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ee Diagnosis

검색결과 264건 처리시간 0.025초

담도폐쇄증의 개요 (Overview of Biliary Atresia)

  • 전태연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3권5호
    • /
    • pp.979-990
    • /
    • 2022
  • 담도폐쇄증은 간외 담도의 진행성, 특발성, 섬유 폐쇄성 염증질환으로 신생아기에 담도 폐쇄가 나타나고 소아 간이식의 가장 흔한 적응증이다. 조기에 치료하지 않으면 간경화가 진행되어 2세 이전에 사망하게 된다. 오늘날 Kasai portoenterostomy와 간이식 수술기법의 발달로 담도폐쇄증 환자의 90% 이상이 성인기까지 생존한다. 따라서 Kasai portoenterostomy의 성공 가능성은 시간이 지날수록 줄어들기 때문에 조기 진단이 매우 중요하다. 이 고찰은 담도폐쇄증의 원인, 분류, 유병률, 임상양상, 치료와 예후를 최신 지견을 중심으로 종합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복숭아순나방과 복숭아순나방붙이의 분자동정법 개발 및 복숭아와 자두에서의 발생차이 (Molecular Diagnosis of Grapholita molesta and Grapholita dimorpha and Their Different Occurrence in Peach and Plum)

  • 안승준;최경희;강택준;김형환;김동환;조명래;양창열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2권4호
    • /
    • pp.365-370
    • /
    • 2013
  • 복숭아순나방붙이(Grapholita dimorpha Komai)는 동북아시아에 주로 발생하는 과수 해충으로, 국내에서는 2009년에 사과에 피해를 준다는 것이 보고되었으나, 그 이외의 과수에서는 직접적인 피해가 명확히 알려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핵과류인 복숭아와 자두를 대상으로 복숭아 순나방류의 피해로 보이는 피해순과 피해과를 채집하여, 복숭아순나방붙이와 그 유사종인 복숭아순나방(Grapholita molesta Busck)의 피해율을 비교 조사하였다. 두 유사종의 정확한 구별을 위해 우선 종 특이적 프라이머와 PCR 반응조건을 이용한 분자동정법을 개발하였다. 복숭아와 자두의 신초와 과실을 가해하는 종을 야외에서 채집하여 분자동정법으로 확인한 결과, 복숭아의 신초와 과실은 거의 모두 복숭아순나방이 가해하였으며, 자두는 신초의 경우 복숭아순나방이, 과실의 경우 복숭아순나방붙이가 주로 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복숭아와 자두에서 조사한 신초는 모두(100%) 복숭아순나방에 의해 피해를 받았으나, 복숭아 과실은 대부분(92.5%) 복숭아순나방이, 자두 과실은 대부분(97.0%) 복숭아순나방붙이가 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복숭아순나방붙이가 복숭아 보다는 자두 과실에 주로 피해를 준다는 것을 보여주며, 특히 자두나무에서도 신초와 과실에 따라 각기 다른 종이 피해를 준다는 점을 보여준다. 이렇게, 기주식물에 따라 두 유사종의 가해특성이 다른 것은 복숭아와 자두과원에서 두 종의 발생을 예찰하는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여겨진다.

수목(樹木)의 수분특성(水分特性)에 관한 생리(生理)·생태학적(生態學的) 해석(解析)(VI). P-V 곡선법(曲線法)에 의한 활엽수(闊葉樹) 20종(種)의 내건성(耐乾性) 진단(診斷) (Ecophysiological Interpretations on the Water Relations Parameters of Trees(VI). Diagnosis of Drought Tolerance by the P-V Curves of Twenty Broad-Leaved Species)

