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tal Petroleum Hydrocarbon

검색결과 112건 처리시간 0.038초

미생물활성화제를 이용한 유류오염토양 복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mediation using Microbial Activator from Oil-Contaminated Soil)

  • 이채영;정찬교;김종문
    • 유기물자원화
    • /
    • 제19권2호
    • /
    • pp.41-48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미생물활성화제를 토양경작법에 적용하였을 경우 토양을 복원함에 있어 타 공법에 비해 장시간 걸리는 단점을 최소화하고, 빠른 시일 내에 친환경적으로 복원이 가능한지에 대한 타당성 조사와 더불어 석유계총탄화수소(TPH)의 저감 능력을 확인하였다. Pre-test의 개념으로 미생물활성화제의 성능과 분해 효율을 lab-test를 통해 확인하였으며, 유류오염 토양의 지표인 석유계총탄화수소(TPH)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석유계총탄화수소(TPH)의 처리 효과를 확인한 결과, 20일 정도까지는 자연분해와 미생물활성화제의 차이가 미미하게 발생하였으나, 20일 경과 후에는 처리 효과가 대조군에 비해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각층에 따른 제거율을 살펴본 결과, 상층 85.8 %, 중층 84.4 %의 제거율을 나타냈으나, 하층에서는 66.10 % 제거율을 나타냈다. 대조군에서 자연적으로 줄어드는 석유계총탄화수소(TPH)의 저감율이 평균 71.1 %임을 근거로 봤을 때 미생물활성화제가 하층까지 충분하게 전달되지 않은 상태로 볼 수 있었으며, 이는 토양 더미의 문제로 판단된다. 현장 실험에서는 토양 더미가 1 m 로 진행되었기 때문에 더미 높이를 0.6 m 이하로 낮추게 되면 석유계총탄화수소(TPH)의 처리효율은 더 높아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펜톤산화 및 생물학적 연속처리를 통한 유류오염토양의 효율적 처리 (Efficient Remediation of Petroleum Hydrocarbon-Contaminated Soils through Sequential Fenton Oxidation and Biological Treatment Processes)

  • 배재상;김종향;최정혜;칼루 이베 엑페게어;김수곤;고성철
    • 미생물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356-363
    • /
    • 2011
  • 유류의 유출로 인한 총석유계탄화수소(total petroleum hydrocarbons: TPH)는 종종 토양과 지하수의 오염을 초래하고 있다. TPH는 환경에 노출이 될 경우 물리화학적 과정을 거쳐 분해가 되나 그 반응은 상대적으로 느리다. 본 연구에서는 TPH로 오염된 토양의 환경친화적인 처리기법을 궁극적으로 개발하기 위해서 화학적 및 생물학적 통합기술을 도입하고자 시도하였다. 여기서 펜톤유사반응을 전처리단계로 도입하고 이후 디젤분해 혼합균을 처리하여(생물증강법) 오염유류를 처리하고자 하였다. 계면활성제 OP-10S (0.05%)과 산화제($FeSO_4$ 4%, 및 $H_2O_2$ 5%)를 사용할 경우 토양으로부터 효율적으로 TPH를 처리, 제거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디젤분해 혼합균을 토양슬러리에 접종할 경우 100배 이상 분해균의 밀도상승이 관찰되었는데 이는 접종된 분해균이 오염된 토양에서 성공적으로 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10^8-10^9$ CFU/g slurry). Fenton으로 처리된 토양에서의 TPH 제거 효율은 분해균으로 생물증강을 실시할 경우 최소한 57% 정도 상승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화학적, 생물학적 연속처리를 실시할 경우 대조구(무처리; 재거효율 95%)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처리효율(79-83%)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화학처리 중에 발생하는 자유기(free radicals) 함유 산화물질이 분해를 억제한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의 얻어진 결과는 환경에 있어서 TPH로 오염된 토양과 저질을 효율적으로 정화하고 토양생태계의 신속한 회복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LPG/바이오디젤 혼합연료를 사용하는 직접분사식 디젤엔진의 성능 및 배기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Performance and Emission Characteristics of a DI Diesel Engine Operated with LPG / Bio-diesel Blended Fuel)

  • 이석환;오승묵;최영;강건용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8-14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LPG/바이오디젤 혼합연료의 직접분사식 디젤엔진 적용성에 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특히, 혼합연료를 엔진에 적용하는 경우 엔진성능, 배출가스 (미연탄화수소, 일산화탄소, 질소산화물, 이산화탄소), 연소안정성에 대한 실험을 1,500 rpm의 엔진회전수 조건에서 수행하였다. 바이오디젤은 질량대비 20-60% 범위로 LPG에 혼합하였다. 바이오디젤을 40% 이상 혼합하는 경우 엔진은 모든 부하영역에서 매우 안정적으로 연소되었다. 바이오디젤의 혼합율이 증가할수록 혼합연료의 세탄가가 향상되어 연소시작 시점이 진각되었다. 혼합연료를 사용하면 저부하에서는 과혼합에 의한 부분연소로 인하여 THC와 CO의 배출량이 급증하였으며, NOx의 경우 저부하에서는 배출량이 디젤연료에 비해서 낮았으며 고부하에서는 더 많이 배출되었다.

