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Recognition of students

검색결과 1,574건 처리시간 0.027초

셀프리더십, 창의적 인성, 혁신행동 및 학업만족 간의 구조적 관계: 대학조직을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 among Self-Leadership, Creative Personality and Innovative Behaviour and Study Satisfaction)

  • 최석봉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1권4호
    • /
    • pp.611-638
    • /
    • 2012
  • 본 연구는 대학생의 혁신행동과 학업만족에 대한 중요성과 이에 대한 선행요인으로 셀프리더십 및 창의적인성에 대한 연구부족을 인식하면서, 셀프리더십, 창의적 인성, 혁신행동 및 학업만족간의 구조적 관계를 실증 분석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서울, 충북, 영남지역의 대학에서 경영학 강좌를 수강하는 1~4학년 학생 176명의 응답을 표본으로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셀프 리더십은 창의적 인성, 혁신행동과 학업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창의적 인성은 혁신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학업만족은 혁신행동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창의적 인성은 셀프 리더십과 혁신행동 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개인특성 중 셀프 리더십과 창의적 인성이 혁신행동과 학업만족에 영향을 주는 모형을 처음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실무적으로 대학생의 혁신행동과 학업만족의 수준을 제고하기 위해 개인의 특성을 이해하고 배려하는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대학조직 환경조성 등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과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이 논의되었다.

  • PDF

사이버불링 예방을 위한 가상체험형 시뮬레이션 적용 모형 개발 (A Development of Application Model on Virtual Simulation for Prevention of Cyberbullying)

  • 구정모;이은화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63-76
    • /
    • 2016
  • 사이버불링의 피해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이버불링에 대한 법률 및 교육적 대응과 더불어, 기술(code)에 의한 대응도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기술적인 해결 방법 중 하나로 가상 체험형 시뮬레이션의 장점을 이용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적용 모형은 인지${\rightarrow}$판단${\rightarrow}$결정${\rightarrow}$행동의 각 단계 및 수준을 거치며, 사이버불링에 대한 예방 및 학습을 하게 된다. 각 단계의 세부 모형은 프리브리핑${\rightarrow}$시나리오제시${\rightarrow}$반응요구${\rightarrow}$반응참여${\rightarrow}$결과 및 피드백${\rightarrow}$성장${\rightarrow}$디브리핑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사이버불링 예방 및 관련 교육을 하고자 가상체험형 시뮬레이션 적용 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제 구현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모형과 시뮬레이션이 사이버불링의 피해를 줄이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치과위생사 직업인식과 직무역량 강화방안 (Dental hygienist's job recognition and vocational competency reinforcement)

  • 조은덕;김은솔;홍해경;한경순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655-664
    • /
    • 2020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qualities and problems to be solved to strengthen the vocational competency of dental hygienists and to identify the work to be institutionally established. Methods: From April 1 to May 30, 2019, a total of 325 people participated (152 registered dental hygienists: RDH, 173 students of dental hygiene: SDH) in this study. The survey items were as follows: "job awareness" (6 items), "problem to be solved to strengthen vocational competency" (5 items), "qualities to be equipped to strengthen"competency" (9 items), and "practical work to be institutionally established" (4 items). Results: RDH and SDH had the highest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3.68, 3.99 points), and low remuneration against work (4.21, 4.18 points) was perceived as the most important problem to be solved. The qualities for competency reinforcement showed the highest results in expertise knowledge (4.68, 4.64 points) and vocation for job (3.76, 4.09 points). Practical work to be established institutionally appeared as follows: X-ray film reading, dental hygiene diagnosis, periodontal pocket measurement, and periodontal pockets (<6 mm) treatment. Conclusion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actively used to strengthen the vocational competency among dental hygienists, construct work autonomy, and rationalize and legalize practical work.

