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n Reliabilities of Seoul's Trunk Bus Lines Using BMS Data (through Data Envelopment Analysis)

BMS 자료를 이용한 서울시 간선버스의 정시성 분석(자료포락분석기법을 적용하여)

  • 오미영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 정창용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 손의영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Published : 2009.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unreliable routes in the view of users. After headway error ratio per route and travel time error ratio per route were calculated by using BMS data, reliability which incorporated two indicators each route was calculated through data envelopment analysis. Reliability among routes and among traffic zones was compared through the results, the needs to improve severely unreliable routes and to show passengers adjusted bus schedule information considering current reliability were suggested. As a future study, reliability evaluation framework of each route needs to be developed considering operation environment by analyzing bus card data (passengers and operation speed etc.) and pooly unreliable route should be managed strictly and reformed.

본 연구의 목적은 이용자 입장에서 정시성이 열악한 노선들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시의 도심으로 향하는 간선노선을 대상으로 BMS자료를 이용하여 노선별 배차간격의 오차율과 운행시간의 오차율을 계산한 후, 자료 포락분석기법을 이용하여 두 지표를 통합한 노선별 정시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통하여 노선들과 교통권역들의 정시성을 비교하고, 정시성이 열악한 노선들을 개선할 필요성과 이용자들에게 현실을 감안한 운행스케줄을 제시할 필요성이 있음을 제안하였다. 향후 연구로는 BMS와 교통카드 시계열 자료를 이용함으로써 각 노선의 다른 운행환경을 반영한 정시성 범위를 파악하여 노선별 정시성 평가틀을 개발하고, 정시성이 열악한 노선들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석호.이승재 (2006), 'BMS데이터를 이용한 중앙버스전용차로 효과분석', 한국ITS학술대회논문집, 2006년도 제5회 추계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한국ITS학회, pp.56-61
  2. 오미영.김성수.김민정 (2002), '자료포락분석기법(DEA)을 이용한 서울 시내버스운송업의 효율성 분석', 대한교통학회지, 제20권 제2호, 대한교통학회, pp.59-68
  3. 오미영.김성수 (2005), '서울의 대중교통체계 개편에 따른 시내버스업체의 생산성 변화', 대한교통학회지, 제23권 제7호, 대한교통학회, pp.53-61
  4. 이호상.임정실.정영제.김영찬 (2008), 'APTS 자료기반의 서울시 버스신뢰성 관리정책과 평가', 한국ITS학회논문지, 제7권 제2호, 한국ITS학회, pp.1-12
  5. Huang, Ailing, J. Shen and W. Guan (2007), 'Study on Bus Route Evaluation System in Beijing Based on AHP', Proceedings of the 2007 IEEE,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Conference Seattle, WA, USA, Sept. 30 - Oct. 3, 2007
  6. Hammerle, Meghan. (2005), 'Use of Automatic Vehicle Location and Passenger Count Data to Evaluate Bus Operations', Transportaion Research Record: Journal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No. 1903, ransportation Research Board of the National Academies, Washington, D.C., pp.27∼34
  7. Lin, J., P. Wang and D. T. Barnum (2008), 'A Quality Control Framework for Bus Schedule Reliability',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E, Vol. 44, pp.1086-1098 https://doi.org/10.1016/j.tre.2007.10.002
  8. Sheth, Chintan., K. Triantis, Du$\check{s}$an Teodorovi$\acute{c}$ (2007), 'Performance Evaluation of Bus Routes: A Provider and Passenger Perspective', Transportation Research E, Vol. 43, pp.453-478 https://doi.org/10.1016/j.tre.2005.09.010
  9. TCRP Report 100 (2003), 'Transit Capacity and Quality of Service Manual-2nd Edition', TRB, National Academy, Washington, D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