Petrochemical effluent treatment using natural coagulants and an aerobic biofilter

  • Bandala, Erick R.;Tiro, Juan Bernardo;Lujan, Mariana;Camargo, Francisco J.;Sanchez-Salas, Jose Luis;Reyna, Silvia;Moeller, Gabriela;Torres, Luis G.
    • Advances in environmental research
    • /
    • 제2권3호
    • /
    • pp.229-243
    • /
    • 2013
  • Coagulation-flocculation (CF) was tested coupled with an aerobic biofilter to reduce total petroleum hydrocarbon (TPHs) concentration and toxicity from petrochemical wastewater. The efficiency of the process was followed using turbidity and chemical oxygen demand (COD). The biofilter was packed with a basaltic waste (tezontle) and inoculated with a bacterial consortium. Toxicity test were carried out using Lactuca sativa var. capitata seeds. Best results for turbidity removal were obtained using alum. Considerable turbidity removal was obtained when using Opuntia spp. COD removal with alum was 25%, for Opuntia powder it was 36%. The application of the biofilter allowed the removal of 70% of the remaining TPHs after 30 days with a biodegradation rate (BDR) value 47 $mgL^{-1}d^{-1}$. COD removal was slightly higher with BDR value 63 $mgL^{-1}d^{-1}$. TPH kinetics allowed a degradation rate constant equal to $4.05{\times}10^{-2}d^{-1}$. COD removal showed similar trend with $k=4.23{\times}10^{-2}d^{-1}$. Toxicity reduction was also successfully achieved by the combined treatment process.

영남지역 논토양에서 다핵방향족탄화수소 농도의 장기변동 (Long-term Changes in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 Content of Paddy Soils in Youngnam area)

  • 남재작;홍석영;이희동;박창영;이상학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196-200
    • /
    • 2007
  • 영남농업연구소에 보관된 토양 시료의 분석결과 밀양지역 논토양에서의 PAHs 함량 1978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978년에 $200{\mu}g\;kg^{-1}$을 넘어서 1980년에 최고농도($237{\mu}g\;kg^{-1}$)에 달하였으나,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2001년에는 $100{\mu}g\;kg^{-1}$ 수준까지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PAHs의 발생원이 적은 지역의 농경지에서는 1980년대 이후 대체적으로 PAHs의 농도가 감소하고 있고, 오염물질(PAHs)의 대기이동에 의한 토양오염의 우려가 비교적 낮다는 것을 시사한다.

저온 열 탈착에 의한 유류 오염토의 처리 조건의 연구 (A Study on Treatment Conditions of Oil Contaminated Soil by Low Temperature Thermal Desorption)

  • 하상안;염혜경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9권8호
    • /
    • pp.956-960
    • /
    • 2007
  • 본 연구 목적은 유류오염토의 TPH(석유계 총탄화수소) 및 BTEX(벤젠, 톨루엔, 에틸렌, 크실렌)를 제거하기 위해 저온 열탈착 공법을 사용하였다. 열 탈착 기술은 오염원의 종류나 농도에 관계없이 단기간에 완전처리가 가능하며, 공정의 신뢰도가 높아 현장처리 적용이 용이한 공정으로 잘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 저온 열탈착 공법의 온도범위와 체류시간을 결정하기 위해 TGA 곡선을 통하여 도출하였다. 기초실험을 통해 도출된 온도범위인 $300\sim500^{\circ}C$ 범위에서 BTEX 및 TPH 의 농도변화를 실험한 결과, BTEX는 $300^{\circ}C$ 운전 시 5분 내에 완전히 제거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TPH 의 경우, $300^{\circ}C$ 운전 시 65%의 제거율을 나타냈으며, $500^{\circ}C$ 운전 시에는 70% 이상의 제거율을 나타냈다. 그러나 체류시간에 따른 TPH 제거율은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CVS-75모드에서 사용연료에 따른 배출가스 특성분석 (Characteristics Analysis of Exhaust Emission according to Fuels at CVS-75 Mode)

  • 한성빈;김용태;이호길;강정호;정재우;정연종
    • 에너지공학
    • /
    • 제18권1호
    • /
    • pp.69-73
    • /
    • 2009
  • 자동차로부터 배출되는 배출가스의 규제가 최근 더욱 강화되고 있다. 이러한 엄격해지는 규제는 배출가스를 줄이는 대체연료의 개발에 더욱 박차를 가하게 된다. 본 연구는 가솔린, 디젤, LPG 연료를 사용하는 동급의 자동차를 이용하여 배출가스의 특성을 분석 비교하였다. 테스트 모드로는 최근 국내와 북미 배출가스의 주행모드로 사용되는 CVS-75모드를 사용하였다. 배기 특성은 주행조건에 하에서 연구되어졌다. 사용연료인 가솔린, 디젤, LPG연료에 따라 THC, CO, NOx의 배출가스의 특성을 연구했다. 연구결과, LPG연료에 비해 가솔린자동차가 9.8%의 배출가스 감소, 디젤자동차는 12.2% 증가를 나타냈다. 또한 CVS모드에서 가솔린과 LPG는 phase 1의 냉간시동구간에서 THC와 CO는 80%이상을 나타낸다.

