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Underachieved Students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8초

협력학습을 통한 수학 학습부진아 지도 (An Instruction of the Underachieved Students Based on Cooperative Learning)

  • 홍진곤;조승래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2권3호
    • /
    • pp.327-335
    • /
    • 2003
  •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iveness of cooperative learning in the instruction of the underachieved student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cooperative teaming tended to exert positive effects on the cognitive and affective(interest, self-confidence, motivation) domains. In the cooperative teaming, the underachieved students were encouraged in mathematics teaming and improved the efficiency of loaming in mathematics.

  • PDF

그래프 계산기를 활용한 수학 부진아 지도: 사례 연구 (An Instruction of the Underachieved Students of using Graphic Calculator: A Case Study)

  • 나귀수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9권1호
    • /
    • pp.167-181
    • /
    • 1999
  • 본 논문의 목적은, 수학 부진 학생들의 함수 개념을 향상시키는데 있어서 계산기의 활용 가능성을 사례 연구를 통해 조사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목적 하에 먼저 수학 학습 부진 학생들에게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수학 학습 부진 학생들의 공통적인 특징을 토대로 계산산기 활용수업 지도안을 계획하여 수업을 시행한 후에 학생들의 함수 개념에 대한 이해의 향상 정도를 조사 하였다. 또한 수학 부진 학생들의 함수 개념 학습에서 계산기가 기여하는 점, 계산기 활용에서 유의해야 할 점을 수업 과정중에 나타난 현상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 PDF

자기주도학습과 심층면담 프로그램이 이공계 학습부진학생의 학업에 미치는 영향 연구 (The effects on academic of self-directed learning and in-depth interviewing program in engineering underachieved students)

  • 김혜경;최원영
    • 공학교육연구
    • /
    • 제18권1호
    • /
    • pp.54-60
    • /
    • 2015
  • 본 논문은 자기주도학습과 심층면담 프로그램이 이공계 학습부진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것이다. 본 연구는 학점평균 2.5미만의 학생들 17명의 신청을 받아 진행하였으며, 15주 동안의 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 참여와 3차의 심층면담 결과, 평균 평점(GPA, grade point average)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참여 과목의 학업성취도, 평균 평점(GPA, grade point average)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었으며, 학습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복합판별 과정에 의한 초등학교에서의 미성취 영재 판별 (A Comprehensive Model for Identification of Underachieved Gifted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s)

  • 박소영;이진희
    • 영재교육연구
    • /
    • 제17권2호
    • /
    • pp.251-279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복합 영재 판별의 이론을 적용하여 초등학교 다인수 학급에서의 미성취 영재를 효율적으로 판별할 수 있는 단계와 내용을 구성하는 데 있다. 2006년 3월 1일부터 2006년 9월 30일까지 대구광역시에 위치한 S 초등학교 전교생 1980명을 대상으로 하여, 70명의 교사 추천(1단계)으로 시작하여 6단계 위원회 최종판별에서 4명의 미성취 영재(2 4 5 6학년 남학생)가 판별되기까지의 과정에 대하여 기술한다. 보다 다면적이고 적합한 미성취 영재 판별을 위하여 표준화 검사 도구, 체크리스트와 설문지, 학업 성취도 검사를 채택, 수정, 혹은 개발하였으며 판별 과정에서 수정 보완하였다. 미성취 영재의 복합판별 과정의 개발 및 적용과정을 통하여 본 연구는 교사추천, 간편검사, 미성취 특성 체크리스트, 다차원검사, 관찰 면담, 위원회 최종판별이라는 복합판별 과정이 교육현장에서 미성취 영재를 적절하게 판별할 수 있을 것으로 제안한다.

스토리텔링 수업이 수학학습부진학생의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The Effect of the Storytelling Teaching on the Mathematical Attitudes of the Underachieved Students)

  • 김명길;김홍찬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2권1호
    • /
    • pp.23-45
    • /
    • 2019
  • 본 연구는 스토리텔링 수학 수업을 통하여 중학교 3학년 수학학습부진학생들의 수학적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켜 수학에 대한 흥미를 가지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수학 성적이 하위 20% 이하인 학생 5명을 선정하여 함수 단원의 스토리텔링 학습자료를 구성하여 18주동안 36시간의 수업을 진행한 후, 수학적 태도에 관한 사전 사후 설문과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사전 사후 설문의 평균이 증가하였고, SPSS 대응표본 t-검정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얻었다. 특히 수학적 태도의 여러 세부 항목들을 각각 분석한 결과 '학습 기술 적용'에서 가장 큰 변화를 보였으며, 다음으로는 '흥미도', '자율 학습' 순으로 긍정적인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스토리텔링 수업이 중학교 3학년 수학학습부진학생의 수학적 태도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습부진학생 대상의 학습습관 지도 요구와 실행 정도 간 차이 분석 (The Gap of the Practice and the Needs for Improving Underachievers' Study Habits)

