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xtural parameter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36초

Consumer Attitudes Toward Storing and Thawing Chicken and Effects of the Common Thawing Practices on Some Quality Characteristics of Frozen Chicken

  • Benli, Haka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9권1호
    • /
    • pp.100-108
    • /
    • 2016
  • In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to both evaluate the consumers' general attitudes for purchasing and storing the raw chicken and determine the thawing practices used for defrosting frozen chicken at home. About 75% of the consumers indicated purchasing chicken meat at least once a week or more. Furthermore, the majority (82.16%) of those who stored at least a portion of the raw chicken stated freezing the raw chicken meat at home. Freezing the chicken meat was considered to have no effect on the quality by 43.49% of the consumers while 56.51% thought that freezing had either negative or positive effects on the quality. The survey study indicated that top five most commonly used thawing practices included thawing on the kitchen counter, thawing in the refrigerator, thawing in the warm water, thawing in the microwave, and thawing under tap water. In addition, an experimental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these most commonly used thawing practices on som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chicken meat including pH, drip loss, cooking loss, color analysis and textural profile analysis. Although, $L^*$ value for thawing on the kitchen counter was the lowest, after cooking, none of the thawing treatment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olor values. Thawing in the microwave produced the highest drip loss of 3.47% while the lowest drip loss of 0.62% was observed with thawing in the refrigerator. On the other hand, thawing in the microwave and refrigerator caused the lowest cooking loss values of 18.29% and 18.53%, respectively. Nevertheles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extural parameter values of the defrosted and then cooked samples using the home based thawing practices, indicating similar quality characteristics among the samples.

압력솥 사용 및 쌀가루의 입자크기가 백설기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oking with Pressure Cooker and Particle Size of Rice Flour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Packsulgi)

  • 송정순;오명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233-239
    • /
    • 1992
  • The characteristics of Packsulgi were investigated with different cooking methods of conventional and pressure cookers and variation in panicle size of rice flour. The water contents of rice f1ours and Packsulgis were greater as the particle became coarser. The water contents of Packsulgis cooked with pressure cooker (P) were greater than those of conventional cooker (C). Degree of gelatinization in P was higher than that of C.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samples of P, whereas coarser f1ours tended to show higher degree of gelatinization than finer ones in C. The results of textural properties measured by rheometer showed that hardness, cohesiveness and gumminess of P was higher than that of C. The textural parameter of P increased as the particle became finer, whereas mat of C increased as the particle became coarser. L value of C was higher than that of P in me same particle size, whereas a and b value of P was higher than that of C. L and a value of both P and C increased as the particle became finer. b value in P increased as the particle became coarser, whereas mat in C increased as the particle became finer. According to me sensory evaluation, the appearance of C was more acceptable man that of P, whereas the texture of P was more acceptable than mat of C.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overall quality among P and c and Packsulgis made by 60, 100 mesh rice f1our had higher acceptability than others.

  • PDF

낙동강 하구역 진우도 해빈의 춘추계 표층퇴적물 조직변수의 변화 (Variation of the textural parameters of surface sediments between spring and fall season on the Jinu-do beach, Nakdong River estuary)

  • 김부근;김백운;이상룡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1권6호
    • /
    • pp.444-452
    • /
    • 2009
  • 진우도 해빈에서 2005년 11월과 2006년 5월의 2회에 걸쳐서 표층퇴적물을 채취하여 퇴적물의 조직변수를 분석하였다. 2005년 11월에 비하여 2006년 5월에는 진우도 서쪽 해빈의 최빈값은 $3.0\phi$(i.e., 0.125 mm)로 변화가 거의 없었으나, 동쪽 해빈에서는 최빈값$3.0\phi$(i.e., 0.125 mm)의 함량이 대폭 감소하고 $2.5\phi$(i.e., 0.177 mm)가 절대적으로 우세한 조립화 경향이 발생하였다. 마찬가지로 표층퇴적물 평균 입도는 서쪽 해빈에서는 두 조사의 차이가 거의 미약하지만, 동쪽 해빈의 평균입도는 증가되어 조립화된 특징을 반영한다. 이러한 조립화는 2006년 5월에 진우도의 동쪽 해빈의 표층퇴적물에서 상대적으로 양의 값으로 변화된 왜도 경향과 일치한다. 결과적으로 2005년 겨울을 지나면서 진우도의 표층퇴적물은 서쪽 해빈은 큰 변화를 보이지 않는 반면에 동쪽 해빈은 $3.0\phi$(i.e., 0.125 mm)의 세립 사질퇴적물이 제거되는 현저한 조립화 경향이 나타난 것이다. 이와 같은 변화는 낙동강 하구역에 하계동안 증가된 강수량과 낙동강 방출량 그리고 동계동안 우세한 파랑 그리고 조석의 영향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진우도 서쪽 해빈과 동쪽 해빈의 표층퇴적물에 영향을 주는 수리학적 조건과 퇴적물의 공급/제거가 다르기 때문이다.

