 합천 검정림에서는 대부분의 품종에서 밤나무혹벌 피해를 관찰할 수 있었다. 지역별로는 합천지역이 밤나무혹벌 피해가 가장 심각함을 알 수 있었으며, 품종별로는 국립산림과학원에서 육성된 광은, 산대, 은산, 이대 품종이 저항성이 가장 높았고, 반면에 단택, 이평, 창방감율, 평기, 광덕, 세일, 신이평, 유마변이 품종은 20% 이상의 높은 피해율을 보여 상대적으로 밤나무혹벌에 대한 저항성이 낮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조사부위별로 결과지보다는 소약지에서 피해율이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밤나무혹별 피해가 심한 광양, 산청 및 합천에서 주요 재배품종을 대상으로 년차별 밤나무혹벌 피해율의 변동을 조사한 결과 2005년을 기점으로 2006년에는 피해율이 현저히 감소함을 관찰할 수 있었는데, 이는 밤나무혹벌의 천적인 기생벌류의 밀도변동 등 생물학적 요인에 크게 영향을 받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떫은감 경영 표준진단표의 개발 및 현지 적용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tandard Diagnostic Table for Astringent Persimmon Management)

  • 전준헌;이성연;이정민;지동현;오찬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4권3호
    • /
    • pp.488-494
    • /
    • 2015
  • 경영 표준진단표를 통해 재배자 스스로 경영 진단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참고하여 임가 경영 개선에 도움이 되고자 떫은감 경영 표준진단표를 개발하여 주산단지의 임가를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떫은감 경영 표준진단표는 임가 일반 현황과 경영 성과 지표, 그리고 경영 진단을 위한 3개의 대분류 항목과 18개의 중분류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떫은감 경영 표준진단표 작성을 위해 떫은감 주산단지 10개 시 군 241임가의 경영 실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경영수준 진단을 위해서 18개 중분류 항목의 점수를 합산하여 총점을 산출하였다. 조사 결과 241임가의 평균 점수는 57.4점이었으며 전체 임가의 62%가 40점 이상 60점 미만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 진단항목 결과를 살펴보면 경영기반 지표에서는 나무높이 항목의 점수가 충남 지역에서만 평균 점수보다 현저히 낮은 점수를 나타냈는데 이는 조사 지역의 나무가 30년 이상 된 고령목들이 많아 영향을 준 것으로 생각된다. 생산기술 지표에서 결실조절 항목의 전국 평균 점수는 1.96점으로 상당히 낮은데 떫은감은 단감과 달리 적뢰 적과를 거의 하지 않고 자연 낙과를 통해 스스로 조절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경영 및 판매능력 지표의 자재구입 항목에서는 전국 평균 점수가 2.01점으로 조사 임가의 60% 이상이 대부분의 자재를 개별적으로 선택하고 협상하여 구입한다고 응답하였다. 공동으로 구입한다고 응답한 임가들은 대부분 작목반 단체로 구입하는 경우인 것으로 나타났다.

용인 함박산 토양에서 분리한 Paenibacillus sp. HX-1의 동정과 endo-${\beta}$-1,4-xylanase 생산 증가를 위한 배지최적화 (Enhanced Production of Endo-${\beta}$-1,4-xylanase from Paenibacillus sp. HX-1 Newly Isolated from Soil Samples at Hambak Mountain in Yongin city, Korea)

  • 지원재;김종희;홍순광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63-271
    • /
    • 2013
  • 균주 HX-1은 토양샘플로부터 분리된 자일라네이즈 생산 미생물로서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과 이를 이용한 phylogenetic tree 제작을 통하여 Paenibacillus 속의 한 종으로 동정되었다. 그러나 HX-1 균주가 계통발생적 연관관계가 높은 기존에 알려진 표준군주들과는 상당히 다른 생리적-생화학적 특성을 나타내는 사실로부터 HX-1이 신아종일 것으로 판단하고, Paenibacillus sp. HX-1으로 명명하였다. 균주 HX-1로부터의 자일라네이즈 생산을 증가시키는 배지조건을 탐색하여 최적화된 TNX 배지(1% bacto tryptone, 0.7% 자일란, 1% NaCl; pH 7.0)에서 약 7.4배에 달하는 자일라네이즈 생산량의 증가가 가능하였다. 균주 HX-1이 분비하는 자일라네이즈는 pH 7.0과 $45^{\circ}C$에서 최적의 효소활성을 나타냈으며, beechwood 자일란을 기질로 하는 효소반응으로부터 xylobiose를 최종산물로 생산하는 endo-${\beta}$-1,4-xylanase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로부터 동정된 Paenibacillus sp. HX-1은 다양한 산업에 응용이 가능한 새로운 자일라네이즈를 제공할 수 있는 중요한 균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