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umatic

검색결과 2,161건 처리시간 0.031초

외상성 대동맥우심실 단락치험 1예 (Traumatic Aorto-Right ventricular Shunt - Report A Case -)

  • 박희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1권1호
    • /
    • pp.152-157
    • /
    • 1988
  • Traumatic aorta-right ventricular shunt is an uncommon but important phenomenon due to development of irreversible cardiac dysfunction. Aorto-right ventricular shunt and aortic valvular laceration following stab wound of the chest was successfully surgically repaired in a twenty-year-old male patient. With the brief review of literatures, we describe the case.

  • PDF

흉부손상에 의한 외상성 가사 4예 (Traumatic Asphyxia with Compressive Thoracic Injuries -4 Cases Report-)

  • 김현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13권3호
    • /
    • pp.212-218
    • /
    • 1980
  • A severe crushing injury of the chest produce a very striking syndrome referred to as traumatic asphyxia. This syndrome is characterized by bluish-red discoloration of the skin which is limited to the distribution of the valveless veins of the head and neck. And also if it is characterized by bilateral subconjunctival hemorrhages and neurological manifestations. But these clinical entities faded away progressively in a few weeks. Apporximately 90% of the patients who live for more than a few hours will recover from traumatic asphyxia when it occurs as a single entity. And so, death results from either severe associated injuries of from subsequent infection, rather than from pulmonary or cardiac insufficiency in traumatic asphyxia. We have experienced 4 cases of traumatic asphyxia with severe crushing thoracic injuries at department of the chest surgery, Captial Armed forces General Hospital during about 3 years from April 1977 to Aug. 1980. The 1st 22 year-old male was struct 2$\frac{1}{2}$ ton truck on the road and was transferred to this hospital immediately. He had taken tracheostomy due to severe dyspnea with contusion pneumonia and for removal of a large amount of bronchial secretion. The 2nd case was 23 year-old male who was got buried in a chasm. In this case, the heavy metal post tumbled over him back while at work. The 3rd case was 39 year-old male who leapt out of a window in 5th story while fire broke out in living room by oil stove heating. He had multiple rib fracture with right hemothor x and right colle's fracture and pelvic bone fracture. The last 22 year-old male was run over by a gun carriage. The wheel of this gun carriage passed over his thorax and right chin. He was brought to this hospital by helicopter. when he was first examined at emergency room, he was in semicomatose state and has pneurmomediastinum with multiple rib fracture and severe subcutaneous emphysema. As soon as he arrived, bilateral closed thoracostomy was performed and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was done. In hospital 8th weeks, chest series showed fibrothorax in right side even if chest wall stabilized. All 4 cases had multiple petechiae over their facees and chest and bilateral subconjunctival hemorrhages referred to as traumatic asphyxia. 3 cases except one case who received splenectomy, had been suffered from contusion pneumonia and had been treated with respiratory care. In these 3 cases, they had warning of impending injury before accident, and took a deep breath hold it and braces himself. And also, even if he had not impending fear in remaining one case, he had taken a deep breath and had got valsalva maneuver for pulling off the heavy metal post. Intrathoracic pressure rose suddenly and resulted to traumatic asphyxia in this situation. All these cases were recovered completely without sequelae except one fibrothorax, right.

  • PDF

100마리의 야생 멧돼지 사냥견에서 응급 외상성 질환의 분류 (Prevalence of Emergency Traumatic Injuries in 100 Wild Boar Hunting Dogs)