  • 한상섭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0권2호
    • /
    • pp.210-219
    • /
    • 1991
  • P-V 곡선법(曲線法)을 적용(適用)하여 20종(種)의 낙엽활엽수(落葉闊葉樹)에 대한 내건성진단(耐乾性診斷)을 하였다. 엽(葉)의 수분특성인자(水分特性因子) 중 내건성판별(耐乾性判別)에 적합(適合)한 인자(因子)는 최대포수시(最大飽水時)의 삼투(滲透)포텐셜 (${\Psi}_0{^{sat}}$), 초기원형질분리점(初期原形質分離點)의 삼투(滲透)포텐셜(${\Psi}_0{^{tlp}}$), 세포막(細胞膜)의 최대탄성계수(最大彈性係數)($E_{max}$), 초기원형질분리점(初期原形質分離點)의 상대함수율(相對含水率)($RWC^{tlp}$)였으며, 그 밖에 상대함수율(相對含水率)(FWC)와 워터포텐셜(${\Psi}_L$)과의 관계, 팽압(膨壓)($P_{vat}$)과 ${\Psi}_L$과의 관계, H$\ddot{o}$fler diagram등의 그림을 내건성진단(耐乾性診斷)에 사용하였다. 이와같은 수분특성인자(水分特性因子)로 고찰(考察)할 때 물푸레나무, 상수리나무, 졸참나무, 갈참나무, 현사시등은 비교적 내건성(耐乾性)이 높은 수종(樹種)으로, 들메나무, 자작나무, 이태리포플러, 음나무, 서어나무, 까치박달, 산벚나무, 개벚나무, 층층나무등은 비교적 내건성(耐乾性)이 약(弱)한 수종(樹種)으로, 그리고 신갈나무, 고로쇠, 복자기, 당단풍, 느릅나무, 느티나무등은 중간(中間) 수종(樹種)으로 판별(判別)되었다.

  • PDF

주타액선종양 104례에 대한 분석 (A Clinical Analysis of Major Salivary Gland Tumors-104 Cases)

  • 김명상;김영호;홍정표;최은창;김광문;홍원표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40-45
    • /
    • 1998
  • Backgroud and Objectives: Major salivary gland tumor is a rare disease with a largely unknown origin. And also corresponding to the diversity of histopathologic characteristics is an equally wide distribution of clinical behavior that makes treatment decisions difficul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the clinical experience of our major salivary gland tumor and to suggest a guidline of management. Materials and Methods : We studied clinical manifestations and treatment results of 104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major salivary gland tumors. Tumor site, patient age and sex of the patients were analysed. Histopathologic diagnosis, treatment modality, lymph nodes metastasis, recurrence rate and 5-year survival rate were studied on malignant tumors. Results: 1) 48 patients were male and 56 patients were female. 2) Benign tumors were 79 cases. They consisted of 57 cases(72%) of parotid tumor, 22 cases(27%) of submandibular tumor. And pleomorphic adenoma was the most common benign tumor. 3) Malignant tumors were 25 cases and were consisted of 19 cases(76%) of parotid tumor, 4 cases(l6%) of submandibular tumor and 2 cases(8%) of sublingual gland tumor with high-grade mucoepidermoid carcinoma as the most common cause. 4) In the malignant tumors, the number of stage I, II tumors was 14 and that of stage III, IV tumors was 11. Neck node metastasis was noted in 8 cases. 5) 8 cases of malignant tumor were died and all of them had high-grade malignancy. And they were dead before 17 months from the time of diagnosis. 6) Mean survival duration in the malignant salivary gland tumor was 56 months. 7) High-grade malignancy had a 5-year survival rate of 57.9%. A 5-year survival rate of TI, T2 patients was 92.9% and that of T3, T4 patients was 36.4%. That of patients who had neck node metastasis was 37.5% and that of those who had tree neck was 82.4%.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survival rate is dependent on the tumor size, lymph node matastasis and histologic grade. And also the early diagnosis and radical surgery result in the increased survival rate and are effective for prevention of the tumor recurrance.

