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a balanced time perspective on growth after adversity in adolescence: Mediating Effect of Social Connectedness

균형적 시간관이 청년기 역경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력: 사회적 유대감의 매개효과

  • Received : 2022.02.25
  • Accepted : 2022.04.19
  • Published : 2022.05.31

Abstract

The study was conducted to reveal the influence of variables causing post-traumatic growth and suggest ways to utilize it in the counseling and clinical field. Data from 208 youths in Kore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the SPSS 25.0 and AMOS 26,0 statistic programs. This study took the perspective that post-traumatic growth was affected by the balanced- time-perspective and social-connectedness and tried to examine the influence and relation of the two variables. A frequency-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e trends of the variables, and 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 between variables.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major variables, And path-analysis was carried out to verify the research model, and the indirect effect was confirmed by using the bootstrapping method. First, religion, among all demographic variables,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ost-traumatic growth. Second, the balanced-time-perspective and social-connectednes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ost-traumatic growth. Third, the balanced time perspective influenced social-connectedness and through this process, the path explaining how post traumatic growth occurs was revealed. This suggests that the both balanced time perspective and social connectedness are important for inducing post- traumatic growth, and the utility of the variables in the counseling and clinical field.

본 연구는 역경 후 성장을 일으키는 요인의 영향력을 밝히고 상담 및 임상 현장에서 활용할 방안을 제안하려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에 거주하는 청년 208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SPSS 25.0, AMOS 26.0 통계 프로그램으로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역경 후 성장을 균형적 시간관과 사회적 유대감의 영향력으로 보고 두 변인의 관계가 역경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파악을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고 변인들의 경향성을 살펴보기 위해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Pearson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역경 후 성장에 주요변인들이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모형의 검증을 위해 경로분석을 실시하고 부트스트랩 방법을 사용하여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변인 중 종교가 역경 후 성장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였다. 둘째, 역경 후 성장에 균형적 시간관과 사회적 유대감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균형적 시간관이 사회적 유대감에 영향을 미치고 본 과정을 통해 역경 후 성장이 일어나는 경로를 밝혔다. 이는 역경 후 성장을 위해서 균형적 시간관과 사회적 유대감 모두 중요하며 상담 및 임상 현장에서 활용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보라, 신희천 (2010). 자아탄력성과 삶의 의미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의미 추구와 의미발견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1), 117-136.
  2. 김아라, 이승연 (2016). 감사성향과 역경 후 성장의 관계에서 의도적 반추의 긍정적 재해석의 매개효과: 관계 상실 경험 중년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9(1), 25-45.
  3. 김재희, 박은규 (2016). 청년기 성인초기 발달과업 성취유형이 사회적 고립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연구, 27(3), 257-284. https://doi.org/10.14816/SKY.2016.27.3.257
  4. 김정은, 박정윤, 문의정 (2019). 청년기 발달괴업 달성이 청년 웰빙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회지, 24(2), 171-193.
  5. 박정윤, 김민진 (2019). 균형적 시간관이 대학생의 궁극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유대감의 매개효과. 생애학회지, 9(2), 85-106. https://doi.org/10.30528/JOLSS.2019.9.2.005
  6. 서유진 (2018). 낙관성과 감사, 역경 후 성장의 관계: 정서인식명확성과 조망수용의 조절된 매개효과, 아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7. 서유진, 이규미 (2016). 내재적 종교성향과 역경 후 성장의 관계: 감사성향과 사건중심성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7(3), 441-456.
  8. 서혜진 (2016). 성격강점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역경 후 성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영남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송승훈 (2007). 한국판 외상 후 성장 척도.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송승훈, 이홍석, 박준호, 김교헌 (2009). 한국판 외상 후 성장 척도의 타당도 및 신뢰도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4(1), 193-214.
  11. 송현 (2011). 심리적 강인성과 정서지능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적극적 대처를 매개로. 전북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송현, 이영순 (2013). 회피애착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정서적 자기노출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4(6),3753-3767. https://doi.org/10.15703/KJC.14.6.201312.3753
