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Breakdown Characteristics by Lane Interaction at Freeway Merging Area with a View of Time and Space

차로별 교통류 상호영향에 따른 고속도로 합류부 교통와해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 김상구 (전남대학교 교통물류학부) ;
  • 김영춘 (전남대학교 교통물류학과)
  • Published : 2007.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erform a basic study on the interaction between lanes, which can be achieved through analyzing traffic breakdown at the microscopic level. Using aerial photographic data for the microscopic analysis,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raffic flow at a merging area. This research produced aggregated traffic data such as flows, speeds, and densities in 30 second intervals by lane for the macroscopic analysis and individual headway data by lane for the microscopic analysis. The paper contains an analysis of lane characteristics through flows, speeds, densities, and headway variations and also investigates the influence of ramp flows on mainline flows with space-time diagrams. Firstly, the merging area in this study is divided into three sections: before-merging, during-merging, and after-merging. The transition process was analyzed at each lane. Secondly, the breakdown was observed in detail with data divided in 50-foot units. The breakdown was checked through the relationships between ramp and freeway mainline flows, various techniques were proposed to analyze the breakdown, and the formation of breakdown was introduced as three stages in this study. In the near future,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uld contribute to determining the dynamic capacity on freeways by easily understanding changeable traffic breakdown patterns over time and space.

본 연구는 개별차량에 대한 미시적 분석이 가능한 고속도로의 실제 항공사진자료를 분석함으로써 고속도로-연결로 접속부를 포함한 합류구간의 교통류 특성을 차로별로 미시적으로 분석하여 기존 연구결과에서 찾아내지 못한 차로별 상호영향에 대한 기초연구를 수행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고속도로-연결로 접속부에서 수집한 항공사진 원시 자료를 Matlab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차로별 30초 단위의 교통량, 속도, 밀도자료를 생성하였고, 또한, 미시적 분석을 위하여 개별차량 차두시간(headway) 데이터를 차로별로 생성하였다. 연구수행 내용으로는 개별차로에 따른 속도, 점유율, 교통량, 차두시간 변화추이를 각각의 차로별로 비교하여 차로특성을 분석하였고 연결로 진입교통량으로 인한 본선 교통류의 정체과정을 분석하였고, 시간과 거리에 따른 시공간도를 작성하여 합류구간 교통류 특성에 대해 해석해보았다. 전체구간을 3개의 지점(합류전, 합류, 합류후)으로 구분하여 차로별 교통류 전이과정을 분석하였으며, 합류구간을 50ft지점으로 세분화하여 교통와해(breakdown)가 발생되는 정확한 위치를 찾아내어 교통류 전파과정을 면밀히 관찰하였다. 본 연구는 혼잡교통류 상태의 연결로 교통류와 본선 교통류간의 관계에 대한 미시적 분석을 수행하여 교통와해현상에 대한 정밀한 분석과 합류구간의 교통와해에 대한 다양한 분석방법을 제시하였으며, 이는 교통와해의 동적변화로 인한 고속도로 동적용량 결정을 할 수 있는 기초이론을 제공한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대한교통학회(2004) '도로용랑편람', p75
  2. 김상구, 박창호(1998), '고속도로 합류부의 교통 와해 원인 분석', 대한교통학지, 제16권 제2호, 대한교통학회, pp 54-55
  3. Drew, D. R.(1968), 'Traffic Flow Theory and Control', McGRAW-HILL, pp 217-218
  4. Elefteriadou, L. Roess, R.P., and McShane, W.R.(1995), 'Probabilistic Nature of Breakdown at Freeway Merge Junctions',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484, TRB, pp 80-89
  5. FHWA(1985), 'Freeway Data Collection for Studying Vehicle Interactions (Technical Report)' FHWA/RD-85/108
  6. Hall, F.L. and Agyemand-Duah, K.(1991), 'Freeway Capacity Drop and the Definition of Capacity',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320, TRB, pp 91-98
  7. Ringert, J. and Urbanik, T.(1993), Study of Freeway Bottlenecks in Texas,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398, TRB, pp 31-41
  8. TRB(2000), Highway Capacity Manual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