  • PDF

Study on the diagnosis of disturbed forest ecosystem in the Republic of Korea: in case of Daegwallyeong and Chupungryeong

  • Lee, Seon-Mi;Cha, Jae-Gyu;Moon, Ho-Gyung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1권7호
    • /
    • pp.182-190
    • /
    • 2017
  • Background: Baekdudaegan was designated in 2005 as a protected area to prevent destruction and conserve. However, there are many disturbed and destroyed areas. The total disturbed area amounts to $25.9km^2$ (0.94%), including $13.4km^2$ (0.49%) in the core area and $12.5km^2$ (0.45%) in the buffer area. This study aims to classify the vegetation types established in the disturbed areas and diagnose the current conditions for ecological restoration in the forest ecosystem. Methods: We surveyed the vegetation in the disturbed areas of Daegwallyeong and Chupungryeong and the surrounding natural areas. The survey conducted from July to September 2015 targeted a total of 54 quadrats by Braun-Blanquet method (Daegwallyeong, 22; Chupungryeong, 32). We also investigated the height and coverage of each layer. We classified the vegetation types based on the field data and analyzed the ratio of life form and the exotic plants, species richness, and vegetation index (Hcl). The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 was calculated from rapideye satellite imagery in 2014 and 2015. Results: Vegetation types were classified into 11 groups according to the criteria that included successional sere or plantation at first, followed by developmental stage and origin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survey data, species richness, vegetation index (Hcl), ratio of tree plants, and the NDVI tended to increase, while the ratio of the exotic plants tended to decrease with the time since disturbance. These indicators had the classified values according to the vegetation types with time since the disturbance. Conclusions: These indicators can be effectively used to diagnose the conditions of the present vegetation in the disturbed area of the Baekdudaegan area. In addition, the NDVI might be effective for the diagnosis of the disturbed status instead of the human efforts based on the higher spatial resolution of satellite imagery. Appropriate diagnosis of the disturbed forests in the Baekdudaegan area considering the established vegetation types is essential for the elaboration of restoration plans. In addition, restoration target and level should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disturbed status of restoration site.

블루베리의 내한성 평가 및 목재수분계측기를 이용한 동해피해 진단 (Evaluation of Cold Tolerance of Blueberry (Vaccinium corymbosum L.) and Diagnosis of Freezing Injury Using Timber Moisture Meter)

  • 김기덕;이준구;류명상;유동림;권영석;이종남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54-361
    • /
    • 2012
  • 외국에서 도입한 블루베리의 내한성을 평가하고, 목재수분계측기가 월동 중 블루베리 가지의 동해피해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진단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월동 중 블루베리의 가지의 고사율은 0~100%로 다양하게 나타나 품종별 내한성의 차이가 컸다. 블루베리 가지의 저온처리에 따른 TTC 검정에서 품종별 OD값은 $-40^{\circ}C$ < $-21^{\circ}C$ < $4^{\circ}C$ 순으로 처리온도가 낮을수록 낮게 나타났다. 블루베리 가지의 저온처리에 따른 가지절단면의 색의 검정은 가지고 사율에 의한 내한성과 다른 결과와 차이가 있었다. 목재수분계측기에 의해 측정된 살아있는 블루베리 가지의 월동 중 최저 수분함량은 약 15%였으며, 월동 중 블루베리 가지의 위치별 수분함량은 나무 아랫부분일수록 높고 가지 끝으로 갈수록 낮았으나, 봄으로 접어들면서 가지 끝의 수분함량이 점점 높아져 20~40% 범위로 측정되었다. 월동 중 동해피해를 받은 가지는 점점 건조되어 수분함량이 5% 이하로 낮아졌다. 동해를 받은 블루베리 가지의 수분함량은 14% 수준 이하일 것으로 추정되며, 목재수분계측기가 블루베리 가지의 동해피해를 현장에서 신속하게 진단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분광 영상을 이용한 사과나무 잎의 질소 영양 상태 진단 (Diagnosis of Nitrogen Content in the Leaves of Apple Tree Using Spectral Imagery)