웨이블릿 변환을 이용한 Depth From Defocus (Depth From Defocus using Wavelet Transform)

  • 최창민;최태선
    • 전자공학회논문지SC
    • /
    • 제42권5호
    • /
    • pp.19-26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CCD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된 영상들 간의 상대적인 열화(Blur)를 이용하여 물체의 3차원 형상 및 거리 정보를 얻을 수 있는 Depth From Defocus(DFD) 방법을 제안한다. 기존 논문의 주파수 영역에서 디포커스(Defocus) 연산자를 구하는 역필터링(Inverse filtering) 방법은 정확도가 떨어지고, 윈도우 효과(Windowing effects) 및 영상의 경계 효과(Border effect)와 같은 단점이 있었다. 또한 일반적인 영상은 비정체성 (Nonstationary)이기 때문에, 임의의 텍스처에 대한 가우시안(Gaussian) 및 라플라시안(Laplacian) 연산자 등의 필터를 이용하는 디포커스 방법의 추정값은 결과가 좋지 않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지역적 분석과 함께 다양한 크기의 윈도우를 제공하는 웨이블릿 변환을 이용한 DFD 방법을 제안한다. 복잡한 텍스처 특성을 갖는 영상의 깊이 추정을 위해서는 웨이블릿 분석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Parseval의 정리에 의해 영상 간의 웨이블릿 에너지의 비율이 열화 계수(Blur parameter) 및 거리와 관련 있음을 증명하였다. 제안된 DFD 알고리즘의 성능을 계산하기 위해 실험은 종합적이며 실제적인 영상을 이용하여 행하였다. 본 논문의 DFD 방식은 기존의 DFD 방법보다 RMS 에러 측면에서 정확한 결과를 보였다.

유색 대두수집종의 특성연구 제III보 유색 대두수집종의 화학적 조성과 특성 변이 (Basic Studies on the Native Colored-Soybean Cultivars III. Variations and Preformances in Chemical Composition and Textural Property in Seeds of Collected Colored-Soybean Cultivars)

  • 구자옥;이종욱;이영만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45-350
    • /
    • 1983
  • 일정한 재배조건에서 생산된 38종의 유색 대두종실을 공시하여 종실의 화학적 조성과 Texturometer를 이용한 취반에 따른 물리적 변이를 분석 조사한 결과 다음의 경향을 알 수 있었다. 1. 대부분의 유색 대두는 황태에 대한 기존의 재래종 대두 분석결과보다 단백질과 지방의 함량이 낮고 상대적으로 탄수화물 함량이 높은 경향이었으나 종실중의 차이에 따른 종실성분의 변이는 일정하지 않았다. 2. 100립중이 25-30g인 대립군의 유색 대두종은 단백질, 지방 및 탄수화물의 함량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변이계수를 나타내었다. 3. 유색 대두의 Texturometer curve에서는 Hardnes, Cohesiveness, Elasticity만 반응을 보였고, Hardness는 종실중에 의하여, 기타의 Parameter들은 종실중 자체에 의하여 달라서 동일한 특성이나 종실중 내에서도 품종에 따라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 4. Hardeness와 Elasticity는 낮은 C. V치를, Cohesiveness와 Gumminess 및 Chewiness는 40% 이상의 높은 C.V.치를 나타내었다. 5. Hardness, Elasticity, Chewiness는 상호간에 정상관을 보이는 반면 이들과 Cohesiveness, Gumminess간에는 부의 상관을 보였다. 6. Hardness와 Elasticity는 탄수화물 함량과 정상관을 단백질 함량과는 역상관을 보였으며 Cohesiveness는 이들과 정반대의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and Australian Wheat Flours Used to Make Korean Salted Noodles

  • Kim, In-Sook;Binns, Colin;Yun, Hon;Quail, Ken;Lee, Chi-Ho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2호
    • /
    • pp.275-280
    • /
    • 2007
  • The effect of using Korean wheat flour versus Australian wheat flour on noodle quality as a result of differing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the flours was investigated. The results provided appropriate technical information for selection of wheat varieties to produce high quality Korean salted noodles. Noodle quality was quantified based on measurement of the appearance and texture of noodles. When consumer preference tests were conducted, a firmer and more elastic texture was preferred for Korean white salted noodles, however, when appearance was included in the consumer tests, noodles made with Australian wheat were favored over Korean wheats. Korean flour was found to produce firmer and more elastic noodles, whereas Australian flour produced brighter, creamier colored noodles. In flour quality tests, Korean flours were found to have a higher setback viscosity and lower swelling power than Australian flour. Additionally, Korean flours had higher water absorption values. Protein content of flour was an important parameter affecting the firmness of Korean noodles, whereas setback viscosity and swelling power were the major determinants of elasticity. Overall, the important parameters for determination of the quality of Korean salted noodles were high setback viscosity, low swelling power, and high protein content.

