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ime headway

검색결과 93건 처리시간 0.022초

국내 연속류 자전거도로의 차두시간 분포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a Time Headway Distribution Model for Uninterrupted Traffic Flow Bikeway in Korea)

  • 전우훈;이영인;양인철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79-90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연속류 자전거도로에 대한 차두시간 분포 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현장조사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교통량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으며, 교통량의 기준은 전체 교통량을 분포를 고려하여 1분당 8대 미만은 낮은 수준의 교통량으로 하고 8대 이상은 높은 수준의 교통량으로 구분하였다. 차두시간의 집계간격은 기존의 자동차교통류에서 일반적으로 적용해오던 0.5초를 적용하였다. 적용된 분포는 기본적인 정규분포와 함께 음지수분포, 전이된 음지수분포, 피어슨 III분포이며, 카이스퀘어 검정 분석결과 음지수분포와 전이된 음지수분포에서 방향과 교통량 구분 모두에서 이론치와 관측치간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시된 자전거 차두시간 분포모형의 적정성을 판단하기 위한 분석결과, 역시 동일하게 음지수분포와 전이된 음지수분포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3색 화살표 신호등 설치 전.후 차두시간 비교 분석 (Study on Headways at Signalized Intersections Before and After Installation of Red Arrow Signal)

  • 이호원;주두환;현철승;박부희;김동효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57-65
    • /
    • 2011
  • 3색 화살표 신호등(3색 신호등)을 시범 설치하여 운영하던, 2011년 5월 대한민국은 열띤 토론에 휩싸였다. 논란의 핵심은 두 가지로 요약 할 수 있다. 첫째 3색 화살표 신호등이 운전자에게 혼란을 일으켜 교통사고를 유발 할 수 있다는 것이고, 둘째 예산낭비라는 것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핵심 논란 중, 3색 화살표 신호등이 운전자에게 혼란을 초래하는지에 대해 초점을 맞춰 연구를 수행하였다. 효과척도(MOE)로는 차두시간을 선정하였다. 운전자가 교차로에 진입하면서 혼란스러워 머뭇거리면 출발손실시간과 차두시간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따라서 3색 화살표 신호등 설치 전/후 비교분석을 통해 기존 4구 신호등과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현장조사는 총 3개 지점에서 실시하였으며, 설치 전/후 비디오 촬영을 통해 정지선을 통과한 차량의 차두시간을 측정하여 각 지점별 설치 전/후 차두시간을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 3개 지점 모두 3색 화살표 신호등 설치 전/후에 차두시간은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에너지저장시스템 적용에 의한 에너지절감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ffects of Energy Saving by Applying Energy Storage System)

  • 안천헌;이한민;김길동;이희성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2권4호
    • /
    • pp.582-589
    • /
    • 2009
  • 회생에너지는 회생 전동차와 역행 전동차의 순간적인 오버랩 경우를 제외하고, 전동차내 저항기 또는 전차선의 저항에 의해 열로서 사라지게 된다. 에너지자정시스템은 전동차 제동시 발생되어 재활용되지 못하고 사라지는 회생 에너지를 에너지저장시스템에 저장하고 전동차가 역행할 때 에너지저장시스템으로부터 에너지를 공급하여 도시철도시스템에서 회생 에너지를 재할용하는 시스템이다. 동시에 역행과 제동하는 차량이 존재하지 않을 지라도 차량간 에너지의 완전한 교환이 이루어 질 수 있다. 따라서 에너지저장시스템은 에너지를 저장하고 재활용함으로서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유용한 장치이다. 에너지저장시스템은 운행시격과 관계가 깊은데, 운행 시격이 짧은 경우보다 큰 경우 전동차 회생시 회생 에너지가 모두 에너지저장시스템으로 저장되므로 저장된 에너지를 활용할 수 있어 도시철도 운영기관의 에너지 절감율이 높아지게 된다. 반대로 운행 시격이 짧을 경우 한 변전소 구간 내에 전동차 여러 편성이있을 수 있다. 이때 하나의 전동차 회생시 이 회생 에너지가 주변의 역행 전동차에 공급되면 에너지저장시스템으로 들어오는 회생 에너지는 적을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에너지저장시스템을 적용하는데 있어서 악조건인 운행 시격이 국내에서 가장 짧은 서울메트로 2호선을 대상으로 에너지저장시스템 적용 효과를 에너지절감 측면에서 현장 실측과 시뮬레이션을 통해 분석하고자 한다.