  • 고재진;김세훈;지중룡;심관섭;김남수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718-722
    • /
    • 2010
  • 전북지역에서 야생 멧돼지 사냥 시 발생한 응급 외상성 질환을 치료하기 위하여 내원한 사냥견 100마리를 외상의 정도에 따라 분류 하였다. 분류는 응급 외상성 질환의 경향과 정도를 부상의 원인, 부상 부위의 숫자와 위치, 부상의 중등도, 치사율과 같은 의료 기록들을 통하여 정보를 수집하였고 이를 토대로 후향성 조사를 실시 하였다. 사냥견 100마리의 환자에서 136개 (71마리의 단일 응급 외상성 질환과 29마리에서 복합 응급 외상성 질환)의 응급 외상성 질환이 발견되었다. 응급 외상성 질환의 원인으로는 야생 멧돼지 공격에 의한 응급 외상이 92마리, 오발로 인한 응급 외상이 7마리 그리고 덫에 의한 응급 외상이 1마리로 조사 되었다. 흉부는 응급 외상 질환이 가장 잘 발생하는 부위이며, 부상심각점수(ISS)는 2단계로 판단되었다. 치사율은 9% 였으며 사망에 이르게 된 증례는 모두 흉강에 외상을 입고 있었다. 야생 멧돼지 사냥 시에 발생하는 응급 외상성 질환은 사냥물을 공격할 때 대부분 발생하는 것으로 특히 가장 흔한 부위는 흉부였으며 이것은 임상 수의사가 흔히 접하는 일반적인 응급 질환들과는 매우 다른 특징을 나타내고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야생 멧돼지 사냥견에서 응급 외상성 질환의 치료 경과, 발생 형태, 예후, 치사율 등 임상 응급 진료에 필요한 정보들을 알 수 있었다.

자궁 절제술을 경험한 여성의 스트레스 대처, 배우자지지, 의도적 반추와 외상 후 성장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Coping, Spouse Support, Intentional Rumina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in Women with Hysterectomy)

  • 채여주;김영란;이옥숙;김보람;고영심;한상미;하영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8호
    • /
    • pp.237-245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자궁절제술이라는 외상사건을 경험한 대상자의 스트레스 대처, 배우자지지, 의도적 반추, 외상 후 성장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 대상자는 자궁절제술을 경험한 67명의 여성으로 수집된 자료는 t-검정, ANOVA 및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대상자의 외상 후 성장은 스트레스 대처 중 소극적 대처(r=0.27, p=.026), 적극적 대처(r=0.34, p=.004) 그리고 의도적 반추(r=0.46, p<.001)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극적 대처는 적극적 대처(r=0.74, p<.001)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궁절제술을 경험한 여성의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의도적 반추(β=0.42, p<.001)인 것으로 나타났고 이들의 총 설명력은 26%로 확인되었다(F=8.68, p<.001). 그러므로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자궁절제술을 가진 대상자의 외상 후 성장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의도적 반추를 증가하여 이들이 겪는 외상에 효과적으로 직면할 수 있도록 하는 중재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Debrun분리 풍선 카데타법에 의한 경동맥 해면동루의 치료 (Treatment of Traumatic Carotid-Cavernous Fistulas using Debrun's Detachable Balloons)

  • 이상진;김선용;황미수;장재천;박복환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6권2호
    • /
    • pp.91-101
    • /
    • 1989
  • 외상성 경동맥 해면동루의 치료를 위해 8명의 환자에서 Goldvalve형 풍선을 이용한 치료를 시도 하였다. 전 례에서 동맥을 통한 누공 폐색을 시도하여 성공적으로 누공을 폐색하였다. 5례에서는 내경동맥을 보존할 수 있었으나 다른 경우는 내경동맥과 누공을 함께, 내경동맥의 해면동부 전체, 그리고 일관성 흑내장 방지위해 내경동맥과 누공 도한 내경동맥 기시부를 함께 폐색시킨 예가 각각 1례씩 있었다. 누공만을 폐색시킨 1례에서 증상이 재발하여 수술로 치료하였다. 주요 합병증으로는 3례의 두통과 1례의 허혈성 편마비가 있었으나 자연소실 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CCF는 분리풍선을 이용하여 누공만을 폐색시켜 치료하는 것이 유리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소방대원의 출동충격스트레스와 소진에 관한 구조모형 (A Model for Post-Traumatic Stress and Burnout in Firefighters)

