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4700/KITLA.2021.39.3.001

The Culture of Appreciating Pigeons in Korean Traditional Landscape Gardens  

Kim, Seo-Lin (Interdisciplinary Program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Sung, Jong-Sang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Studies, Environmental Planning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v.39, no.3, 2021 , pp. 1-14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loving pigeon culture practiced in traditional gardens and to illuminate the aspect of pigeons as a landscape animal material. In order to understand the culture of enjoying old garden through pigeons, the contents were analyzed for the translated version of the old literatures and paintings. Pigeons have been used as Jeonseo-gu(傳書鳩) and also for medicinal purposes and food. Pigeons have various symbolic meanings such as abundance, hospitality, and longevity. From the Goryeo Dynasty to the early Joseon Dynasty, pigeons were raised in the palace and private garden. In the late Joseon Dynasty, temporary trend of ornamental pigeon culture occurred. Pigeons were synesthesia materials that enriched the forest. Various beautiful pigeons created a variable landscape of the primeval forest as a moving landscape material. The bell sounds that appear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pigeon's movement led to a rich auditory experience of the landscape. The pigeon house was an ornamental element that enriched the old garden along with the pigeon. The owners of garden were involved in gardening through the act of buying a pigeon house and placing it in the garden or making a pigeon house themselves. In addition, the writers planted plum trees, peach trees, apricot trees, and hawthorn trees as a symbol of spring and a source of food for pigeons, and expressed them in poems and paintings. This study has a limitation in that the translation of the old text was used as an analysis data. The follow-up studies on specific cases of raising pigeons in the old garden, in modern and contemporary landscape spaces are urged.
Keywords
Breeding Pigeons; Landscape Animal Material; Landscape Elements; Traditional Garden;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이옥 저, 실시학사 고전문학연구회 역(2009). 완역 이옥 전집3. 휴머니스트.
2 한국문화상징사전편집위원회(1995). 한국문화상징사전 2. 두산잡지 BU.
3 이선(2006). 한국 전통 조경 식재 우리와 함께 살아 온 나무와 꽃, 수류산방중심.
4 이승종 기자. 2015년 7월 15일 기사. "한 푼만 줍쇼..." 한 푼은 얼마일까?. 아시아 경제.
5 정학유 저, 허경진, 김형태 역(2007). 시명다식(詩名多識). 한길사.
6 https://www.emuseum.go.kr/
7 정희조 기자. 2017년 12월 8일 기사. 평화의상징→혐오대상...군사정부유산 도시비둘기. 스카이데일리.
8 신상섭, 노재현(2011). 안평대군 비해당(匪懈堂) 원림의 의미경관과 조경문화.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9(1): 28-37.
9 이원호, 김동현, 최종희(2014). 의원기에 나타나는 조선후기 경화세족의 원림향유문화. 한국전통조경학회지. 12: 32-44.
10 김해경. 소현수(2012). 전통조경요소로써 도입된 학(鶴)과 원림문화.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0(3): 57-67.
11 정민(2007). 18세기 조선 지식인의 발견-조선 후기 지식 패러다임의 변화와 문화 변동. 휴머니스트.
12 홍형순(2020a). 조선시대 사가(私家) 정원에서의 양학(養鶴) 사례.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8(2): 42-59.   DOI
13 여기현(2007). 시가 속 비둘기의 변용- 유구곡(維鳩曲) 재해석을 위하여-. 반교어문연구. 23: 107-134.
14 정민(2004). 18세기 지식인의 완물 치미와 지적 경향. 고전문학연구. 23: 327-354.
15 https://www.birdcenter.kr/
16 https://hanja.dict.naver.com/
17 동아일보. 1959년 10월 3일 기사. 전국체육대회 오늘 개막.
18 http://db.itkc.or.kr/itkcdb/.
19 환경부(2009). 유해 비둘기 관리방안.
20 서울연구원(2015). 조류 도심유입을 위한 서식환경 개선 방안.
21 안계복(2007). 穿빼造山 種花草養珍짧奇戰 의 재해석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5(4): 131-141.
22 홍형순(2020b). 조선시대 궁궐에서의 양학(養鶴) 사례.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8(3): 1-10.   DOI
23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13권 명종 광효대왕 26년(1196) 기사.
24 정민(2003). 한시 속의 새, 그림 속의 새1, 2. 효형출판.
25 정 민(2014). 새 문화사전. 글항아리.
26 임형석, 2009년 6월 2일 기사, 임형석의 한자 박물지(博物誌) <130> 鵓鸽, 국제신문
27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20권 충렬왕 5년(1279) 기사.
28 「고려사(高麗史)」 36권 충혜왕 4년(1343) 기사.
29 「고려사(高麗史)」41권 공민왕 17년(1368) 기사.
30 「조선왕조실록」세종 8년(1426) 4월 22일 5번째 기사.
31 「조선왕조실록」세종 13년(1431) 8월 26일 기사.
32 Sung, J. S.(2015) Ui-won: The 18-19C Joseon Scholar's Garden of Imagination, Landscape Research, 40(6): 732-747.   DOI
33 김동현.최종희(2014). 시(詩),서(書),화(畵)를 통해 본 18,19세기 한양(漢陽)의 원림 향유문화.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3(2): 36-48.
34 안대회(2009). 조선후기 서울지역의 문학과 도시문화사: 성시전도시(城市全圖詩)와 18세기 서울의 풍경. 古典文學硏究. 35: 213-249.
35 http://db.history.go.kr/
36 박제가 저, 정민.이승수.박수일 외 역(2020). 정유각집 中. 돌베개.
37 유득공 저, 김윤조 역(2020). 고운당필기(번역서). 한국고전번역원.
38 최정민, 서영애(2015). 정원 조영의 주체로서 조선후기 경화사족(京華士族)의 문화와 정원관. 한국정원디자인학회지. 1(2): 77-87.   DOI
39 원홍구 저, 임춘훈 감수(2001). 한국조류도감. 여강출판사.
40 권오경(1998). 유구곡(維鳩曲) 의 구조와 참요성. 한국어문학회지. 64: 129-149.
41 「조선왕조실록」 태조 3년(1394) 10월 6일 2번째 기사.
42 김홍식 엮음, 정종우 해설(2014). 조선동물기. 서해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