기존 경부선 구간의 고속열차 운행가능시격에 대한 연구 (Research for possible Service Interval of High Speed KTX train in conventional KyoungBu-Line)

  • 이장무;김주락;이한민;오세찬;김길동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461-1467
    • /
    • 2006
  • In case of accidents at the line of Seoul-Pusan high speed railway, high speed train should be operated with making a detour by using existing Seoul-Pusan railroad. For Dae-jeon$\sim$Dae-Gu section which has fragile structures, following points are investigated. In operating existing train, train running time is analyzed by the case of only high speed train being in service and the case of high speed train being in service on condition that existing train is operated. Also the possibility about operation on present train headway and train headway that is applicable to operation and vocational problems would be examined.

  • PDF

HLM을 이용한 버스차두간격 편차에 미치는 요인분석 (서울시사례를 중심으로) (Identifying Key Factors to Affect Bus Headway Deviation using Hierarchical Linear Model (Seoul Case Study))

  • 이호상;김도경;김영찬;황경수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119-127
    • /
    • 2009
  • 버스의 정시성은 노선특성 및 운수회사의 특성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왔으나, 과학적인 분석이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노선 및 운수회사 특성에 따른 정시성(차두간격편차 요인)을 모형화 하기 위하여 상관분석 및 선형회귀분석(OLS, Ordinary Least Square)을 통하여 최적설명변수를 선택하고, 위계적인 자료구조를 고려하여 위계적 형태의 자료분석에 많이 사용되는 위계적선형모형(HLM, Hierarchical Linear Model)을 적용하여 정시성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ICC가 0.10으로 분석되어 정시성에 미치는 영향 중 노선특성에 의한 영향이 90%, 회사특성에 의한 영향이 10%로 나타나 OLS보다 HLM 적용이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버스의 정시성은 노선변수 수준에서 운행대수, 평균차두간격, 대당승객수 순으로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운행대수가 많고 대당승객수가 많은 노선은 정시성과 반비례하고, 평균차두간격과는 비례관계로 분석되었다. 회사변수 수준에서는 회사규모(관리대수)가 클수록, 일반회사 보다는 입찰간선회사가 정시성에 양(+)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정시성 평가관리시 노선별 운행대수, 평균차두간격, 운수사별 관리차량대수에 의한 영향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며, 정시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노선의 연장을 짧고, 운수사의 규모가 클 수록 유리하다 할 수 있다.

BMS 자료를 이용한 서울시 간선버스의 정시성 분석(자료포락분석기법을 적용하여) (Analysis on Reliabilities of Seoul's Trunk Bus Lines Using BMS Data (through Data Envelopment Analysis))

  • 오미영;정창용;손의영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63-71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이용자 입장에서 정시성이 열악한 노선들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시의 도심으로 향하는 간선노선을 대상으로 BMS자료를 이용하여 노선별 배차간격의 오차율과 운행시간의 오차율을 계산한 후, 자료 포락분석기법을 이용하여 두 지표를 통합한 노선별 정시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통하여 노선들과 교통권역들의 정시성을 비교하고, 정시성이 열악한 노선들을 개선할 필요성과 이용자들에게 현실을 감안한 운행스케줄을 제시할 필요성이 있음을 제안하였다. 향후 연구로는 BMS와 교통카드 시계열 자료를 이용함으로써 각 노선의 다른 운행환경을 반영한 정시성 범위를 파악하여 노선별 정시성 평가틀을 개발하고, 정시성이 열악한 노선들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무선통신기반 열차제어에 의한 무인운전기술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Drive-less Operating Technology using Communication Based Train Control)

  • 정락교;김백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67-72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궤도회로(Track Circuit)를 이용하는 FBS의 설비측면에서 단락감도 및 선로변 설비(지상설비)의 규모에 따른 유지보수의 증가 등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차량간 간격을 근접시키기 위한 열차제어 개념인 MBS의 구현에 따른 무인운전기술의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MBS에 의한 열차 운전은 중앙국에서 열차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알 수 있어 선행열차의 정보를 후속열차에 직접 전달할 수 있으므로 시격(Headway)단축이 가능해지고 그에 따라 수송수요 증대와 불필요한 가.감속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지상설비를 대폭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으며, 승객서비스 향상 및 승차감 향상 등의 이점을 제공한다.

