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inking ability

검색결과 1,203건 처리시간 0.03초

초등학교에서 코두를 활용한 프로그래밍 교육이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rogramming Education with KODU on Problem-Solving Abilities in an Elementary School)

  • 홍태경;전석주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1-10
    • /
    • 2015
  •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코두를 활용한 프로그래밍 수업이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한다. 어린 학생들이 컴퓨터 프로그래밍을 좀 더 쉽고 편하게 배울 수 있도록 다양한 도구들이 개발되었는데 그 중에서도 코두는 게임, 애니메이션과 음악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응용을 개발하도록 만들어진 도구이다. 코두를 이용한 프로그래밍 수업을 통해 학생들이 자신들의 게임과 애니메이션 및 음악을 만들면서 문제해결력이 향상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코두를 활용하여 초등학생들을 위한 프로그래밍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서울시 소재 초등학교 5학년 학생 27명을 대상으로 수업을 적용하였다. 2014년 3월부터 5월까지 총 3개월간의 프로그래밍 수업을 통해 대부분의 학생들이 수업에 흥미를 가졌으며 수업 후에 문제해결력이 향상되는 결과를 보였다.

스마트 기기 활용교육이 학생에게 미치는 역기능 (The Adverse Effects of Education Using Smart Devices on Students)

  • 한규정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471-482
    • /
    • 2014
  • 스마트교육은 21세기의 학습자가 가져야 할 역량인 비판적인 사고력과 문제해결력, 의사소통 및 협동, 창의성과 혁신성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사회 일각에서는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스마트교육이 학생들의 스마트 기기 중독, 건강 저하 등의 역기능에 대한 우려가 높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교육이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 중 역기능에 대해서 조사 연구를 진행하였고 연구의 과정 중 스마트교육이 활성화되어 있는 A시의 9개의 학교(4개의 초등학교, 3개의 중학교, 2개의 고등학교)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 및 분석을 진행하였다. 역기능의 요소인 인터넷 중독, 스마트폰 중독 정보윤리, 스마트 기기가 학생들에게 미치는 건강, 사회성, 학습 능력 등에 대해서 조사하였고 각 항목간의 학교급별 차이가 있는 지도 분석하였다. 조사결과 스마트교육이 인터넷 중독이나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주는 것에 대해서는 발견하지 못하였으나 무분별한 정보의 다운 노드 등 정보사용에 있어서 타인의 저작물의 보호에 관한 정보윤리 교육의 강화와 독서 및 운동시간의 확대가 요구된다.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과 자살생각에 관한 종단적 관계연구: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를 중심으로 (A Longitudinal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School-life Adjustment and Suicidal Ideation in Adolescents based on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 양수정;이종은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86-95
    • /
    • 2020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school-life adjustment and suicidal ideation in adolescents by applying the latent growth curve models to the longitudinal data. Methods: This study analyzed three waves of data from the 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 (2014~2016). A total of 1,534 student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In the application of the latent growth curve models to the longitudinal survey data, we analyzed the initial status and growth changes for each wave, identified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examined the direct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latent constructs. Results: The analysis revealed that variations in the initial status and rate of school-life adjustment were significant with respect to parents' education level, household income and academic satisfaction. Variations in the initial status and growth rate of suicidal ideation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ousehold income and family structure.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life adjustment and suicidal ideation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in which the starting value of the former increased and that of the latter decreased and vice versa. Conclusion: The results confirmed that school-life adjustment and suicidal ideation varied according to students' general characteristics. In addition, school-life adjustmen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uicidal ideation, thereby highlighting students' ability to adjust as an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their suicidal thinking.

