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in Film

검색결과 11,235건 처리시간 0.047초

튜닝폭 거리조절 센서를 이용한 근접장 마이크로파 현미경의 수중 측정을 위한 연구 (A Study for a Near-Field Microwave Microscope Using a Tuning Fork Distance Control System in liquid Environment)

  • 김송희;유형근;;김종철;이기진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45-353
    • /
    • 2007
  • 근접장 마이크로파 현미경을 이용하여 수중에서 시료의 표면이미지에 대한 비파괴적 측정에 관한 연구를 하였다. 이때 근접장 마이크로파 현미경은 3.5-5.5 GHz에서 작동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수중에서 시료의 표면특성을 손상 없이 측정하기 위해 강성힘을 이용한 튜닝폭(tuning fork) 거리조절 시스템으로 팁과 시료 사이의 거리를 10 nm로 유지하였다. 더불어, 공기 및 수중에서 튜닝폭의 진동진폭의 변화와 공진주파수의 변화를 측정하여 수중에서 튜닝폭리 반응특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에 대해 알아보았다. 물 속에 시료가 충분히 잠기고, 동시에 물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팁의 길이를 2 mm로 제작하여 튜닝폭의 한 쪽면에 붙였다. 또한 측정과정에서 나타나는 증발현상을 해소하기 위해 엑츄에이터를 이용하여 보충용 수조를 제작하였으며, 보다 정확한 수중측정을 위해 보정프로그램을 응용하였다. 이를 통해, 시료의 공기 및 수중 측정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도체시료의 표면특성을 관측하고 비교하였다.

열플라즈마에 의한 TiO2-xNx의 합성 및 광촉매 특성 비교 (Synthesis of TiO2-xNx Using Thermal Plasma and Comparison of Photocatalytic Characteristics)

  • 김민희;박동화
    • 공업화학
    • /
    • 제19권3호
    • /
    • pp.270-276
    • /
    • 2008
  • $TiO_2$의 가장 큰 특징은 광촉매적 특성을 들 수 있으나 순수한 $TiO_2$는 자외선 영역에서만 활성을 보이는 단점이 있다. 단점을 보완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초고온, 고활성을 이용한 열플라즈마 공정으로 질소가 도핑된 $TiO_2$를 합성하여 $TiO_2$의 광촉매적 특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직류 플라즈마 제트를 이용하여 비금속이온인 질소와 반응 가스인 산소를 $TiCl_4$와 함께 플라즈마 반응기 안에서 반응시켜 질소가 도핑된 $TiO_2$ 나노 분말을 합성하였다. 합성 조건으로 질소의 유량을 변화하였다. 합성 변수에 따른 입자의 상조성, 크기를 분석하였고 아세트알데히드와 곰팡이를 광분해하는 실험을 통해 광촉매 활성을 살펴보았다. 한편 $TiO_2$의 분말 상태와 코팅된 상태의 광촉매 특성을 비교하고자 합성한 분말의 스핀 코팅과 PLD (Pulsed Laser Deposition)을 통해 $TiO_2$를 코팅하였다. 아세트알데히드 분해 실험의 결과 질소가 도핑된 $TiO_2$ 분말의 경우가 순수한 $TiO_2$ 분말에 비해 가시영역에서의 광촉매 활성이 두 배 이상 뛰어난 것을 확인하였으며, 곰팡이 분해 실험 결과 역시 질소가 도핑된 $TiO_2$ 분말에 곰팡이가 분해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분말과 필름을 제조하여 메틸렌블루 광분해 실험한 결과 분말의 경우 100% $TiO_2$입자가 메틸렌블루 분해에 이용되며, 반면 스핀 코팅의 경우 바인더의 함량 때문에 20~30%의 $TiO_2$만이 분해에 이용되기 때문에, 분말의 경우 초기 30 mL 메틸렌블루를 한번에 분해할 수 있었다.

