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Satisfaction on Use of VR Tourism Program

VR관광콘텐츠의 이용만족에 대한 연구

  • 양성수 (제주대학교 관광융복합학과)
  • Received : 2019.06.28
  • Accepted : 2019.08.12
  • Published : 2019.08.28

Abstract

With the development of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ourism items or products based on new technology is created or developed for tourists. This study examines tourist's satisfaction about VR program, "Secret Wind Forest", which is the story of Gotjawal, one of famous Jeju eco-tourism attraction. In order to achieve the study goal, it identified a study model from the previous studies. It collected data using survey from visitors who used VR program. The total of 227 questionnaires was utilized for data analysis. Based on the study model, it accepted five hypotheses (H1~H5), which are as follows. Firstly, individual innovativenes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Secondly, individual innovativeness influenced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usefulness and ease influenced usage satisfaction. These results have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contribution in terms of the development to tourist products using VR program. Academics can provide basic theories such as tourism activities, behaviors, and attitudes to tourism consumer-related studies on VR tourism program in terms of content application. Practically, it can help tourist marketers who want to use VR tourism program and content developers who use VR devices to construct VR program stories using tourism resources and to plan and execute contents considering the target market.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관광객들에 제공되는 새로운 기술 기반의 관광콘텐츠들이 개발되고 활용되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지역의 환경자산으로서 곶자왈을 테마로 구성된 VR관광콘텐츠인 "비밀의 바람 숲"을 이용한 관광객을 대상으로 이용만족을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문헌 고찰을 통해 연구모형을 제시하였으며, VR관광콘텐츠을 이용한 관광객 대상으로 277부의 유효 표본을 확보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구조모델의 연구가설(H1~H5)은 채택 되었다. 첫째, 개인혁신성은 지각된 용이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혁신성은 이용만족에 영향을 미쳤으며, 지각된 용이성은 이용만족에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VR기기 관광콘텐츠 개발과 활용에서 있어 학술적 실무적으로 의미가 있다. 학술적으로는 콘텐츠 응용에 관점에서 VR관광콘텐츠에 대한 관광소비자 관련 연구들에 관광활동, 행동, 태도 등 기초이론을 제공될 수 있으며, 실무적으로는 VR관광콘텐츠를 활용하고자 하는 관광마케터들과 VR기기를 활용하는 콘텐츠 개발자들에게 관광자원의 활용하는 VR기기 스토리 구성과 타켓 시장을 고려한 콘텐츠 기획과 실행에 도움을 줄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박수지, 정철, "공간위상학적 특성과 관광환경정보가 공간 인지와 만족에 미치는 영향: 가상현실기법을 중심으로," 관광학연구, 제43권, 제3호, pp.83-105, 2019.
  2. 한종성, 이근호, "HMD를 이용한 VR 관광콘텐츠,"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15호, pp.40-47, 2015.
  3. 채지영, "문화콘텐츠 활용 사례 연구," 한국문화 연구원, p.171, 2013.
  4. 제주특별자치도 곶자왈 보전 및 관리 조례 : 제정 2014.04.21. 조례 제1184호.
  5. '비밀의 바람숲' 교육 체혐형 VR 3D 애니메이션 파일럿 영상제작 보고서, (주)위놉스, 2017.
  6. 정광중, "제주 곶자왈의 경관 특성과 가치탐색," 문화역사지리, 제29권, 제3호, pp.58-77, 2017.
  7. 이학식, 안광호, 하영원, 소비자행동: 마케팅전략적 접근, 서울:법문사 제3판, 2001.
  8. E. M. Rogers, Diffusion of Innovations 3rd ed. New York: the Free Press, 1983.
  9. 양성수, 허향진, 최병길, "온라인 구전 관광정보의 구전효과," 관광학연구, 제32권, 제2호, pp.109-130, 2008.
  10. R. Goldsmith and C. Hofacker, "Measuring Consumer Innovativeness,"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Vol.19, No.3, pp.209-221, 1991. https://doi.org/10.1007/BF02726497
  11. S. Gatignon and T. S. Robertson, "A propositional inventory for new diffusion research,"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11, No.4, pp.849-867, 1985. https://doi.org/10.1086/209021
  12. 김도일, 이승희, 박종희,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패션제품 구매의도와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유통연구, 제8권, 제1호, pp.69-89, 2003.
  13. F. D. Davis,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MIS Quarterly, Vol.13, No.3, pp.319-340, 1989. https://doi.org/10.2307/249008
  14. 김세영, 윤성혜, "네이버 밴드를 활용한 대학 팀 프로젝트 학습에서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사용용이성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2호, pp.695-706,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12.695
  15. 정득일, 전략산업의 스마트그리드화에 의한 유용성과 용이성이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_계획행동이론을 중심으로, 동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16. R. L. Oliver, "A Cognitive Model of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Satisfaction Decision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17, No.4, pp.460-480, 1980. https://doi.org/10.1177/002224378001700405
  17. J. Hunt, "Image as a factor in tourism development," Journal of Travel Research, Vol.13, No.3, 1975.
  18. P. Kotler, Marketing Management, 10th ed, Prentice Hall International, Inc, 2000.
  19. A. Decrop, A. Pizam, and Y. Mansfeld, Consumer behavior in travel and tourism, Philadelphia: Haworth Hospitality Press, 2000.
  20. 정철, "관광정보 노출효과," 관광연구논총, 제21권, 제2호, pp.39-60, 2009.
  21. R. B. Klein,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2ed), NY: Guilford Press, 2005.
  22. G. N. Challagalla and T. A. Shervani, "Dimensions and Types of Supervisory Control: Effects on Salesperson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Journal of Marketing, Vol.60, No.1, pp.89-105, 1996. https://doi.org/10.2307/1251890
  23. W. H. DeLone and E. R. MeLean, "Information system success: The quest for the dependent variable," Information System Research, Vol.3, No.1, pp.60-95, 1992. https://doi.org/10.1287/isre.3.1.60
  24. P. B. Seddon, "A respecification and extension of the DeLone & McLean model of IS success,"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Vol.8, No.3, pp.240-253, 1997. https://doi.org/10.1287/isre.8.3.240
  25. 나지영, VR게임 이용의도에 관한 연구: 기술수용모델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