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f the Visual Characteristics and Preference Factors of Traditional Landscape of Rivers in Kangnam Region of China - With a Case of River in Zhouzhuang, Jiangsu Province of China -

중국 강남 전통 수향(水鄕) 하천 경관의 시각적 특성 및 선호요인 분석 - 중국 강수성 주장(周莊) 하천경관을 중심으로 -

  • Kim, Dong-Cha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Kyung Hee University) ;
  • Song, Mei-Jie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Kyung Hee University)
  • 김동찬 (경희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 ;
  • 송매결 (경희대학교 대학원 환경조경학과)
  • Received : 2010.07.06
  • Accepted : 2010.09.27
  • Published : 2010.09.01

Abstract

The Study takes the rivers in Zhouzhuang - traditional Chinese Kangnam watery landscape as the obj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relationships between visual characteristics and the preference. The following is the research process: Firstly, the theoretical study of Zhouzhuang, the traditional Kangnam region in China, is conducted, the watery landscape is taken pictures, and 22 photos are selected. Secondly, in order to grasp the visual preference and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the watery landscape in Zhouzhuang, 22 pictures and 25 pairs of adjectives are adopted for the questionnaire survey. Thirdly, in order to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n the physical properties and effects of physical quantity on the preference, the occupation ratios of buildings and sculptures, natural elements, footpaths, bank revetments and other landscape elements are calculated, and the mean analysis, dispers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are conducted. In order to grasp the landscape characteristics and preference factors, 25 pairs of adjectives are used to conduct the factor analysis. In order to grasp the effects of characteristics of visual factors on the preference, the dispers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are carried ou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rom the results of the landscape preference analysis, in the No.22 photo with the top preference, 11 pairs of adjectives, namely, "harmonious-disharmonious", "beautiful-ugly", "rural-urban", "soft-rough", "stable-instable", "romantic-realistic", "cheerful-gloomy", "brilliant-simple", "natural-artificial", "familiar-strange", and "clean-dirty" have positive effects on watery landscape. It can be viewed as the relatively important factor in the visual preference. In terms of the results of visual physical quantity analysis of traditional Chinese Kangnam watery landscape, the landscape with high occupation ratio of buildings and sculptures has positive effects on visual preference. The results of analysis of visual physical quantity and preference show that the preference degree increases as the occupation ratio of footpath area increases. The analysis results of visual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Chinese Kangnam watery landscape identify four factors, namely psychological factor, cultural factor, condition factor and physical factor. It can be concluded from the results of analysis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visual preference and visual characteristics that the return coefficient B of the psychological factor is +0.936. It can significantly affect the watery landscape, so it can be identifie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among the visual preference factors of Chinese Kangnam watery landscape.

본 연구는 중국 전통 강남 수향 하천경관인 주장(周莊)을 대상으로 경관 형용사 분석에 의한 시각적 특성을 도출하고, 시각적 특성과 선호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전통 강남 수향 주장 진(鎭)에 위치한 수향 하천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실시하고 하천 유축경(流軸景) 경관을 교량 위에서 촬영하여 사진 22장을 선정하였다. 둘째, 주장하천 경관의 시각적 선호도 및 경관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형용사 25쌍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셋째, 물리적 특징 및 물리량은 선호도를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물리적 경관 요소의 점유율을 산출해서 평균분석, 분산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경관 특징 선호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설정된 경관형용사를 척도화 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미지 요인이 시각적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분산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수행하여 얻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경관선호도를 분석한 결과, 최고의 선호를 보인 22번 사진에 해당하는 형용사는 '조화로운-부 조화로운', '아름다운- 추한', '전원적인-도시적인', '부드러운-거친', '안정적인-불안정적인', '낭만적인-현실적인', '명랑한-우울한', '화려한-소박한', '자연적인-인공적인', '친근한-낯선', '깨끗한-더러운' 등 총 11쌍의 형용사이었으며, 이들 형용사는 대체적으로 하천경관의 시각적 선호 이미지를 설명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로 판단되었다. 전통 강남 하천 경관의 시각적 물리량에 따른 선호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보도'와 '건물 및 조형물' 면적의 점유율이 높을수록 선호도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통 강남 하천 경관의 시각적 특성을 요인 분석한 결과, '심리적 인자', '문화적 인자', '상황적 인자', '물리적 인자' 등 총 4가지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시각적 선호도와 시각적 특성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심리적 인자'의 회귀계수 B값이 +0.936로 가장 높게 나타나, 중국 강남 수향 하천경관의 시각적 선호 이미지를 설명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대현, 김대수(1999). 도시 소하천 경관의 시각적 선호 이미지와 영향요인.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2(4): 10-14.
  2. 김미경(2008). 하천경관의 시각적 선호도에 관한 연구: 광양시 동천을 사례지역으로. 순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성근, 조우현, 임승빈(1999). 시각적 선호요인 분석을 통한 농촌 소하천 경관평가에 관한 연구. 농촌계획학회지 5(1): 36-41.
  4. 김하종(2005). 도시하천의 시각적 특성에 따른 선호도연구 -청주시 무심천을 대상으로-. 청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31-45.
  5. 이상석(2006). 하천호안공법의 시각적 선호도: 광양시 동천을 사례로. 한국조경학회지. 34(3): 13-15.
  6. 유상완(2006). 하천 경관의 시각적 선호 요인 결정. 기초조형학연구. 7(1): 335, 337.
  7. 양영광, 조극래(2008) 도시하천변 경관특성과 선호도에 관한 연구 -대구 신천을 중심으로-.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59-62.
  8. 이정재(2010). 하천변 친수공간의 구조와 기능에 관한 연구. 경원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62, pp.66.
  9. 정대영, 허성수, 신언동(2007). 도시하천의시각적 특성 및 선호요인 분석: 대전광역시 갑천을 중심으로.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10(3): 15-23.
  10. 주신하, 임승빈(2003). 도시경관분석을 위한 경관형용사 목록 작성. 한국조경학회지. 31(1): 4-7.
  11. Jin Yi.(2008). 강남 수향 친수 건축물 외부 공간의 대한 연구. 상해교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金龍洙, 金秀峰(1998). 都市河川景觀의 改善 方向에 關한 硏究: 하천경관 유축의 구도에 대한 시각적 및 심리적인 인과관계를 중심으로. 國土計劃. 33(6): 244-246, 253.
  13. http://ko.wikipedia.org/wik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