오리 기계발골육을 이용한 Sausage 제조 (Processing of Sausage Using Duck Mechanically Deboned Meat)

  • 강동수;최옥수;박욱민
    • 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8-15
    • /
    • 2002
  • 동결된 오리 MDM을 $25^{\circ}C$에서 약 3시간 방치하여 반해동시킨 후 얇게 자르고, 저온의 알칼리액(0.2% NaHCO$_3$와 0.15% NaCl 혼합액)으로 4시간 침지.교반하면서 수세처리한 후 다시 염지액 중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며 염지하였다. 염지가 끝난 육을 수세한 후 수분 80%이하로 탈수하여 silent cutter에 넣고 육만을 10분간 1차 고기갈이하고, 다시 식염을 첨가하여 30분간 2차 고기갈이를 하였다. 나머지 부원료와 첨가물, 즉 0.3% 폴리믹스 GA, 0.3% 폴리믹스 CS, 0.3% 피로인산염, 0.3% 중합인산염, 4.2% 설탕, 8% 전분, 7% 대두분리단백, 0.2% MSG, 0.5% 양파분말, 0.1% 마늘분말, 1.5% 넛멕, 0.1%이하의 솔빈산칼륨, 0.0075% 식용색소 적색 40호 7% 난백, gluten 3% 및 돈지 10%를 넣고 15분간 3차 고기갈이한 후 즉시 PVDC 필름에 공기가 들어가지 않게 충진하여 밀봉한 다음 9$0^{\circ}C$의 증기를 이용하여 80분간 가열하고 실온까지 급냉시켜 오리 MDM 소시지를 제조하였다.

텔레비전 드라마의 간호사 이미지에 대한 분석 (Contents Analysis on the Image of Nurses in the Television Drama)

  • 문영임;임미림;윤경이
    • 대한간호
    • /
    • 제37권2호
    • /
    • pp.44-52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quire the people's views on nursing for nurses, correct the image of nurse and take it as basis to be applied on nursing education examining the image of nursing on Television drama playing important role of mass media. 22 nurses of the characters in drama is applied to the analysis object of this study by selecting 6 dramas of Television ones the nurse play on the prime time from June 1 to August 31 in 1997. Contents analysis method was used in Data Analysis, 4 items was used after Coders previously modify and compensate it based on research documents of 1m Milim(1996) 2 Coders made the Coding the article on each person by them seeing the recorded film making the Coding Paper each items is written by the character. The average of reliability degree was 90% which measured the reliability degree by the mathod of Holsti. The statisic method of frequency, percentage was used SPSS Program in data process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Relative importance of 86.2% nurses in drama was depicted as extra characters 2. The affair attitude of nurses shown on drama was revealed as mechanical(84.7%), passive(45.5%), dependent(54.4%) unkind(68.2%). 3. The activity of nurses was classified with professional! simple affair. The professional affairs such as I.V., Blood Pressure Check, Rounding, Nursing Recording, Patient Education, Assist of Operation, Assistant meal of Patient, etc is mainly depicted and the screen of simple affair such as Receiving telephone, Carrying Tray or Dragging, Stretcher Car, Dressing Car and or Wheel Chair than professional affair. 4. The appearance feature of nurses was shown on thin physique(68.2%), common stature(68.2), dirty costume(45.4%), common appearance(81.9%), unnoble action(63.6%). The image of nurses is illuminated as the exterial scene of technical affair such as assisting the doctors and affair focused on accident and educational activity of nureses or extended role is nor depicted on Television drama. Therefore, the people regard the nurse as sexual object with good appearance than professional worker working professional nursing We want the following, epigraph based on above conclusion. 1. The continuous research is required on the image of nurse shown on various mass media. 2. The later research is required on appliction strategy of mass media for advancing the image of nurse. 3. The research to strengthen the objectivity by comparing analyzed data on drama & analyzing it is required 4. Through the deep study, the standard to show a concrete and professional work of nurses to scenario writers of TV drama is suggested by the association. 5. The monitoring about the mass media must be activated, not by some nurses, on a national scale and much study on the basis of this is needed.

