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n academic of self-directed learning and in-depth interviewing program in engineering underachieved students

자기주도학습과 심층면담 프로그램이 이공계 학습부진학생의 학업에 미치는 영향 연구

  • Kim, Hae-kyung (Seoul Accord Activation Center, Hanbat National University) ;
  • Choi, Wonyoung (A College of General Education, Hanbat National University)
  • 김혜경 (한밭대학교 서울어코드활성화사업단) ;
  • 최원영 (한밭대학교 교양학부)
  • Received : 2014.09.18
  • Accepted : 2014.11.26
  • Published : 2015.01.31

Abstract

The purposes of the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n academic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and in-depth interviewing program in engineering underachieved students. 17 students participated in program and the grade points average(GPA) of participants are less than 2.5. First, we focus on the change of academic achievement after the self-directed learning and in-depth interviewing program. According to results, it is very effective not only in improving academic achievement of the participation subject but also in increasing GPA. Second, the pre-survey and the post-survey were conducted to the participants. We found some facts from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 and post surveys. The expectation and satisfaction about learning have improved after self-directed learning, and the participants' recognition showed the meaningful change in important factors about learning.

본 논문은 자기주도학습과 심층면담 프로그램이 이공계 학습부진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것이다. 본 연구는 학점평균 2.5미만의 학생들 17명의 신청을 받아 진행하였으며, 15주 동안의 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 참여와 3차의 심층면담 결과, 평균 평점(GPA, grade point average)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참여 과목의 학업성취도, 평균 평점(GPA, grade point average)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었으며, 학습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순화.이은경.양난미(2000), 학업우수 및 학업부진 학생의 학업실태 분석을 통한 대학에서의 학업지원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상담 및 치료, 12(2), 221-242.
  2. 권혁재(2012), 대학생의 학습부진 원인과 개선방안,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김경화(2013), 학습공동체 참여 대학생의 집단효능감 및 자기주도학습능력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청소년학연구, 20(12), 315-335.
  4. 김기정(2004), 대학생집단의 학습기술.학습동기.학업적응도와 학업성취와의 관계, 교육발전, 23(1), 51-73.
  5. 김달중 (2014), 독해와 듣기로 부분 통합된 대학 교양영어의 학습효과 분석, 한국현대영어영문학회, 25(2), 33-65.
  6. 김선.김경옥.김수동(2002), 학습부진아의 이해와 교육, 학지사.
  7. 김재환.이수원.장성수(1986), 대학에서의 학업성취요인에 관한 분석:학사징계학생과 우수학생의 특성비교. 대학생활연구, 4. 5-64.
  8. 박성익(1986), 학습부진아 교육, 한국교육개발원연구총서 9.
  9. 백경숙(2011), 자기주도학습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 문제해결력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교육학논총 32(1), 77-95.
  10. 송윤희(2011), 대학학습동아리 활동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 집단효능감, 지식공유 및 만족도와의 관계, 교육과혁연구, 42(3), 179-209.
  11. 송윤희 (2012). 대학 이러닝 수업에서 학습몰입과 학습지연을 예측하는 요인 분석, 평생학습시회 8(1), 113-135.
  12. 오윤자.장세미(2007), 대학생의 학업실태 및 대학생활 적응: 학사경고생과 일반대학생 집단 비교 중심으로. 학생생활연구, 22, 65-79.
  13. 윤소정(2013), 학습부진 대학생을 위한 예방적 학습컨설팅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수산해양교육연구, 26(3), 643-660.
  14. 윤정선.박부진(2014), 대학생을 위한 자기주도학습 능력 향상 프로그램의 중재 및 효과, 정서.행동장애연구, 30(2), 12-142.
  15. 이성희(2006), 학습동기향상프로그램이 학습부진 간호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습관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2(1),. 5-12.
  16. 이종연.김복미.장은주(2013), 학사경고자 대학생을 위한 자기탐색(Exploring Myself) 프로그램 개발, 상담학연구, 14(1), 359-384.
  17. 장애경.양지웅(2013), 대학생의 학사경고 경험과 극복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상담학연구, 14(2), 995-1013.
  18. 전미애(2013), 이공계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 준비도와 학습유형의 관계,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8(2): 240-266.
  19. 조재옥(2012),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자기주도학습 방법 연구, 영상영어교육, 13(3), 135-160.
  20. 한덕웅.이경성(2000), 대학에서 성적우수학생과 학사 경고학생의 특징, 학생지도연구, 12(1), 33-51.
  21. 한지영(2011), 공학설계교육을 통한 자기주도학습 능력 향상에 관한 연구, 공학교육연구, 14(1), 64-73.
  22. Brady, P., & Allingham, P.(2007). Help or hindrance? The role of secondary schools in a successful transition to university, Journal of the First-Year Experience, 19, 47-67.
  23. Knowles, M, S. (1975), Self-directed learning: A guide for learner and teachers. Chicago: Association Press Folett Publishing Company.
  24. Lautz, J., Hawkins, D., & Perez, A. (2005).The high school visit: Providing college counseling and building crucial k-16 links among students, counselors, and admission officers. Journal of College Admission, 188, 6-15
  25. Tinto, V. (1993), Leaving college: Rethinking the causes and cures of student attrition. (2nd ed.),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6. Tovar, E., & Simon, M. A. (2006), Academic probation as a dangerous opportunity: Factors influencing diverse college students' success. Community College Journal of Research and Practice, 30, 547-564. https://doi.org/10.1080/106689205002082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