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ditional landscape

검색결과 1,112건 처리시간 0.028초

조선시대 와유문화의 전개와 전통조경공간의 조성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Culture of Mental Stroll about Nature and the Building of the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Space in Choseon Dynasty)

  • 김수아;최기수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39-51
    • /
    • 2011
  • 본 연구는 조선시대 문인들의 조경공간과 관련한 기록을 대상으로 조선시대 다양한 전개양상을 보인 와유문화와 전통조경공간과의 문화사적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현실의 유교적인 삶과 자연의 도교적인 삶을 절충하며 살아야 했던 조선시대 문인들의 산수자연에 대한 태도는 다방면의 문화가 난숙해지면서 점차 철리적(哲理的)인 태도에서 심미적(審美的)인 태도로 변화하게 되었다. 이러한 산수자연관의 변화와 명말청초 시은(市隱)하고자하는 성시산림(城市山林)의 문화가 전래되면서 산수자연을 일상공간에서 쉬이 즐기고자 하는 바람이 간절해졌다. 그러한 바람은 현실 속에서 소요유(逍遙遊)한다는 의미를 갖는 와유문화(臥遊文化)에 주목하게 되고 다양한 와유문화의 양상들을 만들어냈다. 국문학분야에서는 일상공간에 앉아 산수의 감흥을 글로 즐길 수 있는 산수유람기(山水遊覽記)가 발달하고, 미술분야에서는 이상향을 그렸던 관념산수화(觀念山水畵)가 실제의 경관을 옮겨 핍진(逼眞)한 산수의 미를 즐길 수 있는 실경산수화(實景山水畵)로 발달하게 되었다. 조경분야에서는 개인의 이상(理想)을 표현할 수 있는 일상공간에 산수자연을 담아 감상의 측면에서 가장 생생함을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을 조성하였다. 또한, 전통조경공간은 방안에 누워서도 꿈꾸고 싶은 대상으로 실제 산수이상의 의미를 지니게 되었다.

한국 전통건축과 랜드스케이프 건축에 나타난 생태학적 특성 (Ecological Features appearing in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and Landscape Architecture)

  • 이영미;천득염
    • 건축역사연구
    • /
    • 제14권4호
    • /
    • pp.101-115
    • /
    • 2005
  • The main aim of this research is centered on the relation between nature and humans, and is to study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appearing both in Landscape Architecture, one of the currents of ecological architecture as the architectural solution on the relation between humans and nature, and in our traditional architecture. Through this study, we were able to see that our traditional architecture was influenced by our ancestor's view of nature, and that the foremost feature of our ancestor's view of nature on our traditional architecture is not conflicting with nature, but, instead it is complying with it through seeking harmony with nature. Also we could see that our ancestor's view of nature is similar to Landscape Architecture having come to the fore toward the tendency of modern ecological paradigm in that it is the representation seeking the organic view of nature pursuing the oneness among artificial structure, humans, and nature. That is, we could figure out that various ecological features appearing in modem Landscape Architecture had been represented for a long long time, in a natural fashion, In the manner of space makeup in our traditional architecture. This is the characteristic of our ecological thinking system understanding nature and humans at the same context, and it has come down not only to our everyday living but to the manner of architectural solutions as well. Through this research, we could reconsider the modern value of ecological architecture inherent in our traditional architecture.

  • PDF

Island ecology on biological-cultural diversities and human adaptation in seascapes

  • Hong, Sun-Kee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3권2호
    • /
    • pp.115-120
    • /
    • 2010
  • The Asian cultural landscape is a mirrored ecosystem of great complexity, formed by the interaction of man and nature, coupled with a host of ecological processes. The human dependencies on and environmental adaptation of the bio-organisms and the surrounding landscape constitute the typical cultural landscape. Islands are a good example of a cultural landscape, and each mosaic pattern of marine and coastal ecosystems reflects bio-cultural diversity. Along with land-use patterns, wise use of biological organisms and indigenous knowledge has expanded to islands in the Asia-Pacific region in several ways (sea current and human impact, etc.). Loss in biodiversity and landscape diversity as well as cultural diversity owing to global warming and rapid urbanization are emerging issues for island ecosystems all over the world. In order to sustain the historical coexistence between man and natural systems, we ecologists must continue to search for a holistic solution for academic consilience. In this paper, I present the vision and practical characteristics of island ecology with a view toward the conservation of the traditional landscape and bio-cultural diversities in the seascape.