  • 최은숙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47-164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hypothetical model designed to explain the post-traumatic stress and burnout in firefighters. Six exogenous variables such as career, control, impact mobilization frequency, life event, work burden, social support, and four endogenous variables, eg., mobilization impact, coping, post-traumatic stress, burnout were considered for the study. The target population for the distribution of the questionnaire was 428 firefighters in Daejeon, Chungnam Province, Seoul and Kyonggi Province. The data was collected about five weeks, July 12-August 25, 1999. The survey instrument was 8 control items by Seo(1995), 10 life event items by Brugha and Cragg(1990), 20 work burden items by Choi(2000), 12 social support items by Park(1985), post-traumatic stress of 17 items by Foa et al.(1998) and 45 items by Kang(1997). The reliability of the survey instrument and the cronbach's alpha was .62 - .93 level. SAS PC Program and LISREL 8.12a program were us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and linear structural relationship(LISREL) modeling. Based on the data collecte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overall fit of the hypothetical model to the data was good (${\chi}^2=54.65$ [df=17, p=0.000007], RMSEA=0.07, standardized RMR=0.03, GFI=0.98, AGFI=0.91, NFI=0.90, NNFI=0.75). 2. After considering statistical significance and theoretical meaningfulness of paths of the model, a modified model was sought. Compared to the hypothetical model, the modified model has become parsimonious and had a better fit to the data(${\chi}^2=55.90$ [df=20, p=0.0003], RMSEA=0.06, standardized RMR=0.03, GFI=0.98, AGFI=0.93, NFI=0.90, NNFI=0.80). 3. The results of statistical testing of hypotheses were as follows: (1) Work burden, career had a significantly direct effect on mobilization impact. These variables explained 9% of the total variance of mobilization impact. (2) Control, social support, work burden, mobilization impact had a significantly direct effect on coping. These variables explained 15% of the total variance of coping. (3) Control, work burden, social support, coping had a significantly direct effect on post-traumatic stress. These variables explained 49% of the total variance of post-traumatic stress. (4) Coping, post-traumatic stress had a significantly direct effect on burnout. These variables explained 60% of the total variance of burnout.

  • PDF

응급실 간호사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폭력 경험과 외상 후 스트레스, 공감피로를 중심으로 (Influencing Factor on the Job Satisfaction of Emergency Room Nurses: Focusing on Violence Experience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Compassion Fatigue)

  • 김화진;박점미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67-74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응급실 간호사의 폭력 경험과 외상 후 스트레스, 공감피로가 간호사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경기도 소재 9개 종합병원의 응급실 간호사 114명을 대상으로 2019년 7월 1달 동안 진행되었다. 본 연구 결과 폭력 경험은 언어적 폭력 11.50±3.37점, 신체적 위협 11.57±4.15점, 신체적 폭력 11.07±5.20점으로 나타났으며, 외상 후 스트레스는 34.59±14.46, 공감피로는 26.50±7.17점, 직무 만족도는 61.19±8.38점으로 나타났다. 이 중 외상 후 스트레스(β=-.21, p=.090)가 직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F=23.11, p<.001).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응급실 간호사의 외상 후 스트레스를 관리하고 감소시키고 위해서는 이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관리 프로그램의 도입과 예방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또한 응급실 간호사의 외상 후 스트레스 및 직무만족도에 대한 대처 수준 향상을 위하여 적극적인 대처 방안과 안전한 근무환경 확보를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중동호흡기증후군에 대한 공포감이 병원종사자와 일반인의 사회심리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 외상 후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Influence of Fear about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Event of Hospital Worker and General Public on Socio-Psychological Health : Mediating Effect of Posttraumatic Stress)