군부대와 주유소 주변에서 채취한 토양에서의 미생물 군집구조와 우점종의 파악 (Findings of Microbial Community Structure and Dominant Species in Soils Near Army Bases and Gas Stations)

  • 김재수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27-233
    • /
    • 2010
  • 각종 오염지역의 오염토양의 시료를 채취해 DGGE를 이용한 미생물군집구조를 서로 비교함으로써 어떤 요인이 영향을 많이 미치는지를 알아보았다. 미생물군집의 유사도 비교에서 TPH 오염 말고는 대부분의 오염정도가 심하지 않아서 오염 특성보다는 토양시료가 채취된 지역에 따라 더 유사함을 보여주었고 TPH 오염도가 가장 높았던 시료에서만 지역적 특성을 넘어 유사도 차이를 보여 주었다. 이와 같이 오염요인이 너무 크지 않은 경우에는 미생물군집구조가 지역특성 즉 여러 다른 환경요인에 의해 더 크게 영향을 받는 것을 이 연구를 통해 알 수가 있었다. 모든 오염토양의 우점종(배양성 세균) 조사에서 firmicutes와 high GC Gram+에 속하는 세균들이 주로 발견되었고 유류오염이 심한 토양에서 이미 보고된 Arthrobacter, Bacillus, Methylobacterium, Clavibacter, Streptomyces, Nocardia와 아직 보고되지 않은 Leifsonia가 발견되었다.

고온 공기분사공정에 의한 유류오염대수층의 TPH 제거 (TPH Removal of Oil-Contaminated Soil by Hot Air Sparging Process)

  • 이준호;박갑성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665-675
    • /
    • 2007
  • In-situ Air Sparging (IAS, AS) is a remediation technique in which organic contaminants are volatilized from saturated zone to unsaturated layer. This study focuses on the removal and interaction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and $CO_2$, and Total Petroleum Hydrocarbon (TPH) in saturated and unsaturated, and air space zone on the unsaturated soil surface. Soil sparging temperature of hot air has risen to $34.9{\pm}2.7^{\circ}C$ from $23.0{\pm}1.9^{\circ}C$ for 36 days. At the diffusing point, fluid TPH concentrations were reduced to 78.7% of the initial concentration in saturated zone when hot air was sparged. The TPH concentrations were decreased to 66.1% for room temperature air sparging. The amount of VOCs for hot air sparging system, in air space, was approximately 26% larger than constant air sparging system. The amount of $CO_2$ was 4,555 mg (in unsaturated zone) and 4,419 mg (in air space) when hot air was sparged was 3,015 mg (in unsaturated zone) and 3,634 mg (in air space) for room air temperature in the $CO_2$ amount. The removals of VOCs and biodegradable $CO_2$ through the hot air sparging system (modified SVE) were more effective than the room temperature air sparging. The regression equation were $Y=976.4e^{-0.015{\cdot}X}$, $R^2=0.98$ (hot air sparging) and $Y=1055e^{-0.028{\cdot}X}$, $R^2=0.90$ (room temperaure air sparging). Estimated remediation time was approximately 500 days, if final saturated soil TPH concentration was set to 1.2 mg/L application of tail effect.

마이크로파를 적용한 에너지 효율적인 오염토양 정화를 위한 예비연구 (A Preliminary Study for Microwave Application to Energy Efficient Contaminated Soil Cleanup)

  • 함석진;양인호;오현상;조현조;김건인;정상조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6권3호
    • /
    • pp.28-37
    • /
    • 2011
  • A preliminary study for energy efficient soil heating and contaminant removal using microwave was conducted. Soils sampled from floodplain were heated with microwave oven, and soil heating property and energy efficiency were compared to those heated with electrical furnace. In addition the effects of water, soil organic matter, and contaminated diesel on soil heating with microwave were investigated. Even though the electrical power consumption of electrical furnace and microwave oven were similar, temperature of soil heated with microwave ove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soil heated with electrical furnace. The increase of soil moisture content delays the raise of soil temperature during heating it with microwave oven. However, the effects of total petroleum hydrocarbon (TPH) (<10%) in contaminated soil matrix and small amount of soil organic matter (<5%) on the increase of soil temperature by microwave were not significant. Further studies for contaminated soils with different texture using pilot scale microwave reactor are required for application of this technique in the fie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