  • PDF

수종 상아질 접착제의 결합강도와 중합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BONE STRENGTH AND THE DEGREE OF CONVERSION OF DENTIN BONDING AGENTS)

  • 김병현;권혁춘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3권1호
    • /
    • pp.68-93
    • /
    • 1998
  • The physical properties of polymer are greatly influenced by the extent to which a resin cures. The presence of un reacted monomer can, have a plasticizing effect on the polymer, thereby altering the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dentin bonding agent (DBA). If the DBA does not polymerize sufficiently, it will leave a weak bonding layer and lead to lower bond strengt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hear bond strengths(SBS) and the degree of conversion (DC) of 4 commercialy avilable dentin bonding systems which are composed of 2 multi-bottle systems [Scotchbond Multi-Purpose (SMP), AeliteBond(AB)] and 2 onebottle systems [SingleBond(SB), One-Step(OS)]. For shear bond strength measurement, labial surfaces of freshly extracted bovine incisors were ground with # 600 grit SiC paper to expose dentin. Four different groups of samples were formed, with 10 samples. being made for each of the 4 commercial DBA in each group according to the curing sequences of DBA and overlayer thickness of composites: Group I (standard cure and 1mm thick composites) : The DBA was light cured and the composites of 1mm thickness was applied ; Group II (standard cure and 2mm thick composites) : The DBA was light cured and the composites of 2mm thickness was applied; Group III (simultaneous cure and 1mm thick composites) : The DBA was not light-cured and simultaneously cured with composites of 1mm thickness; Group N (simultaneous cure and 2mm thick composites) : The DBA was. not light-cured and simultaneously cured with composites of 2mm thickness. The SBS was measured immediately after the composites was bonded to the bovine dentin using an Instron machine. The DC of the DBA was examined in a thin film under simulated conditions of the experimental groups according to the curing sequences and overlayer thickness of composites in the SBS test. using a Fourier transform Infrared(FTIR) spectrometer.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rom SBS tests and DC measurements 1. In SBS tests, the multi-bottle DBA(SMP, AB) had a generally higher bond strength values than the one bottle DBA(SB, OS). In DC measurements, the one bottle DBA(SB, OS) had a significantly higher DC than the multi-bottle DBA(SMP, AB). 2. In all DBAs except O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bond strength of group I (standard cure and 1mm thick composites) and that of group III (simultaneous cure and 1mm thick composites). SMP, SB in Group I had a significantly higher DC than those in group III, but AB, OS in group I had a significantly lower DC than those in group III 3. All DBAs in Goup II (standard cure and 2mm thick composites) had significantly higher bond strength and DC than those in Group N (simultaneous cure and 2mm thick composites). 4. In all DBAs, there was no significantly different SBS and DC between Group I and Group II, but all DBAs in Group III had significantly higher SBS and DC than those in Group IV.

  • PDF

a-Si:H TFT의 수율 향상을 위한 공정 개선 (The Improvement of Fabrication Process for a-Si:H TFT's Yield)

  • 허창우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1099-1103
    • /
    • 2007
  • 본 연구는 기존의 방식으로 만든 비정질 실리콘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공정에서 발생되는 결함에 대한 원인을 분석하고 해결함으로써 수율을 증대시키고 신뢰성을 개선하고자한다. 본 연구의 수소화 된 비정질 실리콘 박막 트랜지스터는 Inverted Staggered 형태로 게이트 전극이 하부에 있다. 실험 방법은 게이트전극, 절연층, 전도층, 에치스토퍼 및 포토레지스터층을 연속 증착한다. 스토퍼층을 게이트 전극의 패턴으로 남기고, 그 위에 n+a-Si:H층 및 NPR(Negative Photo Resister)을 형성시킨다. 상부 게이트 전극과 반대의 패턴으로 NPR층을 패터닝 하여 그것을 마스크로 상부 n+a-Si:H 층을 식각하고, 남아있는 NPR층을 제거한다. 그 위에 Cr층을 증착한 후 패터닝하여 소오스-드레인 전극을 위한 Cr층을 형성시켜 박막 트랜지스터를 제조한다. 이렇게 제조한 박막 트랜지스터에서 생기는 문제는 주로 광식각공정시 PR의 잔존이나 세척시 얇은 화학막이 표면에 남거나 생겨서 발생되며, 이는 소자를 파괴시키는 주된 원인이 된다. 그러므로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ashing이나 세척공정을 보다 엄격하게 수행하였다. 이와 같이 공정에 보다 엄격한 기준의 세척과 여분의 처리 공정을 가하여 수율을 확실히 개선 할 수 있었다.

