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istance to Chestnut Gall Wasp (Dryocosmus kuriphilus) of Chestnut Cultivars Cultivated in Korea

한국의 밤나무 재배품종에 대한 밤나무혹벌 내충성 검정

  • Kim, Mahn-Jo (Dept. of Forest Genetic Resources,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Hwang, Myoung-Soo (Dept. of Forest Genetic Resources,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Kim, Sun-Chang (Dept. of Forest Genetic Resources,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Lee, Uk (Dept. of Forest Genetic Resources,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김만조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유전자원부) ;
  • 황명수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유전자원부) ;
  • 김선창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유전자원부) ;
  • 이욱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유전자원부)
  • Received : 2007.03.08
  • Accepted : 2007.04.11
  • Published : 2007.06.30

Abstract

Resistance to chestnut gall wasp (Dryocosmus kuriphilus) of Korean prevailing chestnut cultivars, new cultivars released by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KFRI), and local cultivars by growers was investigated to select optimal cultivars suitable for main chestnut producing areas. During three years investigated from 2004 to 2006, we could find no damage by chestnut gall wasp in any cultivars of test sites located in Gongju and Chungju of the central area. However, most cultivars of Gwangyang, Sancheong and Hapcheon sites located in the southern area showed a lot of damage by chestnut gall wasp. Hapcheon was most severe in comparison with regional damage by chestnut gall wasp. From comparison among cultivars, Kwangeun, Sandae, Eunsan and Idae released by KFRI showed no damage suggesting the highest resistant cultivars. On the contrary, over 20% in total damage by chestnut gall wasp was investigated in Tanzawa, Riheiguri, Kurakata-amaguri, Pyeonggi, Gwangdeok, Seil, Sinipyeong and Yumabyuni suggesting susceptible cultivars. In damage by chestnut gall wasp according to investigated position within tree, weak shoot was more severe than bearing shoot. Damage by chestnut gall wasp of major cultivars in Gwangyang, Sancheong and Hapcheon sites was remarkably decreased in 2006, and it seems to be caused by biological control by natural enemies such as Torymus sinensis.

밤 주산지별로 최적 재배품종을 선발하기 위하여 현재 재배되고 있는 주요 품종 및 국립산림과학원에서 육성된 신품종, 그리고 민간에서 육성된 지방품종을 대상으로 밤나무혹벌 (Dryocosmus kuriphilus)에 대한 내충성을 검정하였다. 2004년~2006년 3년간 밤나무혹벌 피해를 조사한 결과 중부지방의 공주와 충주 검정림에서는 모든 품종에서 밤나무혹벌의 피해가 전혀 나타나지 않았으나 남부지방의 광양, 산청 및 합천 검정림에서는 대부분의 품종에서 밤나무혹벌 피해를 관찰할 수 있었다. 지역별로는 합천지역이 밤나무혹벌 피해가 가장 심각함을 알 수 있었으며, 품종별로는 국립산림과학원에서 육성된 광은, 산대, 은산, 이대 품종이 저항성이 가장 높았고, 반면에 단택, 이평, 창방감율, 평기, 광덕, 세일, 신이평, 유마변이 품종은 20% 이상의 높은 피해율을 보여 상대적으로 밤나무혹벌에 대한 저항성이 낮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조사부위별로 결과지보다는 소약지에서 피해율이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밤나무혹별 피해가 심한 광양, 산청 및 합천에서 주요 재배품종을 대상으로 년차별 밤나무혹벌 피해율의 변동을 조사한 결과 2005년을 기점으로 2006년에는 피해율이 현저히 감소함을 관찰할 수 있었는데, 이는 밤나무혹벌의 천적인 기생벌류의 밀도변동 등 생물학적 요인에 크게 영향을 받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구교상, 김감영, 김경희, 김만조, 김선창, 박재복, 신상철, 안창영, 이문호, 이상현, 전현선, 정진현, 주린원, 최광식, 황명수. 2001. 밤나무 재배관리 기술. 임업연구원. pp.366
  2. 김만조. 2005.산림수종 육종현황 및 품종육성. 한국종자연구회지 2(1): 19-36
  3. 김종국. 1993. 밤나무흑벌의 천적종류와 발생소장. 한국응용곤충학회지 32(3): 285-290
  4. 김종국. 1998. 밤나무흑벌의 기생천적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87(3): 475-482
  5. 김종국. 1999. 밤나무흑벌의 기생천적 Torymus sinensis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한국응용곤충학회지 38(2): 85-91
  6. 김철수, 김종국, 박지두, 신상철, 박일권, 최광식. 2003. 밤나무흑벌의 피해가 밤나무 신초생장과 착과수에 미치는 영향. 한국임학회지 92(3): 222-226
  7. 김철수, 박일권, 김종국, 박영석, 신상철, 정영진, 최광식, 전문장. 2005a. 밤나무 품종에 따른 밤나무흑벌의 산란 선호성. 한국응용곤충학회지 44(2): 157-159
  8. 김철수, 박일권, 김종국, 신상철, 정영진, 최광식.2005b. 밤나무흑벌(Dryocosmus kuriphilus)에 관한 생물학. 한국응용곤충학회지 44(3): 219-223
  9. 박지두, 이상옥, 박기남, 고제호, 1981. 내충성 밤나무를 가해하는 밤나무흑벌의 생태와 피해. 임업시험장 연구보고 28: 197-205
  10. Moriya, S., Shiga, M. and Adachi, I. 2002. Classical biological control of the chestnut gall wasp in Japan. Proceedings of the 1st International Symposium on Biological Control of Arthropods. pp. 407-415. University of Hawaii, Waikiki (US)
  11. Oho, N. and Shimura, I. 1970. Research process on the chestnut gall wasp and some recent problems about its damage. Shokubutsu Boeki (plant Protection) 24: 421-427
  12. Oho, N. and Umeya, K. 1975. Chestnut gall wasp is found in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Shokubutsu Boeki (plant Protection) 29: 463-464
  13. Yasumatsu, K. 1951. A new Dryocosmus injurious to chestnut trees in Japan (Hym., Cynipidae). Mushi. 22: 89-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