  • 장시형;조정건;한점화;정재훈;이슬기;이동용;이광식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84-392
    • /
    • 2022
  • 본 연구는 RGB, 초분광 센서를 이용하여 시기별 사과 잎의 엽록소와 질소 함량을 예측하여 사과 나무 잎의 질소 영양을 진단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분광 데이터는 사과나무 '홍로/M.9' 2년생을 대상으로 고해상도 RGB와 초분광 센서로 촬영 후 영상처리를 통해 취득하였다. 식물체 데이터는 촬영이 끝난직후 엽록소와 잎 질소 함량을 측정하였다. 엽록소 측정기의 SPAD meter, RGB 센서의 개별 파장, 컬러 식생지수 및 초분광 센서의 214개의 파장과 식물체 데이터를 이용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엽록소와 잎 질소 함량 데이터는 시기와 상관없이 질소 시비량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잎은 시기가 지나면서 잎에 있던 영양분이 과실로 전이되어 색이 옅어졌으며 RGB센서의 경우 Red파장에서 시기와 상관없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초분광 센서의 경우 두 시기 모두 질소 시비 수준에 따라 가시광 영역보다 비가시광 영역에서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반사값를 이용하여 식물체 특성의 예측 모델 결과 엽록소, 잎 질소함량 모두 초분광 데이터를 이용한 부분최소제곱회귀분석을 이용하였을 때 성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chlorophyll: 81% / 63%, leaf nitrogen content: 81% / 67%). 이러한 원인은 RGB 센서에 비해 초분광 센서는 좁은 FWHM과 400-1,000nm의 넓은 파장 범위를 가지고 있어 질소 결핍에 의한 스트레스로 인해 작물의 분광학적 해석이 가능했을 것으로 판단된다. 추후 분광학적 특성을 이용하여 전 생육 시기의 수체 생리, 생태 모델 개발 및 검증 그리고 병해충 진단 등 연구를 통해 고품질, 안정적인 과실 생산 기술 개발에 기여될 것으로 사료된다.

생체리듬과 아건강과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relevance of healthy biorhythm and sub-health)

  • 신재경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8권5호
    • /
    • pp.1069-1076
    • /
    • 2017
  • 최근 고도한 의학 기술의 발전과 함께 최첨단 의학 장비의 도입으로 인간의 수명은 점점 길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수명이 길어지면서 삶의 질에도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많은 사람들이 병으로 고생하지 않고 건강하게 오래 살다 죽기를 원하고 있다. 따라서 사람들이 미리 아건강 상태를 진단하여 적절한 치료 계획을 수립한다면 질병을 예방할 수 있으며 사회적으로 지출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특정한 집단을 대상으로 인간의 생체리듬과 건강한 상태와 병에 걸린 상태의 중간에 있는 아건강과 관련한 설문지에 각각 응답한 자료를 가지고 통계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는 성별에 따른 생체리듬과의 차이분석에서는 유의수준 5%에서 남녀 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생체리듬의 양호 불량 상태에 따른 아건강과의 차이 분석에서는 유의수준 5%에서 10개의 아건강 지표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체리듬과 아건강과의 분석 결과에서는 유의수준 5%에서 생체리듬과 신진대사를 제외한 9개의 아건강 진단지표는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의사결정나무분석 결과는 호르몬과 비뇨기의 아건강 상태가 불량인 응답자는 모두 생체리듬이 불량인 것을 보여주었다. 이들을 종합해보면 생체리듬을 잘 조절한다면 아건강 상태를 양호하게 하여 사전에 질병을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몇가지 간담도질환에서 간기능에 따른 Tc-99m EHIDA의 담도영상능 (Tc-99m EHIDA Scintigraphic Demonstrability of Biliary Elements and Liver Function Tests in Hepatobiliary Diseases)