  • 김신일;김태형;최말례;정주리;권혁민;김형욱;김병조;은헌정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45-52
    • /
    • 2019
  • Objective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fear of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MERS) on socio-psychological health during an outbreak of MERS and the post-traumatic stress as a mediat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socio-psychological health. Methods : Visual Analog Scale, Impact of Event Scale -Revised, Psychosocial well-being index short form was implemented for 150 medical persons who worked at the hospital in which exposure to MERS cases had been confirmed and 96 ordinary people. 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as carried out to confirm the effect of fear of MER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post-traumatic stress between fear and socio-psychological health. Results : The higher the fear, the lower the socio-psychological health in both healthcare workers and the public (r=0.32, p<0.01) and the higher post-traumatic stress (r=0.32, p<0.01). But,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only healthcare workers had a partially mediating effect of post-traumatic str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ear and socio-psychological health (${\beta}=0.45$, t=6.33 p<0.001), (${\beta}$ value : 0.39>0.26). Conclusion :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 post-traumatic stress can indirectly lead to a negative effect on the socio-psychological health of healthcare workers when under the fear of MERS and shows adverse effects on psycho-social wellbeing. This suggests that clinical intervention and psycho-social approach aiming at reducing post-traumatic stress is important to maintain mental health during crisis development.

균형적 시간관이 청년기 역경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력: 사회적 유대감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a balanced time perspective on growth after adversity in adolescence: Mediating Effect of Social Connectedness)

  • 김민진;박정윤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8권2호
    • /
    • pp.163-186
    • /
    • 2022
  • 본 연구는 역경 후 성장을 일으키는 요인의 영향력을 밝히고 상담 및 임상 현장에서 활용할 방안을 제안하려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에 거주하는 청년 208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SPSS 25.0, AMOS 26.0 통계 프로그램으로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역경 후 성장을 균형적 시간관과 사회적 유대감의 영향력으로 보고 두 변인의 관계가 역경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파악을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고 변인들의 경향성을 살펴보기 위해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Pearson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역경 후 성장에 주요변인들이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모형의 검증을 위해 경로분석을 실시하고 부트스트랩 방법을 사용하여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변인 중 종교가 역경 후 성장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였다. 둘째, 역경 후 성장에 균형적 시간관과 사회적 유대감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균형적 시간관이 사회적 유대감에 영향을 미치고 본 과정을 통해 역경 후 성장이 일어나는 경로를 밝혔다. 이는 역경 후 성장을 위해서 균형적 시간관과 사회적 유대감 모두 중요하며 상담 및 임상 현장에서 활용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잠재프로파일분석(LPA)을 활용한 PTSD 증상과 외상 후 성장 수준의 양상: 폭식, 비자살적 자해, 문제성 음주행동에서의 차이 (Latent Profile Analysis of PTSD symptoms and PTG among Adults in South Korea: the Differences in Binge Eating, Non-Suicidal Self-Injury, and Problem Drinking Behaviors)

  • 이덕희;이동훈;정하영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5권4호
    • /
    • pp.325-351
    • /
    • 2019
  • 본 연구는 외상 사건을 경험한 국내 성인의 외상 후 스트레스(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증상과 외상 후 성장(Post Traumatic Growth) 양상을 토대로 잠재계층(latent class)을 도출하고, 각 집단 구분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을 탐색하며, 집단에 따른 자기파괴적 행동의 차이를 탐색함으로써, 외상 사건을 경험한 개인에 대해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DSM-5 진단기준에 해당하는 외상 사건을 경험한 국내성인 860명을 대상으로 잠재프로파일분석(Latent Profile Analysis)과 R-3STEP 방식을 이용하였다. 집단 예측 변인으로 개인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성별, 연령, 최종 학력, 종교유무, 종교활동 정도, 월 평균 소득)과 사회적 고립, 외상 경험 빈도가 포함되었으며, 종속변인으로 자기파괴적 행동(폭식 정도, 비자살적 자해 유무, 음주의 양, 음주 형태, 음주로 인한 정신 사회적 문제)을 포함하였다. 연구결과 집단은 '저PTSD/중 PTG집단', '저 PTSD/고 PTG집단', '고 PTSD/고 PTG집단'으로 분류되었다. 또한 성별, 최종학력, 사회적 고립, 외상 노출 빈도가 집단 예측 변인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폭식 정도, 비자살적 자해 유무, 음주 형태, 음주로 인한 정신사회적인 문제에서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