고문헌을 제재(題材)로 한 전통경관연구의 경향분석 (Trends of Scenery Research with a Old Literature Subject Matter)

  • 김묘정;정기호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44-52
    • /
    • 2014
  • 본 연구는 최근 10년 동안 고문헌을 제재로 한 전통경관연구의 경향을 파악하여, 고문헌자료 활용에 있어 전통경관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전통경관연구의 경향분석을 위해 2002년부터 2012년까지의 한국전통조경학회지에 발표된 논문을 조사 분석하여 전통경관연구의 고문헌자료 활용을 고찰하였다. 고문헌을 통한 연구논문의 수량은 2009년까지 한해에 2~3편 정도인 것이 2010년부터 8편 이상으로 많아졌다. 고문헌자료의 활용경향은 국역본을 사용하거나 개인문집의 일부를 번역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원문사용에 있어서도 간혹 번역문만으로 연구를 진행하여 원문번역에 대한 고증부분이 미진한 점도 나타났다. 결과에 의해 전통경관연구의 방향을 아래와 같이 제안해 볼 수 있다. 원문의 효율적인 이해나 검증을 위해 원문과 번역본을 같이 제시하고, 번역의 출처도 명기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현황을 기록한 기문인 경우에는 조경 및 경관의 전문성이 갖추어진 번역 역시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고문헌 자료의 분석에 있어서도, 시문과 기문 등을 병행한 전통경관 분석은 풍부한 자료로 인해 경관의 위치 및 장소 추정이 용이하므로, 기문 등을 근거로 연구의 기초를 잡은 후, 보완적으로 시문을 활용하는 등의 연구접근도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전통 원림에 도입된 비둘기 완상 문화 (The Culture of Appreciating Pigeons in Korean Traditional Landscape Gardens)

  • 김서린;성종상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14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전통 원림에서 행해진 비둘기 애호 문화를 살펴보고, 전통 원림의 동물 소재로서 비둘기의 면모를 조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비둘기의 종류와 명칭을 파악하고, 쓰임과 상징적 의미를 분석하여 비둘기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였다. 비둘기를 통한 원림 향유 문화를 살펴보기 위해 한국고전종합DB와 한국사데이터베이스에서 '비둘기'로 검색하여 도출된 고문헌의 번역본을 대상으로 내용 분석하였으며 옛 그림을 참고하였다. 비둘기는 귀소성이 있는 새로서 전서구(傳書鳩)로 이용되었으며, 약용, 식용으로도 쓰였다. 비둘기는 다양한 상징적 의미가 있는데, 풍요(豐饒)와 환우(喚雨)를 의미하였으며, 장수를 상징하였다. 고려 시대부터 조선 전기까지 궁원(宮苑)과 사가 원림에서 비둘기를 길러왔으며, 조선 후기에는 관상용 비둘기의 애완문화가 일시적으로 유행하였다. 비둘기는 원림을 풍부하게 향유하게 하는 공감각적 소재였다. 가지각색의 아름다운 비둘기는 움직이는 조경 소재로서 원림의 가변적 경관을 창출했다. 비둘기의 움직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방울 소리는 경관의 청각적 체험을 풍부하게 유도했다. 비둘기 집은 비둘기와 더불어 원림을 풍부하게 하는 완상 요소였다. 원림 조영자는 비둘기 집을 만들고 원림에 배치하는 행위를 통해 원림 조영에 적극적으로 관여했다. 또한 문인들은 봄을 상징하는 수목이자 비둘기의 먹이 제공원으로서 매실나무, 복숭아나무, 살구나무, 산사나무 등과 더불어 부귀와 은일을 상징하는 모란과 국화를 식재하여 비둘기와 함께 향유했으며, 이를 시와 그림으로 표현하였다. 본 연구는 전통 원림의 공감각적 소재로서 비둘기에 주목하여 전통 원림 문화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동물 요소로서 원림에 도입된 비둘기의 완상 요소와 조영자의 향유 행태에 대한 조경사적 컨텐츠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본 연구에서는 번역문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는 한계를 가지며, 향후 원림에서 비둘기를 기른 구체적 사례와 근현대 시기 조경 공간에서의 비둘기 기르기에 대한 후속 연구가 촉구된다.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의 낙수장 디자인에 내재하는 조경적 특성과 그 형성 배경 (Landscape Characteristic and Its Background of the Fallingwater Design by Frank Lloyd Wright)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90-100
    • /
    • 1999
  • The Fallingwater, one of Wright's best designs, is known as a good example of "Organic Architecture". Its landscape characteristics are harmonious relationship between architecture and landscape, adaptable siting, composition of spatial and visual structure, floating spaceness, interlocking of water and house, dramatic approach, and vernacular material use. This characteristics had begun from the Prairie architecture, but also had influenced by the culture and art of the Far East. He was open to foreign cultures. Staying in Japan for years, he had travelled China, too. In this process, he might be exposed to Korean art and culture which were under Japan at that time. Comparing the front image of the Songkwang Temple to that of the Fallingwater, their compositions between architecture, water, and landscape are so similar to each other. They are also close to each other in terms of spatial structure. Therefore the landscape characteristics found in the Fallingwater design are more similar to Korean landscap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than Japanese ones. Therefore we are going to suggest the hypothesis that Wright is influenced by Korean landscape design in the design of the Fallingwater. Considering his impact upon the design world, it will be significant if the concept of Korean traditional landscape design is placed behind his design of the great architecture.hitecture.