  • 강경숙;함승연;노정은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6권4호
    • /
    • pp.877-893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the implementation of instructional practices and the needs for improving study habits of underachievers, as a preliminary research to develop improving program for underachievers' study habits. Firstly, past researches on the subject were analyzed to find out the concept and scope of study habits, and factors related to academic achievement. After arranging and integrating these factors, we have extracted the constructs and factors of improvement program for students' study habits. Secondly, the instructional practices in the field and needs for improvement program for students' study habits were analyzed through a survey. The online survey composed of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conducted among teachers consisting of regular classroom teachers, special class teachers, school counselors, etc. The results were reflected in the contents and configuration of the program. The contents of survey was the degree of practice and needs of improvement program for students' study habits in schools, and the degree of practice and needs of standardized tests.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the efforts for improving the underachieved students' study habits were low level. This study focused on study habits showing high demands in the development of program and manual.

학습부진 대학생을 위한 학습동기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The Effects of Motivation Improvement Program for Underachieved Students)

  • 최주영;김경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2호
    • /
    • pp.87-95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학습부진 대학생을 대상으로 학습동기향상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학습무동기 감소와 자아존중감향상에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대학생 2, 3학년 14명의 학생들을 실험집단 7명, 통제집단 7명으로 배치하여 사전-사후 실험설계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알아보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 사후 결과 값을 활용하는 대응표본 t 검증과 실시여부에 따른 효과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사전 사후 변화량에 대한 독립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학습동기 향상 프로그램은 학습부진 대상으로 6회기 운영되었다.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의 자아존중감 점수가 향상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무동기의 점수가 프로그램 실시 이후에 유의미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동기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헙집단은 통제집단보다 학습무동기 수준이 유의미한 감소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학습부진 학생을 위한 프로그램의 시사점을 논의했으며, 후속연구를 위해 제안을 제시하였다.

멘토링 수업을 통한 특별보충과정 운영 사례 (A Case Study of Students' Mentoring Activities for the Special-Supplementary Curriculum in Math Classrooms)

  • 최영선;유원석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0권3호
    • /
    • pp.483-502
    • /
    • 2006
  • 이 연구에서는 학습결손이 심한 학생들에게 학교수업 정규시간에 이해하지 못한 내용을 별도로 보충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 주고자 제7차 교육과정에서 도입한 중학교 수학교과 특별보충과정을 동료친구에 의한 멘토링 수업방법으로 운영하여 성과를 얻고 있는 사례를 질적으로 분석하여 멘토링 수업을 특별보충과정 운영에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하고 이 방법의 효율적인 운영방안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PDF

고등학교 수학 학습부진학생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ADDIE 모형 적용 사례-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program for students with under-achievement of math in high school - On the case of ADDIE model -)

  • 오택근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7권4호
    • /
    • pp.329-352
    • /
    • 2018
  • This study analyzed each process of demand analysis(A), design(D), development(D), implementation(I) and evaluation(E) of the program to support mathematics learning of students with under-achievement of math in high school. To analyze the demand, a survey was conducted on 235 high school math teachers and 334 high school students who were under-achieved in mathematics. To design and develope the program, this study linked middle school math to high school math so that the students with poor math learning could easily participate in mathematics learning. The programs developed in this study were implemented in three high schools, where separate classes were organized and run for students with poor math learning. The evaluation of the programs developed in this study was done in two ways. One was a quantitative evaluation conducted by five experts, and the other was a qualitative evaluation conducted through interviews with teachers and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This study found that students with poor mathematics learning were more motivated to learn, started to do mathematics, and encouraged to be confident when using learning materials that included easy problems and detailed solutions that they could solve themselves. From these results, the following three implications can be derived in developing a program to support students who are experiencing poor mathematics learning in high school. First, we should develop learning materials that link middle school mathematics to high school mathematics so that students can supplement middle school mathematics related to high school mathematics. Second, we need to develop learning materials that include detailed solutions to basic examples and include homogeneous problems that can be solved while looking at the basic example's solution process. Third, we should avoid the challenge of asking students who are under-achieving to respond too openly.

자존감 향상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사례 (System Development and Management for Underachieved Students)

  • 김영준;김희교;오경석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183-190
    • /
    • 2018
  • 학령인구의 급격한 감소는 대학마다 정원을 확보하는 것과 함께 입학한 학생들의 중도탈락을 막아야 하는 과제를 동시에 요구하고 있다. 현실적으로 모든 대학에서는 중도탈락자가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4년제 대학에 비해 전문대학이 더 높은 중도탈락률을 보이고 있다. 중도탈락과 관련된 기존 연구들은 그 원인을 분석하는 내용들이 많았던 반면, 중도탈락을 줄이려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관련된 연구는 부족한 면이 있다. I-대학에서는 학업준비가 부족하고 소외된 부류의 학생들에게 초점을 맞춰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또한, 개발된 프로그램을 운영한 결과 소외 학생들의 학업성적이 향상되었다. 하지만, 지속가능한 프로그램이 되기 위해서는 학교에서 진행하는 다른 목적의 프로그램과도 연계성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