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nsverse Isotropy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19초

횡방향 등방성을 고려한 단섬유 인장 실험 모델링 (Modeling of Single Fiber Pull-Out Experiment Considering the Effects of Transverse Isotropy)

  • 설일찬;이춘열;채영석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26권7호
    • /
    • pp.1384-1392
    • /
    • 2002
  • Single fiber pull-out technique has been commonly used to characterize the mechanical behavior of interface in fiber reinforced composite materials. An improved analysis considering the effects of transversely isotropic properties of fiber and the effects of thermal residual stresses in both radial and axial directions along the fiber/matrix interface is developed for the single fiber pull-out test. Although the stress transfer properties across the interface is not much affected by considering the transversely isotropic properties of fiber, interfacial debonding is notably encouraged by the effect. The interfacial shear stress that plays an important role in interfacial debonding is very much affected by the component of axial thermal residual stress in the bonded region, which can induce a two-way debonding mechanism.

횡적등방성 지층의 시추공 간 탄성파 주시 자료의 토모그래피 역산 연구 (A Study on Tomographic Inversion of Crosshole Seismic Traveltimes in Transversely Isotropic Layers)

  • 장성형;양승진;황세호;김중열
    • 지질공학
    • /
    • 제3권3호
    • /
    • pp.231-239
    • /
    • 1993
  • 본 연구에서는 지층속도가 이방성의 일종인 횡적등방성을 갖는 지역에서의 시추공 간 탄성파 주시자료를 역산하여 속도 이상대를 규명하는 연구를 시행하였다. 등방성 및 횡적등방성이 모형지층에 대해 파선추적법으로 합성 탄성파 주시를 구한 후, 이 주시자료에 대해 이방성을 고려한 ART 역산법과 이방성을 고려하지 않은 일반적인 ART 연산법에 의해 속도 분포를 구해본 결과, 이방성을 고려한 ART법에 의하면 이방성 및 등방성 지층의 속도분포가 잘 결정되었으며 일반적 ART법에 의하면 등방성 지층의 속도는 잘 결정되나 이방성 지층의 속도에는 오차가 많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지층의 이방성 또는 횡적등방성에 대한 사전 정보가 없을 때에는 이방성을 고려한 ART법을 적용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 PDF

입자결합모델을 이용한 횡등방성 암석에서의 수압파쇄 특성 연구 (Study on Hydraulic Fracturing in Transverse Isotropic Rock Using Bonded Particle Model)

  • 정재웅;허찬;전석원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3권6호
    • /
    • pp.470-479
    • /
    • 2013
  • 수압파쇄는 암반에서 유체의 흐름을 촉진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되며 지열개발, 세일가스의 개발 등 최근 에너지 분야에서 그 어느 때 보다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수압파쇄의 대상이 되는 암반은 등방성을 갖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일부 퇴적암층에서는 횡등방성 암반에서 수압파쇄가 이루어진다. 횡등방성 암반에서는 수압파쇄에서 발생하는 균열의 성장 방향이 반드시 최대주응력 방향과 일치하지 않으며 이방성 구조에 따라 변화하게 된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는 입자결합모델을 이용하여 횡등방성 암석에서의 수압파쇄 특성을 고찰하고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실험실 규모의 수압파쇄 실험을 실시하여 수치해석 결과의 타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가압되는 유체의 점도 및 층리면의 각도 그리고 이방성에 의한 영향으로 균열의 성장 및 균열 패턴에 큰 차이를 보였으며, 횡등방성 모델의 경우 전단균열에 의한 수압파쇄 균열의 성장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횡등방성 원통 셸에 의한 수중 음파의 공명 산란 (Resonant Scattering of Underwater Acoustic Wave by Transversely Isotropic Cylindrical Shells)

  • 김진연
    • 소음진동
    • /
    • 제7권3호
    • /
    • pp.449-455
    • /
    • 1997
  • A theoretical study is presented for the prediction of the scattering of obliquely incident plane acoustic wave by transversely isotropic cylindrical shells immersed in water. In dorder to illustrate the vailidity of the theory backscattering form functions are compared with the existing results for degenerated problems: the catterings by isotropic shell and transversely isotropic solid cylinder. The unidirectional fiber reinforced boron-aluminum composites are selected as a model of transversely isotropic materials having potential applications in practice. From the resonant scattering analysis of the partial backscattering form functions, the dispersion curves for fluid-borne Stoneley wave, guided wave along the shell, and the lowest three Lamb type waves can be found. The Lamb type dispersions a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flat plate. The variation of anisotropy significantly affects the properties of circumferential waves. From these results, it can be possible to identify parametrically the material properties of anisotropic cylindrical targets.

  • PDF

암석내의 균열전파에 따른 유효탄성계수의 변화 (Changes of Effective Elastic Moduli due to Crack Growth in Rock)

  • 신종진;전석원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10권3호
    • /
    • pp.301-308
    • /
    • 2000
  • 균열모형을 이용하여 압축 하중하에 있는 암석의 비선형 거동을 예측하는 것은 가능하다. 암석내의 균열의 성장은 암석의 이방성을 가져오며, 이러한 이방성의 정도는 단성계수의 변화로 표현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균열의 성장에 따른 탄성계수의 변화를 이론적인 균열모형을 통해 예측하고, 이를 탄성파 속도 시험을 통해 구한 탄성계수와의 비교를 수행하였다. 또한, 균열모형에 사용되는 초기 암석내 존재하는 균열에 대한 정보는 암석표면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구하였다.