  • 김춘열;이명희;박용휘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71-80
    • /
    • 1982
  • In the present communication, the results will be reported on a clinical study of how well scintigraphic visualization of the hepatobiliary elements and several commonly used clinical liver function tests correlate each other in various diseases oft hepatobiliary system. The demonstrability of the biliary tract, gallbladder (GB) and duodenum was rather closely paralleled to serum bilirubin level and less closely to alkaline phosphatase and rather poorly to SGOT and SGPT. The biliary tree could not be visualized scintigraphically when bilirubin exceeded 10.5mg/dl. The usefulness of Tc-99m EHIDA [N-(2,6-diethylacetanilido) iminodiacetic acid, made by Amersham, England] hepatobiliary scintigraphy (Tc EHIDA HBS) in settling diagnostic controversy and ambiguity raised by oral cholecystography, intravenous cholangiography and ultrasonography in many hepatobiliary diseases is well known. The purpose of this investigation was to semiquantitatively evaluate the scintigraphic demonstrability of the hepatobiliary tract, GB and duodenum following intravenous injection of Tc-99m EHIDA in normal subjects and in patients with a disturbed liver function from various hepatobiliary diseases. The hepatobiliary scintigraphy was performed in 10 normal subjects and 39 patients with various hepatobiliary diseases (Table 1) at the Dept. of Radiology, St. Mary's Hospital Catholic Medical College, Seoul, Korea during 2 years period from September 1979. Scintigraphic examination was started at end of 3 minutes after intravenous injection of Tc-99m EHIDA in the amount of $50{\mu}Ci/kg$ and was continued until after 30 minutes at 5 minutes interval. The imaging was usually terminated when the tracer could be seen in the duodenum. Late scintigrams were obatained at 1 1/2, 3, 4 and 6 hours when reeded. Scintigrams were analyzed in terms of promptness and clarity of visualization of the biliary tree, GB and duodenum and demonstrability of these anatomical landmarks was correlated with the values of liver function tests. The demonstrability of the common hepatic duct, common bile duct, GB and duodenum was closely paralleled to the level of serum bilirubin when it is less than 10.5 mg/dl as shown in figure 1. However when the bilirubin exceeded 10.5 mg/dl the time of visualization between protracted reaching a flat curve or plateau around 10.5 mg/dl. The biliary tract could not be visualized when the bilirubin was higher than 10.5 mg/dl. The correlability between scintigraphic demonstration and serum alkaline phosphatase was less strong and between scintigraphic demonstration and SGOT and SGPT was rather poor. The present clinical study confirmed the usefulness and limitation of Tc-99m EHIDA hepatobiliary scintigraphy in visulizing and diagnosing the biliary system and duodenum when radiogrpahy and ultrasonography failed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s. Scintigraphy was very helpful in the diagnosis of neonatal hepatitis, biliary atresia, cholecystitis and extrahepatic biliary obstruction. The hepatobiliary system and duodenum were visualized when serum bilirubin level was less than 10.5 mg/dl, SGOT 135 units, SGPT 114 units and alkaline phosphatase 52.2 KAU.

  • PDF

Edge Detection을 이용한 간 혈관 추출 (Hepatic Vessel Segmentation using Edge Detection)

  • 서정주;박종원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51-57
    • /
    • 2012
  • 간 혈관 구조는 간에 대한 질병을 판단하거나 간 수술 계획을 세우는 데 중요한 요소이다. 특히 생체간이식에서 간 혈관 구조는 기증자와 수혜자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하여 수술 전 환자의 간 상태를 파악하고 좌우엽의 체적을 계산하는 중요한 근거로 활용된다. 본 연구는 조영제를 투여한 복부 MDCT 영상에서 추출된 간 영상으로부터 간 혈관을 자동추출하기 위하여 노이즈에 강한 Canny edge detection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한다. 환자마다 달라질 수 있는 간 영상의 밝기와는 독립적으로 간 내부의 혈관을 추출하기 위하여 간 영상의 히스토그램과 평균 픽셀값을 이용하여 Canny 알고리즘에 사용되는 최적의 파라미터들을 정의한다. 간 영상의 밝기에 따라 파라미터를 수동으로 조절하는 경우보다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찾아진 혈관의 경계선에서픽셀의 밝기를 이용하여 후보 혈관을 추출한다. 최종적으로 수평과 수직방향으로 연결된 혈관이나 고립된 혈관을 검색하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추출에 실패한 혈관을 추가하고 노이즈를 제거한다. 그 결과로써 환자마다 나타나는 다양한 혈관 모양을 정확하게 3차원으로 재구성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