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urism Attraction

검색결과 128건 처리시간 0.034초

헬스투어 관광지 매력도 증진방안 - 일본 쿠사츠와 이토온천 지역을 중심으로 - (A Study on promoting destination attraction for health tourism visitors - Case of Kusats & Itoh area in Japan -)

  • 최승국;김승주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9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312-324
    • /
    • 2009
  • 21세기에 들어 복잡해진 생활환경과 고령화의 진전은 현대인으로 하여금 자신의 건강관리에 대한 관심과 욕구를 관광과 여가를 통하여 표출하는 방식의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지역의 경제 활성화를 이루려는 노력도 "건강"을 테마로 하는 건강지향 관광지 개발의 방향으로 바뀌고 있으며 지역의 관광자원과 시설, 서비스의 개선을 포함한 지역의 관광매력도를 높일 수 있는 여러 방법이 다각도로 모색되고 있다. 당 논문에서는 상기와 같은 "건강"지향 관광자들이 가장 많이 찾는 온천지를 대상으로 방문요인을 찾아내어 관광지의 매력도를 증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특히 온천지로 일본에서 가장 유명한 쿠사츠지역과 이도우지역의 방문자들을 대상으로 조사하여 양 지역 간의 차이를 찾아내고 차별화된 건강지향 관광자들의 매력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부산 북항 항만경관의 시각적 선호도 분석 (Visual Preference Analysis of North Port Landscapes in Busan)

  • 양위주;구본아;윤기항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65-269
    • /
    • 2008
  • 본 연구는 항만경관에 대한 선호도를 분석한 것으로 부산의 북항을 연구 대상지로 설정하였다. 선호 요인은 SD법을 통해 도출되었고, 북항의 시각적 선호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다중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북항의 시각적 선호요인으로 역동성, 안정성, 쾌적성, 보건성의 4개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4개의 선호요인을 이용한 시각적 선호도 분석 결과, 역동성 요인이 상대적으로 북항 선호를 설명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북항 경관의 창출 및 관광객을 위한 항만 이미지 조성에 역동성을 고려한 항만경관계획과 관광 매력물로써의 개발을 통해 북항경관의 시각적 질 관리를 추진해야할 것으로 사료된다.

농촌마을 단위 그린투어리즘 포텐셜 조사 분석 연구 (A Study on Survey and Analysis of Green-tourism Potential in Rural Tourist Villages)

  • 김대식;권용대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1권3호
    • /
    • pp.15-24
    • /
    • 2009
  • This study tried to develop a tentative evaluation system on greentourism potentials(GTP) of rural villages. The GTP evaluation system consisted of 45 detail criteria within three kinds of large scale criteria, which are human resources of residents capability, amenity resources of tourists attraction, and income resources through exchange activity between rural and urban areas. The evaluation criteria were adapted from several decades existing studies considering the hardware(facility and amenity resources) and software(human resources and programs on tourism)resources in rural villages. Two kinds of test study areas, which are subdivisions of county in a typical rural area(Boori) and an suburbanized area surrounding a big city(Chooboo), located on Keumsan county in Chungnam province, were selected to test the GTP evaluation syste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verage GTP values of each village in Boori are higher than those of Chooboo, due to higher values in criteria on amenity resources and income resources, which the typical rural area may have higher value in such criteria.

아산 지역특산물과 설화를 활용한 Food Tourism 제품 개발 (Study on the Development of Food Tourism Products Based on the Local Food and Folktale)

  • 김미혜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17-228
    • /
    • 2018
  • This study aimed to develop unique, local "food tourism" products by finding specialized items that combine tourist attractions, such as folklore or hot springs. Traditional ingredients were analyzed with ancient texts for the methods of research. A brand image was made possible utilizing hot spring lore and other regional stories. The tofu products were produced using local specialty beans. Products, such as tofu residue cake and willow bean tea, were made with the tofu residue. After the products were completed, the sensory test began at the local tourist attraction. Asan City's food tourism product willow tofu was made with beans that were given as compensation for building the Onyang temporary palace according to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 willow tree that appears in Sunshin Lee's anecdotes. After the preference test between normal tofu and willow-extract tofu was conducted to measure the product potential of willow tofu, among the sample extracts, 0.04% of the willow extract showed a significant preference. The hot spring tofu-residue cake was baked using tofu residue and vegetable olive oil to substitute for animal oil, such as butter, or margarine. After the sensory test targeting the adults was conducted, both products displayed significant product potential with average scores above 5.0. Willow tree bark, which has antioxidation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without a bitter taste or strong smell, was proven to bean appropriate ingredient for leached tea. The nutty flavor of leached tea was enhanced by roasted green kernel black beans and willow tree bark. The sensory test showed that the leached tea and tofu received a high preference rating on both color and flavor.