온라인 소프트웨어 교육 학습자들의 자기주도학습 유형 분류 및 특징 분석 (Analysis of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Self-Directed Learning of Learners in Online Software Education)

  • 성은모;채유정;이성혜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31-46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소프트웨어 교육의 효과성을 증진하기 위하여 소프트웨어 교육 학습자들의 자기주도학습 유형을 분석하고 각 유형에 따른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보다 전략적인 소프트웨어 교육을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K대학교에서 온라인 소프트웨어 교육과정에 참여하고 있는 중학생 429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자기주도학습 유형을 분석하기 위해 잠재계층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소프트웨어 교육 학습자들의 자기주도학습 유형은 '최고수준 자기주도학습형(계층 1)', '자기 학습스타일 인식형(계층 2)', '자기 학습스타일 선호형(계층 3)', 그리고 '자기주도학습 부재형(계층 4)'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프트웨어 교육 학습자들의 자기주도학습 유형에 따른 소프트웨어 학업성취도 수준은 '최고수준 자기주도학습형(계층 1)'이 가장 높고, '자기 학습스타일 선호형(계층 3)' 가장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소프트웨어 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효율적인 공학 교육을 위한 MSC 교과목과 전공 교과목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MSC and major curriculum for Efficient Engineering Education)

  • 김성철;김혜윤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673-679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공학교육인증 프로그램 교과과정 중 MSC 교과목과 전공교과목의 연계성 조사를 통해 효율적인 교과과정의 개선 및 학생들의 만족도 제고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학생들이 이수한 MSC 교과목과 전공필수 교과목에 대한 성적 분석을 통해 연관성을 조사한다. 뿐 만 아니라 학생들의 이들 교과목에 대한 만족도 조사를 통하여 개선점을 찾는데 있다. 연구 결과 학생들의 공학교육인증의 필요성에 대한 낮은 인식이 MSC 교과목에서의 불만 원인 중의 하나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학생들에 대한 공학교육에 대한 지속적인 인식 제고 및 인증을 위한 형식적인 과목 개설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보다 심도 있는 연구를 통하여 전공 교과목에서 필요한 부분에 대한 강조를 통하여 보다 내실 있는 수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 강구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교육용 소프트웨어를 위한 XML 기반 관리 시스템 설계 및 구현 (Implementation and Design of XML-Based Management System for Instructional Software)

  • 이윤배;이누리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7호
    • /
    • pp.1329-1337
    • /
    • 2008
  • 최근 학교교육 현장에서는 교수-학습의 효과 극대화를 위하여 교육정보화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이를 위하여 교육인적자원부는 컴퓨터 기반 수업(CAI)을 지원하고 학습자가 인지적 구조를 구성할 수 있는 학습 환경 조성을 위해 우수한 교육용 소프트웨어를 개발.보급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학교에서는 소프트웨어 구입에 따라 매년 그 보유수가 늘어나고 있으며, 이에 따른 교육용 소프트웨어의 효율적인 관리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교육용 소프트웨어를 교수 학습용 소프트웨어, 업무지원용 소프트웨어, 시스템 관리 소프트웨어 등 3가지로 분류하여 등록하고 사용자별 사용 구분을 두어 보다 효과적으로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 구현한다. 시스템의 사용자 구분은 회원 가입을 통하여 로그인 하도록 하고, 로그인 후 관리자 모듈, 일반교사 모듈, 학생 모듈로 나누고 관리자는 자료의 등록, 수정, 검색 등 모든 관리를 한다. 일반 교사는 각 소프트웨어의 검색 및 열람이 가능하여 수업 시간에도 적절히 교육용 소프트웨어를 사용한 컴퓨터 기반 수업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였다. 학생은 교수 학습용 소프트웨어에 대한 검색 및 열람을 가능하게 하여 언제든지 수업 내용에 대한 예습 복습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였다.

지적장애 특수학교 교사의 안전사고 실태 및 예방교육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al Condition of Teachers' Safety Accident and Methods of Preventive Education in Special Schools for Students with Mental Disorder)

  • 배광열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8호
    • /
    • pp.131-139
    • /
    • 2019
  • 본 연구는 지적장애 특수학교 교사들의 안전사고 실태 및 예방교육에 관한 연구를 효과적인 안전교육 방안의 목적이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지적장애 특수학교 교사의 안전교육활동, 안전교육환경, 안전교육인식, 안전교육지식, 안전자원 및 연수경험, 내 외부요인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상호 보완적인 관계에 있음을 알 수 있다. 전체적으로 교사의 안전사고 경험이 기대이상 높고 교실, 계단, 강당, 놀이기구 등 장소, 시간, 유형에 따라 다양하게 발생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한 안전교육 실천도 또한 안전자료와 연수경험에 안전교육 지식과 인식도, 교육활동 순으로 나타내 특수학교 교사의 안전자원과 연수경험의 기회 제공이 보다 확충되어야 할 것을 시사해 주었다.

