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dentifying Key Factors to Affect Bus Headway Deviation using Hierarchical Linear Model (Seoul Case Study)

HLM을 이용한 버스차두간격 편차에 미치는 요인분석 (서울시사례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09.02.21
  • Accepted : 2009.11.26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It has been known that bus route and company related characteristics have influences on punctuality, but fewer research have been conducted. Independent variables used in this study were selected using correlation analysis, and OLS(Ordinary Least Square) and HLM(Hierarchical Linear Model) were employe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bus punctuality(headway devi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ICC(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is 0.10, indicating that hierarchical linear models are more adequate for these data because there is effective variation in the subjects between companies. Punctuality was found to be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number of vehicles, the number of persons per vehicle, and total travel time. On the other hand, average headway and company size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punctuality. Therefore, the number of vehicles per route, average headway, and the number of vehicles managed by a company should be considered for more accurately evaluating the management of piunctuality.

버스의 정시성은 노선특성 및 운수회사의 특성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왔으나, 과학적인 분석이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노선 및 운수회사 특성에 따른 정시성(차두간격편차 요인)을 모형화 하기 위하여 상관분석 및 선형회귀분석(OLS, Ordinary Least Square)을 통하여 최적설명변수를 선택하고, 위계적인 자료구조를 고려하여 위계적 형태의 자료분석에 많이 사용되는 위계적선형모형(HLM, Hierarchical Linear Model)을 적용하여 정시성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ICC가 0.10으로 분석되어 정시성에 미치는 영향 중 노선특성에 의한 영향이 90%, 회사특성에 의한 영향이 10%로 나타나 OLS보다 HLM 적용이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버스의 정시성은 노선변수 수준에서 운행대수, 평균차두간격, 대당승객수 순으로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운행대수가 많고 대당승객수가 많은 노선은 정시성과 반비례하고, 평균차두간격과는 비례관계로 분석되었다. 회사변수 수준에서는 회사규모(관리대수)가 클수록, 일반회사 보다는 입찰간선회사가 정시성에 양(+)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정시성 평가관리시 노선별 운행대수, 평균차두간격, 운수사별 관리차량대수에 의한 영향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며, 정시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노선의 연장을 짧고, 운수사의 규모가 클 수록 유리하다 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명구(2007), '주거비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분석',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 연구 제8권 제2호 pp.253-273
  2. 고승영 . 박준식 . 김은호 (2005), '버스 운행 신뢰성 평가를위한정시성지표의개발및적용', 대한교통학회지, 제23권 제2호, 대한교통학회, pp.131-141
  3. 고승영 . 박준식 (2005), '버스 운행 정시성의 서비스 수준 기준산정', 대학교통학회지, 제23권 제2호, 대학교통학회, pp.151-160
  4. 김은정 (2004), 'SPSS 통계분석 10', 21세기사
  5. 김청택 (2009), 'Hierarchical Linear Model',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6. 성기선(2004), '고등학교 평준화 정책의 효과에 대한 위계적 선형모형 분석', 교육사회학연구 제14권 제3호, pp.87-106
  7. 양지영 . 김영찬 . 김승일 (2005), '시공도를 이용한 버스운행 정시성 지표개발', 대한교통학회지, 제23권 제8호, 대한교통학회, pp.129-138
  8. 이호상 (2009), 'APTS 자료기반의 서울시 버스신뢰성 관리정책과 평가', 한국ITS학회지 제7권 제2호, pp.1-12
  9. 인천시 (2006), '인천광역시 BIS/BMS 구축에 관한 연구', 인천발전연구원
  10. Bates, J. W. (1986), 'Definition of practicces for bus transit on-time performancce : Preliminary study', Transportation Researcch Circular No. 300, Trans. Res. Board, Washington, D.C.
  11. Benn. H. P. (1995), 'TCRP synthesis of Transit Practice 10 : Bus Route Evaluation Standards',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National Academy, Washington, D.C
  12. Bryk, A. S. and Raudenbush, S. W. (1992), 'Hierarchical Linear Models', Sage, Beverly Hills, CA
  13. Kim, D., Y. Lee, S. Washington, and K. Choi (2007), 'Modeling crash outcome probabilities at rural intersections : Application of hierarchical binomial logistic models',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39, pp.125-134 https://doi.org/10.1016/j.aap.2006.06.011
  14. Laird, N. M. and Ware, J. H. (1982), 'Randomeffects models for longitudinal data', Biometrics 38(4), pp.963-974 https://doi.org/10.2307/2529876
  15. Mason, W. M., Wong, G. Y., and Entwistle, B. (1983), 'Contextual analysis through the multilevel linear model', Sociological Methodology 14, pp.72-103 https://doi.org/10.2307/270903
  16. Rosenberg, B. (1973), 'Random coefficient models: the analysis of a cross-section of time series by stochastically convergent parameter regression', Annals of Economic and Social Measurement 2, pp.399-428
  17. Shamosh, N. and F. Farach (2007), 'Introduction to Data Analysis in Hierarchical Linear Models', Social Sciences StatLab, Yale University
  18. TRB (1999), 'TCRP Web Document6 - Report Transit Capacity and Quality of Service Manual', Washington, D.C
  19. TRB (2003), 'TCRP Report 100, Transit Capacity and Quality of Service Manual-2nd Edition', National Academy Press, Washington, D.C
  20. Yekawa, K. (2005), 'Doing HLM by SAS${\circledr}$PROC MIXED', www.estat.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