협동학습 전략의 교수 효과: 중학교 물상 수업에 LT 모델의 적용 (The Instructional Influences of Cooperative Learning Strategies : Applying the LT Model to Middle School Physical Science Course)

  • 노태희;임희준;차정호;노석구;권은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39-148
    • /
    • 1997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s of the cooperative learning strategies upon students' achievement and their perceptions of learning environments in a middle school physical science course. Prior to instruction, the Group Assessment of Logical Thinking was administered, and its score was used as a blocking variable. Mid-term examination score was used as a covariate. For the treatment group with heterogeneous grouping, cooperative learning instruction (the Learning Together model) was used, which emphasized group reward, individual accountability, and role division. For the control group, traditional instruction was used. After instruction, an achievement test consisting of three subtests (knowledge,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and the perception questionnaire of classroom and laboratory environments, were administered. ANCOVA results reveal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instruction and the level of logical reasoning ability although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three subtest scores of the achievement test. For the concrete operational reasoners, the treatment group performed better in the subtests of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than the control group. For students at the formal and transition levels, however, the treatment group scored lower than the control group. Significant interactions were also found in the perceptions of classroom environment and laboratory environment. For the concrete operational reasoners, the treatment group showed more positive perception than the control group. For the students at the formal and transition levels, the control group had positive perception than the treatment group. Education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 PDF

산학 실습 인식 및 경험이 취업의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전북 J대학교와 충남 C대학교의 호텔관광대학을 중심으로 - (An Investigation of the Effects of Perception and Experience of Internship Training on Job Pursuit Intentions - Focusing on the Hotel & Tourism Colleges of J University in Jeonbuk and C University in Chungnam -)

  • 안세길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31-44
    • /
    • 2009
  • 환대산업은 대학에서 환대산업 관련 전공자들에게 산학 실습을 제공한다. 이는 이론적 지식을 통하여 학생들에게 기본을 바탕으로 실무 능력을 향상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목적과 다르게 무관심, 고도한 업무 부담, 적절한 보상, 불만족 등의 몇 가지 문제가 발견되었다. 본 연구는 산학 실습 프로그램, 산학 실습에 대한 인식, 산학 실습에 대한 기대, 산학 실습 만족, 산학 실습 후 취업 의도의 영향 관계를 조사하여 산학 실습 본래의 목적을 달성하는데 조언적인 해결점을 제시하려는 목적으로 연구하였다. 산학 실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들은 실습 업체, 부서 배정, 근무 환경, 실습생의 능력, 이론적 지식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산학 실습 기간, 금전적 보상은 산학 실습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아님을 알 수 있었다. 긍정적인 산학 실습에 대한 인식은 기대도와 만족도에 영향을 주지만 긍정적인 산학 실습에 대한 인식은 취업 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보여 준다.

  • PDF

아이디어 창작을 위한 융합 교육 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nvergence Curriculum Development for Idea Creation)

  • 장지연;이근호;윤성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2호
    • /
    • pp.571-576
    • /
    • 2014
  • 융합(Convergence)은 2개 이상의 상이한 요소들을 결합하여 새로운 것을 만들어 내는 것을 말한다. 현재 융합 영역은 이종기술간 결합이라는 개념에서 산업, 교육 분야까지 확대되고 있으며 성공적인 융합의 가장 중요한 핵심은 문제 해결을 위한 아이디어 도출이다. 그러나 기업에서 진행되는 아이디어 도출은 기획 전문가 등의 전문 인력을 채용하여 신제품 기획 및 기업 혁신을 이끌어 낸 사례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경우 다양한 융합 산출물을 기대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인들의 아이디어 창작을 위한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것이다. 개발 모델은 1) 내적 역량 강화를 위한 창의적 사고 능력, 2) 수요자에 맞는 교육과정, 3) 융합 기술에 대한 이해, 4) 아이디어 창작 및 기획 능력 4가지의 개념으로 구성된다. 제안된 교육 모델을 융합 교육에 적용하는 경우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갖는 융합 인력이 양성될 것이라고 기대된다.

CAS 공학을 사용한 합성함수 수업에서 나타난 수학적 표상 전환 과정에 대한 분석 (Analysis of Transforming Mathematical Representation Shown in the Class of Composite Function Using the CAS)