  • PDF

입지유형과 주택경관 상호간의 선호인자에 관한 요인분석 연구 (A Study on the Factor Analysis of preferred elements in Types of Location and Housing landscape)

  • 조원석;김흥기;김정현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8권2호
    • /
    • pp.1-10
    • /
    • 2006
  • Recently the concerns of landscape resources were on the increase about the landscape of control and landscape design. In order to this,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architectural landscape design data of individual house in Gangwon Provinces. The type of landscape in Donghae seaside consist of three; Road, Mountain, Seaside. And the type of images about individual housing are three; Western, Traditional, Modern. This research is analyzed 18-simulation scenes, factor analysis is used for the SPS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housing of western style do not correspond with landscape of Road, but landscape of mountain and seaside were suitable to the western style. Second, mountain in Donghae seaside harmonizes with housing of traditional style. Third, even though the housing of modern style were marked low assessment in three landscape, we found out relation, modern housing was well-matched load landscape. Finally, to improve of landscape housing, which will serve as systematic approach with association of clients, constructors, designers and public service personnel.

  • PDF

중국 강남 전통 수향(水鄕) 하천 경관의 시각적 특성 및 선호요인 분석 - 중국 강수성 주장(周莊) 하천경관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the Visual Characteristics and Preference Factors of Traditional Landscape of Rivers in Kangnam Region of China - With a Case of River in Zhouzhuang, Jiangsu Province of China -)