예비영유아교사의 창의·인성 함양을 위한 강좌 개발을 위한 인식 및 요구도 조사 (The Survey of Perception and Needs on Development of Lecture to Promote Creativity·Personality of Pre-service Teachers)

  • 김래은;안미영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8호
    • /
    • pp.205-213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영유아교사의 창의 인성 함양을 위한 강좌 개발에 대한 인식 및 요구도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4학년 16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창의 인성 함양을 위한 강좌에 대한 인식' 3문항과 '창의 인성 함양을 위한 강좌 개발에 대한 요구도' 7문항에 대한 설문지를 구성하였고, 자료분석은 기술통계를 통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대부분의 예비교사들은 창의 인성 함양을 위한 강좌의 중요성을 높게 인식하였고, '창의 인성 강좌의 개발과 적용'의 지원을 중요하다고 보았으며, 창의 인성 함양을 위한 강좌가 효과가 있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절반 이상의 예비교사들은 창의 인성 함양을 위한 강좌를 수강하겠다고 하였고, 2과목, '1학기 3시간 10주'가 가장 적절하며, '창의성 교육요소 중 성향적 요소'를 많이 요구하였다. 또한, 그들은 '다양한 분야의 융합형 수업'을 많이 요구하였으며, '영화와 음악'의 교수매체가 가장 적절하며, '포트폴리오 평가'를 많이 요구하였다.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에 제시된 들이와 무게 내용 분석 (An Analysis of the Capacity and Weight Contents Presented in Textbooks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 이대현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7권3호
    • /
    • pp.273-285
    • /
    • 2023
  • 초등학교 수학에서 측정은 수학을 실생활에 직접 활용할 수 있는 수학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3-4, 5-6학년군 수학 교과서가 검정 교과서로 개발된다는 점과 측정에서 들이와 무게가 교과서 지면 구성의 제한에 의해 일반적인 측정 지도 과정이 응축되어 제시되고 있다는 점에 근거를 두고 교과서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분석 관점인 비교 활동, 표준 단위의 필요성 인식과 도입 활동, 어림 활동의 3가지 면에서 국정 교과서를 비롯한 3종의 검정 교과서 내용은 세부적인 면에서 차이가 있었지만, 전체적인 내용 구성과 활동은 유사하였다. 이를 통해 각 측정 활동의 의미를 부각시킬 수 있는 교과서 내용 구성과 학생들의 활동 중심의 교과서를 개발할 수 있는 교육 정책의 개선과 교과서 개발에 노력이 필요함을 제기하였다.

폐품을 활용한 창의성 발현 융복합 미술교육 프로그램 연구 - 미술활동에서의 창의성 발현을 중심으로 (A Research of Convergence Art Education Program for Creativity Manifestation Utilizing Waste)

  • 박건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6호
    • /
    • pp.551-556
    • /
    • 2017
  • 인간의 창조는 주어진 상황에서 출발한다. 무관해 보이는 것들 사이에 새로운 관계를 형성하는 것이다. 미술의 제작과정은 이미지로 떠오른 영감을 구체화하는 창의성을 요하는 작업이다. 폐품을 활용한 조형물의 제작은 주어진 사물을 탈범주화하여 인지하기 쉽다는 장점이 있고 분해된 조형요소들을 새로운 형상에 따라 통합적으로 바라보는 전체적인 시각을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 또한 창의적이라고 할 것이다. 학생들은 항상 무엇인가 찾으려고 하는 호기심, 사물을 관찰하는 눈, 재료 사용 방법의 수준, 재료의 선택과정 등에 의해서 폭넓은 시각을 갖게 되며 창의성과 창조성은 달라진다. 본 연구는 무의미해 보이는 폐품에 대한 인식전환을 통하여 환경의식, 생명에 대한 존중을 함의하는 조형물을 생산해 내는 포괄적인 창의성교육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