  13. 양귀화 (2014). 외상 후 성장 과정에 대한 분석.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유희정 (2012).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이릿다 (2020). 청년기의 영성이 역경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자기성찰과 삶의 의미의 매개 효과.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6. 이송희 (2018). 반추와 우울의 관계에서 균형 잡힌 시간관의 조절효과. 청소년학연구, 25(2), 113-136.
  17. 이양자, 정남운 (2008). 외상 후 성장에 대한 연구 개관: 적응과의 관계 및 치료적 적용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3(1), 1-23. https://doi.org/10.21074/KJLCAP.2012.13.1.1
  18. 이인정, 최해경 (2001).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서울: 나남.
  19. 이현서 (2018). 성인초기와 중년후기의 균형적 시간관과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 행복증진활동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4(4), 615-636. https://doi.org/10.20406/KJCS.2018.11.24.4.615
  20. 전명임, 이희경 (2011). 다차원적 완벽주의와 우울,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계: 사회적 유대감의 매개효과. 인간이해, 32(1), 67-83.
  21. 안계한, 김민희 (2020). 청년세대의 공정성 인식이 무망감에 미치는 영향: 통제감의 매개효과와 자존감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6(4), 457-477. https://doi.org/10.20406/KJCS.2020.11.26.4.457
  22. 임선영, 권석만 (2012). 대학생의 관계상실을 통한 성장에 관한 연구: 인지적 유연성과 인지적 정서조절 방략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1(2), 261-281.
  23. 장한 (2016). 외상 후 성장 및 관련 변인의 상관관계 메타분석: 촉진변인군과 억제변인군을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장휘숙(2008). 성인초기의 발달과업과 시작시기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1(4), 109-126.
  25. 정수남, 권영인, 박건, 은기수 (2012). 청춘밖의 청춘, 그들의 성인기 이행과 자아정체성: 빈곤 청년을 대상으로. 문화와 사회, 12, 35-103.
  26. 정인명 (2009). 의도적 반추와 낙관성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최지선 (2016). 균형적 시간조망척도(K-BTPS)의 한국타당화 연구: 대학생을 중심으로. 용문심리상담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8. Aronoff, J., Stollak, G. E.m,, & Woike, B. A. (1994). Affect regulation and the breadth of interpersonal engagemen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7, 105-114. https://doi.org/10.1037//0022-3514.67.1.105
  29. Boniwell, I., & Zimbardo, P. (2003). Time to find the right balance. The Psychologist, 16(3), 129-131.
  30. Boniwell, I., & Zimbardo, P. G. (2004). Balancing one's time perspective in pursuit of optimal functioning. Hoboken, NJ: Wiley.
  31. Calhpun, L. G, & Tedeschi, R. G. (1998). Beyond recovery from trauma: Implications for clinical practice and research. Journal of Social Issues, 54(2), 357-371. https://doi.org/10.1111/j.1540-4560.1998.tb01223.x
  32. Calhoun, L. G., & Tedeschi, R. G. (2004). The foundations of posttraumatic growth: New considerations, Psychological Inquiry, 15(1), 93-102. https://doi.org/10.1207/s15327965pli1501_03
  33. Calhoun, L. G., & Tedeschi, R. G. (2006). The foundations of posttraumatic grwoth: An expanded framework. In L. G. Calhoun & R. G. Tedeschi(Eds), Handbook of posttraumatic growth: Research and practice (pp.3-23).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34. Cordova, M. J., Cunningham, L. L. C., Carlson, C. R., & Andrykowski, M. A. (2001). Posttraumatic growth following breast cancer: A controlled comparison study. Health Psychology, 20(3), 176-185. https://doi.org/10.1037/0278-6133.20.3.176
  35. Davis, C. G., & Nolen-Hoeksema, S. (2009). Making sense of loss, perceiving benefits, and posttraumatic grwoth. In S. J. Lopez & C. R. Snyder(Eds), Oxford library of psychology. Oxford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p. 641-649). Oxford University Press.
  36. Dunkley, D. M., Blankstein, K. R., Halsall, J., Williams, M., & Winkworth, G. (2000). The relation between perfectionism and distress: hassels, coping,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as mediators, and moderator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7, 437-453. https://doi.org/10.1037/0022-0167.47.4.437
  37. Erikson E. H. (1982). The life cycle completed: A review. New York: Norton.
  38. Helgeson, V. S., Reynolds, K. A., & Tomich, P. L. (2006). A meta-analytic review of benefit finding and growth. Journal of Counseling and Clinical Psychology, 74(5), 797-816. https://doi.org/10.1037/0022-006X.74.5.797
  39. Kazakina, E. (1999). Time perspective of Older Adults: Relationships to Attachment Style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Psychological Distres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40. Kohut, H. (1984). How does analysis cure?. New Yolk: International University Press.
  41. Lazarus, R. S., & Folkman, S. (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Springer.
  42. Lee, R. M., & Robbins, S. B. (1995). Measuring belongness: The social connectedness and the social assurance scal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2, 232-241. https://doi.org/10.1037//0022-0167.42.2.232