알루미나 기재에 부착된 습도센서용 자기 가교형 감습성 전해질 고분자의 내수성 (Self-Curable Humidity-Sensitive Polyelectrolytes Attached to the Alumina Substrate for the Humidity Sensor and their Stability in Water)

  • 한대상;공명선
    • 폴리머
    • /
    • 제34권4호
    • /
    • pp.313-320
    • /
    • 2010
  • 신나메이트기를 갖는 새로운 자기 경화형 감습성 고분자 및 고분자형 앵커제로 사용하기 위하여 [2-[(methacryloyloxy) ethyl]dimethyl]propyl ammonium bromide(MEPAB), methyl methacrylate(MMA), 3-(trimethoxysilyl) propyl methacrylate(TMSPM) 및 2-(cinnamoyloxy)ethyl methacrylate(CEMA)의 공중합체들 을 합성하였다. 광가교성 공중합체들로서 MEPAB/MMA/TMSPM/CEMA=70/20/0/10의 조성을 갖는 공중합체는 감습성 전해질 고분자로서, 그리고 50/0/20/30과 0/0/50/50 조성은 고분자형 부착제로 사용하였다. 이들 광가교형 고분자 실란커플링 처리제의 전극 표면과 부착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3-(triethoxysilyl)propyl cinnamate(TESPC)도 표면 부착을 위한 표면처리제로서 사용하였다. 표면처리제는 전극의 기재 표면 위에 공유결합을 통하여 광가교성 신나 메이트 박막을 형성시킬 수 있었으며 센서에 UV가 조사되었을 때 전해질 고분자가 [2$\pi$+2$\pi$] 환화반응을 이용한 가교반응으로 기재에 부착되었다. 이렇게 고분자 표면처리제 및 TESPC로 처리된 센서들은 24시간 물에 침적시켰을 때 60~85%의 저항 증가가 생겼으며 이것은 상대습도 변화로서 2.25~3.15%RH에 해당하였다. 또한, -0.2%RH 이하의 양호한 히스테리시스, 90초의 응답 및 회복속도, 그리고 80 $^{\circ}C$ 및 90%RH의 고온 고습에서 매우 좋은 신뢰성을 보여주었다.

비정질 투명전도막 In2O3:Zn의 전기적 광학적 특성 (Transport and optical properties of transparent conducting oxide In2O3:Zn)

  • 노경헌;최문구;박승한;주홍렬;정창오;정규하;박장우
    • 한국광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455-459
    • /
    • 2002
  • 직류 마그네트론 스퍼터링 방법으로 성장 온도($T_s$)를 변화시키면서 제작한 $In_2O_3$:Zn(IZO) 박막의 전기적, 광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T_s$<$300^{\circ}C$에서 제작한 IZO 박막은 비정질이었고, $350^{\circ}C$$T_s$인 경우 결정질이었다. 일반적인 물질과 달리 특이하게도 IZO가 비정질일 때 전기 전도도와 광투과도 모두 결정질일 경우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비정질 IZO 박막의 경우 비저항의 값은 0.29~0.4m$\Omega$cm 이었으며 결정질 박막의 경우 1~4m$\Omega$cm이었다. IZO 박막내의 전하는 n형이고 전하농도(${n}_H$)는 $3~5{\times}10^{20}/cm^3$, 전하 유동도($({\mu}_H)$ )는 20-$50\textrm{cm}^2$/V.sec이었다. 비정질 및 결정질 IZO 박막내의 주된 전자의 충돌 과정은 이온화된 불순물과 격자 충돌로 추정된다. IZO 박막의 가시광 영역(400<$\lambda$<700mm)의 광투과도는 80%이상이었고 $T_s$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자외선 및 블루영역 차단 화장품 응용을 위한 박막 판형 인공 칼라민 소재의 합성 및 특성 평가 연구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lanar-type Artificial Calamine Powder with a High Aspect Ratio for the Application to Ultraviolet and Blue Band Protection Cosmetics)