  • 이유빈;조정수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7권1호
    • /
    • pp.19-33
    • /
    • 2015
  • 본 연구는 일반계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컴퓨터 대수시스템(Computer Algebra Systems, CAS), 즉 CAS 공학을 사용한 수학수업을 교사의 표상 전환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 수업에서 수학교과 내용별로 어떤 표상 전환이 일어났는지를 한 달 진행된 CAS 공학을 사용한 15차시 수업 중 합성함수의 개념 도입부분에 해당하는 두 차시의 수학 수업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Lesh, Behr, & Post(1987)의 투명 표상과 불투명 표상 사이의 전환과 Kosslyn(1994)의 설명 표상과 묘사 표상 사이의 전환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 CAS 공학은 일반계 고등학교 수학 수업에서 표상 전환을 도와주었으며 교사 개인의 표상을 만들어내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그러나 표상 전환의 기회가 모두 교수-학습의 목적에 맞게 사용되지는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수학 수업에서 CAS 공학에 의한 표상 전환의 새로운 역할의 중요성과 교사 역할의 중요성을 재고하는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Simpson의 패러독스를 활용한 영재교육에서 창의성 발현 사례 분석 (A Case Study of Creativity Development Using Simpson's Paradox for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 이정연;이경화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0권3호
    • /
    • pp.203-219
    • /
    • 2010
  • 본 연구는 창의성 신장을 위한 영재교육을 시도할 때 고려해야 하는 수업 전략을 확인하고, 이를 확률 과제에 적용하고 그 결과를 확인하는 데 목표를 둔다. 창의성 신장을 위한 수업 전략으로는 인지갈등 유발, 다양한 표현 방법 권장, 사회적 상호작용이라는 세 요소를 선택하였다. 이 전략을 Simpson의 패러독스 과제에 기초한 수업에 적용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Simpson의 패러독스는 이미 널리 알려져 있지만, 창의성 신장을 위한 영재교육에 적합한 형태가 아니었으므로 의도에 맞게 재구성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중학교 3학년 수학영재 8명을 대상으로 수업을 실시한 후, 창의성의 요소를 중심으로 사고 과정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사고 과정의 유창성, 독창성, 유연성, 정교성, 반성적 사고와 생산적 논쟁이 나타났고, 표현들 사이의 번역과 기본 가정의 탐구라는 고등 수학적 사고 과정이 나타났다.

  • PDF

영재를 위한 융합교육(STEAM) 자료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in STEAM Education Materials for Gifted Student)

  • 태진미
    • 영재교육연구
    • /
    • 제24권4호
    • /
    • pp.703-728
    • /
    • 2014
  • 본 연구는 창의적 지식의 생산자 양성을 위한 융합형 영재교육의 일환으로서 STEAM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문헌과 델파이 조사를 통해 학문적으로 검토하였다. 그 결과를 토대로 국내 영재교육현장에 적용 가능한 STEAM교육 자료를 개발했으며, 개발한 프로그램의 현장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타당도 및 수업 만족도 조사 결과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영재 STEAM교육 자료는 교재 구성의 적절성과 학습 만족도, 융합적 사고능력의 함양 면에서 유익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국내의 상황은 STEAM 중심의 융합형 교육의 정책적 강조와 활성화 노력에 비해 영재를 위한 STEAM교육의 필요성이나 방향 등에 대한 근본적 논의가 부족한 상황이므로 영재 STEAM교육에 관한 기초연구를 토대로 수행된 본 연구의 결과는 영재교육 프로그램으로서의 STEAM교육의 활용 가능성을 확장한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하는 창의성 신장 콘텐츠 개발 (Contents-Development for Increasing Creativity based on Algorithm)

  • 김은길;김재형;김진우;김종훈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10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271-280
    • /
    • 2010
  • 급변하는 지식정보화사회에서 교육은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을 지닌 인재를 어떻게 양성할 것 인가에 초점을 두고 있다. 컴퓨터 과학의 알고리즘은 학생들의 논리적 사고력과 문제해결능력을 신장시키는데 효과적인 학습 내용이다. 하지만 알고리즘 교육은 대학에서 주로 이루어지던 현실을 고려했을 때 초등학생들의 인지 구조와 수준에 맞게 가르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알고리즘의 원리를 기반으로 한 교육용 콘텐츠를 통해 학생들이 스스로 원리를 이해하고 문제 상황을 최선의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신장시키고자 한다. 게임의 흥미 요소가 포함된 콘텐츠는 학생들이 흥미를 갖고 적극적으로 참여하는데 효과적인 교육 방법으로 알고리즘의 원리를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