의료협력과 국제 의료관광 네트워크에 관한 연구 - 센텀 메디컬 파트너스를 중심으로 - (Research for Network on Medical Association and International Medical Tourism - Based on Centum Medical Partners -)

  • 박기수;배종철;최봉준
    • 한국임상보건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59-71
    • /
    • 2014
  • Purpose. Medical tourism is recently becoming a new industry with great growth potential. The South Korean government is shifting medical tourism from simple cultural tourism to a high value-added industry with a new paradigm. Methods. The government has been providing positive support and marketing policies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article concerning foreign patient attraction to the medical law in 2009, and various types of medical institutions around the country has participated actively in medical tourism by themselves or in cooperation of government bodies and made increasingly greater performance. Results. This study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The medical institutions in Korea have been making efforts to see more development and profitability in diverse ways, including medical tourism for foreign patients and the advance of the Korean medical institutions into foreign markets. However, many local governing bodies and medical institutions participating in medical tourism around the country have primarily focused on examination and treatment on the basis of foreign patients' visit to South Korea and rarely built a medical network with other countries directly for medical tourism. This study presents a case of building a local medical network and a network for international medical tourism successfully on the basis of the local medical association, CMP, which has been formed naturally in Busan. The success factors for CMP included 1) enthusiasm of the official in charge; 2) the medical level, the service level, and open-mindedness of participant medical institutions; 3) cost efficiency due to executive office management with no costs, no conflicts, and constant partnership; 4) security of non-competitive expertise for participants; 5) local factors of CMP; 6) participation of good agencies; 7) reinforcement of participation networks; and 8) post facto management and local doctor management. Conclusions. Its positive effects included patient introduction and greater profitability on an internal basis as well as construction of the collaboration system with the institutions related to medical tourism and confidence. However, there are some limitations: it is still difficult to predict performance due to the short period of their activities, and it is necessary to continue to observe their constant activities since a single medical association was involved.

관광 홍보관 활성화에 관한 인식 : 경상북도 지역 중심으로 (A Study on Awareness of the Revitalization of Tourism Promotionality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 : Focus on the Gyeongsangbuk-do Area)

  • 남태석;허종국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1-14
    • /
    • 2019
  • 본 연구에서 본 연구에 참여한 FGI 대상자들은 경상북도 관광 홍보관 활성화에 관한 인식 및 장기적인 지역 활성화를 위해서는 국내·외 관광객 시장에 맞는 관광 홍보관 및 안내소 기능 통합이 필요하며, 모바일 환경 변화에 따른 관광 홍보관 IT 기술 접목과 경상북도 23개 시·군의 통합 시스템 구축과 로컬 푸드, 특산물 판매, 관광 기념품 판매 연계, 지역 기업의 판매망 구축을 통한 경상북도 지역의 관광자원·안내을 연계한 차별화된 서비스는 지역의 지속 가능한 발전이 가능하다. 즉, 경상북도 지방자치단체 간의 협력적 네트워크 구축과 이를 통한 각 지역의 이해관계자 업무 소통과 공유하여 경상북도 23개 시·군의 관광홍보관 활성화를 통해서 경상북도 방문하는 국내·외래 관광객의 증가와 지역경제 활성에 대한 장기적인 홍보관 운영·마케팅 구축 전략이 필요하다고 제시하였다.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FGI 분석 결과를 통한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기 때문에 분석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다소 한계점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향후 구조화된 설문조사를 통한 정량적 연구로 보다 타당성 높은 연구결과를 담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경상북도 지역의 관광 홍보관 책임자, 관광공무원 이해 관계자, 관광분야 전문가, 다양한 전공 분야의 교수에 대한 표본의 수를 좀 더 확보하여 분석방법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높일 수 있도록 질적 연구를 강화하기 위한 노력도 수반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신기성 욕구수준에 따른 해외여행동기 차이에 관한 연구 (Study on Level of Novelty Seeking Need and Oversea Travel Motivators)

  • 박신자
    • 한국관광식음료학회지:관광식음료경영연구
    • /
    • 제14권2호
    • /
    • pp.153-174
    • /
    • 2003
  • Travel motivations appear particularly useful in describing those individuals who visit a specific travel attraction versus those who do not visit the attraction. Novelty seeking is an important motivator for traveling today. In this study four factors and three groups resulting from a cluster analysis were tested in determination for 13 preference and 21 motivators. The major finding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Prior consideration in oversea travel for people is to expect to contact new culture and exotic environment. In the selection of oversea travel with the level of novelty seeking traits, rhere is meaningfull diffrences. In the novelty seeking levels of leisure activities remarkable difference appeared in the selective degree variables and the examination of the gap. In the selection of oversea with the novelty seeking level it displayed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10 items. In a travel in accordance with levels of novelty seeking- which is divided into groups high, medial, and, low level of novelty seeking groups- four elements of their levels demonstrated meaningful differences, such as adventure seeking type, out-of-ordinary life type, fun seeking type and free travel type. In order words, the means of high-concerned group, medial, and ldw-concerned group showed remarkable differemndes.