  • 이정환;이건섭;조동현;홍다희;유재훈;곽지유;이희철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227-235
    • /
    • 2021
  • 자외선 및 블루영역 차단 기능을 갖는 화장품의 원료로 사용되기 위한 박막 판형의 ZnO 및 Fe2O3 성분을 포함하는 인공 칼라민 세라믹 분말 소재를 합성하였다. 20 : 1에서 50 : 1 범위의 높은 종횡비를 가지는 (0001)면의 판형 ZnO 세라믹 분말 소재는 아연공기전지로 전력 생산한 후에 회수한 전해질을 출발 물질로 하여 징크아세테이트와 소듐시트레이트 혼합 용액에서 중화반응을 통한 석출로 합성하였다. 아이언 클로라이드 용액의 첨가량을 증가시키는 방법으로 인공 칼라민 세라믹 분말 내의 Fe2O3 함량을 높일 수 있었으며, 이 경우 자외선뿐만 아니라 가시광선의 블루 영역을 일부 흡수하였다. 포타슘 아세테이트 용액을 첨가시킬 경우에는 Zn(OH)42- 음이온의 분해를 촉진하여 (0001) 면 위에 수직 방향으로 격벽 형태로 성장한 박막을 얻을 수 있었는데, 이 경우 자외선을 흡수할 수 있는 기회가 증가하면서 자외선 흡수율이 증가하였다. 아이언 클로라이드 용액과 포타슘 아세테이트 용액의 첨가량을 함께 조절하면 박막 판형의 인공 칼라민 세라믹 분말의 조성 및 형상을 최적화시킬 수 있어서 화장품 제형을 진행할 경우 블루영역의 광투과도가 크게 감소하였다.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연료극 및 전해질 미세구조 최적화 (Optimization of anode and electrolyte microstructure for Solid Oxide Fuel Cells)

  • 노종혁;명재하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7권4호
    • /
    • pp.525-530
    • /
    • 2019
  •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의 성능과 안정성은 전극의 기공률, 기공 분포와 전해질의 치밀도, 두께에 따라 결정 된다. 연료극의 기공률과 기공 분포는 활성면적와 연료 흐름에 영향을 주고, 전해질의 치밀한 미세구조와 두께는 단위전지의 Ohmic 저항에 영향을 준다. 하지만 이를 위해 값 비싼 공정 장비를 이용하거나 여러 단계의 제작 공정이 추가 될 경우 단위전지 제작비가 증가하므로 상업화를 목표로 하는 연구에는 적합하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용 소재 기반의 NiO-YSZ 연료극을 선정 후 간단한 혼합 방법 및 일축가압 성형법과 담금코팅(dip coating) 공정을 사용하여 저비용 고효율의 세라믹 공정 기반의 고성능 단위전지를 제작하였다. 연료극의 기공률은 기공형성제로서 사용되는 카본 블랙(CB, carbon black)의 첨가량(10~20 wt%)과 최종 소결온도($1350{\sim}1450^{\circ}C$)를 변경하며 제어하였고, YSZ 전해질의 두께와 미세구조는 담금코팅 슬러리의 고상 분말량(YSZ, 1~5 vol%)을 제어하여 치밀한 박막의 전해질을 구현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Ni-YSZ 연료극에서 최적의 값으로 잘 알려진 40%의 기공률은 카본 블랙을 15 wt% 첨가하고최종소결온도를 $1350^{\circ}C$로설정함으로써얻을수있었다. 담금코팅을통한 YSZ 두께는 $2{\sim}28{\mu}m$까지 제어가 가능하였고, 3 vol%의 고상분말량에서 치밀한 전해질 미세구조가 형성되었다. 최종적으로 40%의 기공률을 갖는 Ni-YSZ 연료극, $20{\mu}m$ 두께의 치밀한 YSZ전해질, LSM-YSZ 공기극으로 구성된 단위전지는 $800^{\circ}C$에서 $1.426Wcm^{-2}$의 우수한 성능을 얻을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