  • PDF

암석내의 균열전파에 따른 유효탄성계수의 변화 (Changes of Effective Elastic Moduli due to Crack Growth in Rock)

  • 신종진;전석원
    • 한국암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암반공학회 2000년도 암반공학문제의 수치해석(Numerical Analysis in Rock Engineering Problems)
    • /
    • pp.47-55
    • /
    • 2000
  • 균열모형을 이용하여 압축 하중하에 있는 암석의 비선형 거동을 예측하는 것은 가능하다. 암석내의 균열의 성장은 암석의 이방성을 가져오며 이러한 이방성의 정도는 탄성계수의 변화로 표현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균열의 성장에 따른 탄성계수의 변화를 이론적인 균열모형을 통해 예측하고, 이를 탄성파 속도 시험을 통해 구한 탄성계수와의 비교를 수행하였다. 또한, 균열모형에 사용되는 초기 암석내 존재하는 균열에 대한 정보는 암석표면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구하였다.

  • PDF

다각형 입자 기반 개별요소모델을 통한 암석의 역학적 특성과 횡등방성 모사 (Polygonal Grain-Based Distinct Element Modelling of Mechanical Characteristics and Transverse Isotropy of Rock)

  • 박정욱;박찬;류동우;최병희;박의섭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6권3호
    • /
    • pp.235-252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다각형 입자 기반 개별요소모델을 이용하여 실험실 스케일에서 등방성, 횡등방성 암석의 거동과 점진적 파괴 과정을 모델링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기법을 구축하였다. 가압에 따른 미세균열의 개시와 성장 과정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기법을 제안하였으며, 이를 통해 전단균열과 인장균열의 개시와 성장이 암석의 점진적 파괴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다각형 입자기반 개별요소모델의 거동 및 미세균열의 발생 양상은 실험실에서 관찰되는 암석의 일반적인 특징과 상당 부분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상기 모델이 암석의 역학적 거동을 합리적인 수준에서 재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각형 입자기반 개별요소모델에 대한 기초연구로서 접촉면의 미시변수와 시료의 거시물성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으며, 미시변수를 조정함으로써 다양한 암석의 강도와 변형 특성을 재현하였다. 한편, 상기 모델을 횡등방성 암석을 모사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국내 횡등방성 암석인 아산편마암에 적용하여 근소한 오차 범위 내에서 실내시험 결과를 재현하였다.

다공성 복합재료의 삼차원 거동 예측을 위한 분리-혼합 기법의 확장 (Extended Unmixing-Mixing Scheme for Prediction of 3D Behavior of Porous Composites)

  • 최회길;신의섭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91-97
    • /
    • 2013
  • 고온에서 열분해 과정을 겪는 복합재료의 탄화 및 삭마 과정의 표면 침식은 주로 두께 방향으로 진행된다. 본 논문에서는 다공성 복합재료의 면내 및 두께 방향 거동을 효과적으로 기술하기 위하여 분리-혼합 기법을 적용하였다. 섬유와 기지로 구성된 복합재료의 횡방향 등방성 가정을 통해 분리-혼합 방정식을 삼차원으로 확장하였으며, 기공 압력, 열팽창, 열분해 과정의 수축 효과를 포함하였다. 다공성 복합재료의 대표 체적 요소를 유한요소법으로 해석하여 면내 및 두께 방향의 물성 값을 상호 비교함으로써, 확장된 분리-혼합 기법의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횡방향으로 등방성인 재료에서 균열선단 크리프 변형 거동 (Crack Tip Creep Deformation Behavior in Transversely Isotropic Materials)

  • 마영화;윤기봉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3권12호
    • /
    • pp.1455-1463
    • /
    • 2009
  • Theoretical mechanics analysis and finite element simulation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creep deformation behavior at the crack tip of transversely isotropic materials under small scale creep (SCC) conditions. Mechanical behavior of material was assumed as an elastic-$2^{nd}$ creep, which elastic modulus ( E ), Poisson's ratio ( ${\nu}$ ) and creep stress exponent ( n ) were isotropic and creep coefficient was only transversely isotropic. Based on the mechanics analysis for material behavior, a constitutive equation for transversely isotropic creep behavior was formulated and an equivalent creep coefficient was proposed under plain strain conditions. Creep deformation behavior at the crack tip was investigated through the finite element analysis. The results of the finite element analysis showed that creep deformation in transversely isotropic materials is dominant at the rear of the crack-tip. This result was more obvious when a load was applied to principal axis of anisotrop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mechanics analysis and the finite element simulation, a corrected estimation scheme of the creep zone size was proposed in order to evaluate the creep deformation behavior at the crack tip of transversely isotropic creeping materials.

균열모형을 이용한 암석거동의 수치해석 (Numerical analysis of rock behavior with crack model implementation)

  • 전석원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9권1호
    • /
    • pp.56-63
    • /
    • 1999
  • 암석은 불연속면들에 의해 다양한 방식의 거동을 보인다. 이러한 암석의 복잡한 파괴와 변형거동을 해석하기 위한이전의 많은 연구들은 균열모델의 개발에 중점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는 석탄과 같은 파쇄 암석에 대해 활주균열모형과 전단균열모형의 타당성을 검토하였고 모델을 수치해석에 적용하였다. 수치해석을 수행하기 위해 여러 방식으로 유한 요소 프로그램을 수정하였다. 2차원 해석에서 횡등방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대칭축의 방향에 대해 응력-변형률 관계를 수정하였고, 균열성장에 따른 유효탄성계수의 변화를 계산하였다. 2차원 실내 단축압축시험의 가단한 예를 해석하였으며 해석결과는 실내시험에서 구한 결과와 일치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