  • PDF

공간구문론을 활용한 관광객 동선의 이질성 분석 (An Analysis of the Heterogeneity in Tourists' Route via the Space Syntax)

  • 김성훈;최내영
    • 토지주택연구
    • /
    • 제11권3호
    • /
    • pp.39-48
    • /
    • 2020
  • Gamcheon village was a poor village in the past, but it recently has boomed as a representative tourists' attraction in the region. Its unique topography and history have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 town's growth as a famous tourists' attraction. The factors contributed decisively to the formation of a special spatial structure there. In the process of the town's rapid development as a tourists' destination, however, the tourism overflowed. As such, the interests of the residents and the tourists conflicted, and the segregation between the two has augmented. These gaps seem to have enormously distorted the perception of the spaces as much as they have seriously distracted the existing traffic circulations in the vill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spatial perception of both residents and tourists in the Gamcheon village. For the purpose, it assumes the residents' natural movements and the tourists' purposeful movements, and they are analyzed by the space syntax. The major findings are that the circulations of the residents and the tourists in the village are clearly separated and that the two groups perceive the same space completely differently. This confirms the fact that even the same space could be recognized and used in a totally different way depending on the users' purposes.

VR관광콘텐츠의 이용만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Satisfaction on Use of VR Tourism Program)

  • 양성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184-193
    • /
    • 2019
  •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관광객들에 제공되는 새로운 기술 기반의 관광콘텐츠들이 개발되고 활용되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지역의 환경자산으로서 곶자왈을 테마로 구성된 VR관광콘텐츠인 "비밀의 바람 숲"을 이용한 관광객을 대상으로 이용만족을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문헌 고찰을 통해 연구모형을 제시하였으며, VR관광콘텐츠을 이용한 관광객 대상으로 277부의 유효 표본을 확보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구조모델의 연구가설(H1~H5)은 채택 되었다. 첫째, 개인혁신성은 지각된 용이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혁신성은 이용만족에 영향을 미쳤으며, 지각된 용이성은 이용만족에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VR기기 관광콘텐츠 개발과 활용에서 있어 학술적 실무적으로 의미가 있다. 학술적으로는 콘텐츠 응용에 관점에서 VR관광콘텐츠에 대한 관광소비자 관련 연구들에 관광활동, 행동, 태도 등 기초이론을 제공될 수 있으며, 실무적으로는 VR관광콘텐츠를 활용하고자 하는 관광마케터들과 VR기기를 활용하는 콘텐츠 개발자들에게 관광자원의 활용하는 VR기기 스토리 구성과 타켓 시장을 고려한 콘텐츠 기획과 실행에 도움을 줄 수 있다.

관광객 중심의 관광콘텐츠 정보 생성 방안 연구 - 부산 남부지역을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Information Generating Plan of Tourist-oriented Tourism Contents - For the Sourthen Part of Busan -)

  • 정명균;김창수;이경현;김영봉;김대환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8권1호
    • /
    • pp.63-72
    • /
    • 2022
  • 연구목적: 크로나 펜데믹 이후, 모든 국가들은 관광객 유치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관광객 유치 활성화를 위해서는 관광객이 필요로 하는 정보를 발굴하고, 이를 방문객 위치 기반으로 정보를 제공하고 생성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관광객 중심의 관광 콘텐츠 정보 생성을 위한 시스템 구성방안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GIS와 QR코드 기반의 콘텐츠를 생성하고, 관광객의 현재 위치에서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그리고 다양한 지점에 설치된 QR코드를 활용하여 현재 위치에서 이동시간 및 다른 목적지 정보 그리고 QR코드 기반 AR 영상 정보도 제공한다. 연구결과: 기존의 관광 콘텐츠 시스템은 고정된 위치 기반의 QR코드를 활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는 GIS기반 QR코들 생성하여 관광객 위치 기반 맞춤형 관광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한다. 결론: 본 연구는 새로운 관광 정보 콘텐츠 구성 방안과 관광객 중심의 관광 정보 제공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