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Remediation using Microbial Activator from Oil-Contaminated Soil

미생물활성화제를 이용한 유류오염토양 복원에 관한 연구

  • Lee, Chae-Young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The University of Suwon) ;
  • Chung, Chan-Kyo (Department of Environmental and energy engineering, The University of Suwon) ;
  • Kim, Jong-Moon (Department of Environmental and energy engineering, The University of Suwon)
  • 이채영 (수원대학교 토목공학과) ;
  • 정찬교 (수원대학교 환경에너지공학과) ;
  • 김종문 (수원대학교 환경에너지공학과)
  • Received : 2011.06.13
  • Accepted : 2011.06.25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In this study, the soil remediation by landfarming was carried out using microbial activators. Feasibility studies and reduction capacity of TPH(Total Petroleum Hydrocarbons) were investigated in order to find out how fast and eco-friendly the contaminated soil can be recovered. The lab-test confirmed not only the performance and degradation efficiency of microbial activators but also the effect of TPH reduction in the contaminated soil. The optimum growth conditions for indigenous microorganisms were identified using microbial activators. Based on the results of TPH removal, although there had been a little of difference in between natural decomposition and microbial activators until 20 days, the sample groups of microbial activators were higher than the control ones after 20 days. Microbial activators were applied to the field experiments on landfarming. Based on the results of removal rate in each floor of soil, it was found that the removal rates were 85.8 % in the upper, 84.4 % in the middle, and 66.10 % in the bottom. Considering that the reduction rate of TPH for the control group averaged 71.1%, the microbial activators might not be fully transferred into the bottom, which resulted from the piles of soil. As the piles have already reached 1 m in the field experiments, the low piles of soil under 0.6 m may enhance the treatment efficiency of TPH.

본 연구에서는 미생물활성화제를 토양경작법에 적용하였을 경우 토양을 복원함에 있어 타 공법에 비해 장시간 걸리는 단점을 최소화하고, 빠른 시일 내에 친환경적으로 복원이 가능한지에 대한 타당성 조사와 더불어 석유계총탄화수소(TPH)의 저감 능력을 확인하였다. Pre-test의 개념으로 미생물활성화제의 성능과 분해 효율을 lab-test를 통해 확인하였으며, 유류오염 토양의 지표인 석유계총탄화수소(TPH)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석유계총탄화수소(TPH)의 처리 효과를 확인한 결과, 20일 정도까지는 자연분해와 미생물활성화제의 차이가 미미하게 발생하였으나, 20일 경과 후에는 처리 효과가 대조군에 비해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각층에 따른 제거율을 살펴본 결과, 상층 85.8 %, 중층 84.4 %의 제거율을 나타냈으나, 하층에서는 66.10 % 제거율을 나타냈다. 대조군에서 자연적으로 줄어드는 석유계총탄화수소(TPH)의 저감율이 평균 71.1 %임을 근거로 봤을 때 미생물활성화제가 하층까지 충분하게 전달되지 않은 상태로 볼 수 있었으며, 이는 토양 더미의 문제로 판단된다. 현장 실험에서는 토양 더미가 1 m 로 진행되었기 때문에 더미 높이를 0.6 m 이하로 낮추게 되면 석유계총탄화수소(TPH)의 처리효율은 더 높아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환경부 토양지하수과, 오염토양정화방법 가이드 라인, 환경부, pp. 1-52 (2007).
  2. 환경부 토양지하수과, 토양보전기본계획, 환경부, pp. 1-53 (2009).
  3. 정찬교, 유류오염 토양 복원을 위한 Su rfactant 개발 및 성능시험, (재)경기테크노파크, pp. 5-47(2009).
  4. 고성환, 김용현, 송현주, 김두섭, 정홍배, 구본삼, 최도원 "한국 실정에 적합한 생물학적 처 리(토양경작) 방법 및 적용사례", 한국환경농학회 2007 추계워크샵 자료집, pp. 71-85 (2007).
  5. 환경부 토양지하수과, 토양오염공정시험기준 전부개정(안), 환경부, pp. 1-55 (2009).
  6. 전권호, 한완수, 정현석, 서창일, 박정구 "토양 경작법(Landfarming)을 이용한 유류오염토양 의 복원 효율 평가",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5 춘계학술발표회, pp. 219-222 (2005).
  7. 환경부 토양지하수과, 2008년도 토양측정망 및 토양오염 실태조사 결과, pp. 1-79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