차로별 교통류 상호영향에 따른 고속도로 합류부 교통와해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Analysis of Breakdown Characteristics by Lane Interaction at Freeway Merging Area with a View of Time and Space)

  • 김상구;김영춘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73-81
    • /
    • 2007
  • 본 연구는 개별차량에 대한 미시적 분석이 가능한 고속도로의 실제 항공사진자료를 분석함으로써 고속도로-연결로 접속부를 포함한 합류구간의 교통류 특성을 차로별로 미시적으로 분석하여 기존 연구결과에서 찾아내지 못한 차로별 상호영향에 대한 기초연구를 수행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고속도로-연결로 접속부에서 수집한 항공사진 원시 자료를 Matlab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차로별 30초 단위의 교통량, 속도, 밀도자료를 생성하였고, 또한, 미시적 분석을 위하여 개별차량 차두시간(headway) 데이터를 차로별로 생성하였다. 연구수행 내용으로는 개별차로에 따른 속도, 점유율, 교통량, 차두시간 변화추이를 각각의 차로별로 비교하여 차로특성을 분석하였고 연결로 진입교통량으로 인한 본선 교통류의 정체과정을 분석하였고, 시간과 거리에 따른 시공간도를 작성하여 합류구간 교통류 특성에 대해 해석해보았다. 전체구간을 3개의 지점(합류전, 합류, 합류후)으로 구분하여 차로별 교통류 전이과정을 분석하였으며, 합류구간을 50ft지점으로 세분화하여 교통와해(breakdown)가 발생되는 정확한 위치를 찾아내어 교통류 전파과정을 면밀히 관찰하였다. 본 연구는 혼잡교통류 상태의 연결로 교통류와 본선 교통류간의 관계에 대한 미시적 분석을 수행하여 교통와해현상에 대한 정밀한 분석과 합류구간의 교통와해에 대한 다양한 분석방법을 제시하였으며, 이는 교통와해의 동적변화로 인한 고속도로 동적용량 결정을 할 수 있는 기초이론을 제공한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도시철도에 있어 이동폐색방식과 고정폐색방식의 상호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the Flexible Moving Block System and the Fixed Block System in Urban Railway)

  • 정광섭;박정수;원제무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6권5D호
    • /
    • pp.723-730
    • /
    • 2006
  • 본 연구는 지하철의 표정속도 향상을 통해 승객의 총통행시간을 절감시키고자 수행하였다. 본 연구가 갖는 기존연구와 차별성은 열차의 신호시스템측면을 고려하여 승객의 통행시간변화를 분석했기 때문에 기존의 운영계획측면에서 임의로 운전시격을 변화시켜 분석한 열차의 승객통행시간 절감효과보다 신뢰성과 현실성을 높일 수 있다. 본 연구의 주요내용은 열차운행의 신호시스템측면에서 기존의 고정폐색방식보다 우수한 이동폐색방식을 적용하여 사례노선의 최소운전시격을 산정(시뮬레이션)한 후, 이를 단독 또는 Skip-stop방식과 혼용하여 승객통행시간 절감효과를 분석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이동폐색방식은 고정폐색방식보다 총통행시간과 표정속도에서 각각 24.4%, 32.3% 향상 효과가 나타났으며, 이를 Skip-stop방식 중 격역정차방식과 혼용하여 적용할 경우, 총통행시간은38.1~52.5%, 표정속도는 최대 58.1%까지 향상되는 시너지 효과가 나타났다.

교차로 용량분석을 위한 교통류 특성 기초조사 (A Basic Investigat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Traffic Flow for the Capacity Analysis of Signalized Intersections)

  • 이승환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89-111
    • /
    • 1989
  • This study concentrates on a basic investigation research related to some of parameters to be used for the analysis of capacity and the level of service for signalized intersections. The parameters to be studied are ideal saturation flow rate, large vehicle's passenger car equivalent(PCE) ane the lane utilization factors of through and left turn vehicles. The field data were collected at six intersections in Seoul using video cameras so as to reflect conditions in urban areas. In this study discharge headway based on a rear bumper of each vehicle was used and all the parameters were estimated using a regression technique.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 1. The saturation headway and saturation flow rate on a single lane with the lane width of 3.1m are 1.652 seconds and 2,180 pcphgpl. It was found that the frist 5 vehicles in the queue experience some start-up lost time. 2. It was confirmed that the new method adopted for the estimate of large vehicle's PCE gives larger PCE values than those derived from the method commonly used. 3. For the estimate of lane utilization factors of through and left turn vehicles, a relationship was established and the corresponding formulas were develop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