  43. Lee, R. M., & Robbins, S. B. (1998).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onnectedness and anxiety, self-esteem, and social identit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5(3), 338-345. https://doi.org/10.1037/0022-0167.45.3.338
  44. Lee, R. M., Draper, M. & Lee, S. (2001). Social connectedness, dysfunctional interpersonal behavior, and psychological distress: Testing a mediator model.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8, 310-318. https://doi.org/10.1037//0022-0167.48.3.310
  45. Linley, P. A., & Joseph, S. (2004). Positive change following trauma and adversity: A review. Journal of Traumatic Stress, 17(1), 11-21. https://doi.org/10.1023/B:JOTS.0000014671.27856.7e
  46. Love, C., & Sabiston, C. M. (2011). Exploring the links between physical activity and posttraumatic growth in young adult cancer survivors. Psycho-Oncology, 20, 278-286. https://doi.org/10.1002/pon.1733
  47. Neimeyer, R. A. (2001). Meaning reconstruction and the experience of loss.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48. Prati, G., & Pietrantoni, L. (2009). Optimism, Social Support, and Coping Strategies as factors contributing to posttraumatic growth: A meta-analysis. Journal of loss and trauma, 14(5), 364-388. https://doi.org/10.1080/15325020902724271
  49. Roberts, K. J., Lepore, S. J., & Helgeson, V. (2006). Social-cognitive correlates of adjustment to prostate cancer. Psycho-Oncology, 15(3), 183-192. https://doi.org/10.1002/pon.934
  50. Ryan, R. M., & Deci, E. L. (2000).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the faciliation of intrinsic motivation, social development, and well-being. American Psychologist, 55(1), 68-78. https://doi.org/10.1037/0003-066X.55.1.68
  51. Sarason, A. B., Pierce, G. R., Sherin, E. N., Sarason, I. G., Waltz, J. A., & Popper, L. (2001).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working models of self and actual other.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0, 273-287. https://doi.org/10.1037/0022-3514.60.2.273
  52. Seligman, M. (2002). Authentic happiness: Using the new positive psychology to realize your potential for lasting fulfillment. New York: Free Press.
  53. Seligman, M. (2011). Flourish. New York, NY: Free Press.
  54. Seppala (2017). 해피니스트랙. 이수경 역(2017). 서울: 한국경제신문.
  55. Stolarski, M., & Cyniak-Cieciura, M. (2016). Balanced and less traumatized: Balanced time perspective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emperament and severity of PTSD syndrome in motor vehicle accident survivor sample.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101, 456-461. https://doi.org/10.1016/j.paid.2016.06.055
  56. Stolarski, M., Wojtkowska, K., & Kwiecinska, M. (2016). Time for love: Partner's time perspectives predict relationship satisfaction in romantic heterosexual couples. Time and Society, 25(3), 552-574. https://doi.org/10.1177/0961463X15596703
  57. Sword, R. M., Sword, R. M., Brunskill, S. R., & Zimbardo, P. G. (2014). Time Perspective Therapy: A new Time-Based Metaphor Therapy for PTSD. Journal of Loss Trauma, 19(3), 197-201. https://doi.org/10.1080/15325024.2013.763632
  58. Tedeschi, R. G., & Calhoun, L. G. (2004). Posttraumatic Growth: Conceptual Foundations and Empirical Evidence. Psychological Inquiry, 15(1), 1-18. https://doi.org/10.1207/s15327965pli1501_01
  59. Tesser, A. (1991). Emotion in social comparison and reflection processes. In J. Suls & T. A. Wills (Eds), Social comparison: Contemporary theory and research (p.115-145).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60. Ullrich, P. M., & Lutgendorf, S. K. (2002). Journaling about stressful events: Effects of cognitive processing and emotional expression. Annals of Behavioral Medicine, 24(3), 244-250. https://doi.org/10.1207/s15324796abm2403_10
  61. Webster, J. D. (2011). A new Measure of Time Perspective: Initial Psychometric Findings for the Balanced Time Perspective Scale(BTPS). Canadian Journal of Behavioral Science, 43(2), 111-118. https://doi.org/10.1037/a0022801
  62. Weiss, T. (2004). Correlates of posttraumatic growth in married breast cancer survivors.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23, 733-746. https://doi.org/10.1521/jscp.23.5.733.50750
  63. Zimbardo, P. G., & Boyd, J. N. (1999). Putting time in perspective: A valid, reliable individual-differences metric.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7(6), 1271-1288. https://doi.org/10.1037/0022-3514.77.6.1271
  64. Zimbardo, P. G., & Boyd, J. N. (2008). The time paradox. New York, NY: Free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