  • 김동찬;송매결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22-130
    • /
    • 2010
  • 본 연구는 중국 전통 강남 수향 하천경관인 주장(周莊)을 대상으로 경관 형용사 분석에 의한 시각적 특성을 도출하고, 시각적 특성과 선호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전통 강남 수향 주장 진(鎭)에 위치한 수향 하천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실시하고 하천 유축경(流軸景) 경관을 교량 위에서 촬영하여 사진 22장을 선정하였다. 둘째, 주장하천 경관의 시각적 선호도 및 경관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형용사 25쌍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셋째, 물리적 특징 및 물리량은 선호도를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물리적 경관 요소의 점유율을 산출해서 평균분석, 분산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경관 특징 선호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설정된 경관형용사를 척도화 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미지 요인이 시각적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분산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수행하여 얻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경관선호도를 분석한 결과, 최고의 선호를 보인 22번 사진에 해당하는 형용사는 '조화로운-부 조화로운', '아름다운- 추한', '전원적인-도시적인', '부드러운-거친', '안정적인-불안정적인', '낭만적인-현실적인', '명랑한-우울한', '화려한-소박한', '자연적인-인공적인', '친근한-낯선', '깨끗한-더러운' 등 총 11쌍의 형용사이었으며, 이들 형용사는 대체적으로 하천경관의 시각적 선호 이미지를 설명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로 판단되었다. 전통 강남 하천 경관의 시각적 물리량에 따른 선호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보도'와 '건물 및 조형물' 면적의 점유율이 높을수록 선호도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통 강남 하천 경관의 시각적 특성을 요인 분석한 결과, '심리적 인자', '문화적 인자', '상황적 인자', '물리적 인자' 등 총 4가지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시각적 선호도와 시각적 특성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심리적 인자'의 회귀계수 B값이 +0.936로 가장 높게 나타나, 중국 강남 수향 하천경관의 시각적 선호 이미지를 설명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전통정원 해외조성을 위한 정원보급 유형 제안 - 공공 공간에 적용될 정원을 대상으로 - (Suggestions on the Types of the Distribution of Gardens for the Overseas Establishment of Traditional Korean Gardens - Oriented the Garden which is Applicable to the Open Space -)

  • 권진욱;박은영;홍광표;황민하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06-113
    • /
    • 2013
  • 본 연구는 한국전통정원을 해외에 조성하기 위한 보급 및 활성화의 일환으로 한국문화 즉 전통정원의 정체성을 정립하며, 해외에 거주하는 한국인과 자국민들로 하여금 한국전통정원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즐길 수 있는 보편적 실현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향후 한국전통정원이 해외에 조성될 때 개별성을 가질 수 있는 계획 및 설계에 대하여 최소한 지침을 마련하고, 계획가들이 고려하여야 할 방향성을 수립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해외에 조성되는 한국전통정원의 유형은 조성목적과 실현되는 공간의 규모에 따라 형식적 다양성을 지니기도 하는 데, 가장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것은 한국적 경치에 어울리는 정서를 담아야 하고, 누구에게나 인지되고 이해 가능한 설계언어를 내포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결과로 도출한 한국전통정원을 해외에 보급하기 위한 공간 기본유형은 '전시(박람회)형', '정원형', '공원형'으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기본유형은 정원 조성 시목적에 부합되는 특성별 프로토타입에 해당하며, 공간 규모적 측면을 고려할 때 전시(박람회)형의 모형을 구성의 최소단위로 설정하며, 도입 기본시설로는 '수목', '정(정자)', '방지(池)와 원도', '화계', '담장' 등의 요소를 권장하여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한국전통정원의 해외 조성을 위한 계획 및 설계의 기초자료로써 활용의 의미를 가진다.

자연경관의 특질 분석 : 자연성에 대한 조경 전문가와 일반인의 평가를 중심으로 (Characteristic Analysis of Natural Landscape: Based on the Assessments of Naturalness by Landscape Professionals and Laypersons)

  • 이영경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1-14
    • /
    • 2004
  • As urbanization becomes widely spread, environmental benefits of natural landscapes have been highly appreciated. The social demands to conserve such landscapes are becoming stronger in modem society. In order to effectively manage natural landscapes, one should know what natural landscapes are. The characteristics of natural landscapes revealed by foreign research include wilderness, absence of human intrusion, and presence of diverse natural element (plants, trees, water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diverse natural landscapes with different levels of naturalness. The methods adopted here consist of three phases. First, 368 landscapes were photographed to include different levels of naturalness. Second, two professional landscape groups assessed the degree of naturalness of the collected landscapes, in which the characteristics of five degrees of naturalness were examined. Lastly, undergraduate students, as laypersons, assessed the 33 landscapes that were selected as representative of the five degrees of naturalness. The results show that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professionals and laypersons on the assessment of naturalness of landscape. The characteristics of natural landscape that participants perceive include no human intrusion, preservation of original state, traditional quality such as Korean-style architecture, dominance of natural elements, and minimum facilities that harmonize with natural surroundings, Many characteristics are similar to the results of foreign research, However, the results reveal that Koreans do not perceive man-made nature as natural, while they perceive traditional elements as natural. Based on the results, some suggestions for landscape management are presented in the conclusion s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