인공 퇴적암의 모래입자 크기와 함량이 역학적 성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Grain Content and Size on Mechanical Properties of Artificial Sedimentary Rocks)

  • 변훈;;송재준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8권2호
    • /
    • pp.156-169
    • /
    • 2018
  • 퇴적암의 역학적 성질과 구조적 성질간의 관계는 오랫동안 연구되었다. 그러나 암석의 불균질성과 실험에서 여러 구조적 성질 중 오직 하나의 영향인자만을 변화시키는 것의 어려움 때문에 실험 결과들간의 불일치가 관찰되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인공 퇴적암을 사용해 역학적 성질에 영항을 미치는 모든 요인을 통제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실제 암석에 비해 균질성을 높였다. 이로 인하여 실험 결과들의 편차가 낮아졌으며, 실제 암석에 대한 실험보다 더욱 명료한 상관관계가 밝혀졌다. 실험에 사용된 시료는 반수석고 파우더를 물과 규사와 혼합하여 만들었으며, 완성된 형태의 인공 퇴적암은 입자 알갱이로서의 모래와, 교결물질로서의 석고로 이루어졌다. 이 인공 퇴적암으로 모래입자의 비율과 크기가 일축압축강도, 탄성계수, 그리고 탄성파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모래입자의 비율을 높일수록 일축압축강도는 줄어들었으며, 탄성계수와 탄성파속도는 증가하였다. 전반적으로 모래입자의 크기는 암석의 역학적 성질과 비선형적인 관계를 보였다. 여기에서의 연구 결과는 추후에 다른 종류의 교결물질이나 입자 알갱이를 사용한 연구와 통합될 수 있다. 이로부터 입자 알갱이나 교결물질의 종류, 혹은 교결물질과 입자 알갱이 간의 상호작용 등이 암석의 역학적 성질에 끼치는 영향에 대한 고찰이 가능할 것이며 그 결과는 다양한 종류의 퇴적암에 적용 가능할 것이다.

대두단백 11S와 7S 분획의 젤 형성 특성 및 이틀 이용한 커드와 치즈의 텍스쳐에 관한 연구 (Gelling Characteristics of 7S and 11S Soybean Proteins and its Relation to the Texture of Soybean Curds and Cheeses)

  • 이경원;박은순;윤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38-344
    • /
    • 1989
  • 7S와 11S 대두단백 분획의 gelling 특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Ca^{++}$의 첨가 및 젖산 발효에 의해 커드를 조제하고 미세구조와 텍스쳐 특성을 비교하였다. 또한 이들 커드를 원료로 치즈를 제조하고 Instron과 관능 경사를 통하여 텍스처를 평가하였다. 대두 커드의 미세구조를 SEM으로 관찰한 결과 망상구조내의 단백질 입자가 응고제간에서는 lactic starter로 제조한 커드가 $CaCl_2$로 제조한 커드보다 더 컸고 단백질 분획간에는 11S 분획이 7S 분획에서보다 더 컸다. Instron에 의한 텍스처 측정치는 lactic starter로 제조한 커드와 치즈가 $CaCl_2$로 제조한 커드와 치즈에 비해 경도, 뭉치는 성질 및 저작성이 높았으며 단백질 분획간에서는 대두단백 11S분획이 분리대두단백과 7S 분획보다 경도, 응집성, 탄성 및 뭉치는 성질이 컸다. 관능검사 결과 11S 분획으로 제조한 치즈가 맛, 경도 및 저작성에서 높은 수치를 나타냈으나 선호도 검사에서는 분리대두단백으로 제조한 치즈가 색상, 저작성 및 깨지는 성질에서 높은 수치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써, 대두단백 11S분획으로 치즈를 만들 때 색상만 개선시키면 새로운 식품으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밝은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절단시험과 압착시험에 의한 배추잎의 조직감 측정 비교 (Comparison of Cutting and Compression Tests for the Texture Measurement of Chinese Cabbage Leaves)

  • 이철호;황인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749-754
    • /
    • 1988
  • 김장용 배추잎의 조직감 평가를 위하여 절단시험 및 압착시험에 의한 기계적 측정을 시도하였으며 관능검사 결과와 비교하였다. 배추잎의 절단강도는 소금절임이나 가열데침에 의하여 증가하였으며 15% 식염용액에서 5시간 절임으로써 최대치에 도달하였다. 압착시험에서 얻은 압착강도와 회복높이는 가열데침이나 소금절임에 의하셔 감소되었으며 파열점은 소실되었나. 생배추를 $CaCl_2$ 용액에 처리할 경우 절단강도, 압착강도, 파열강도가 모두 증가하였으나 절임배추나 가열데침한 배추에서는 $Ca^{++}$의 이러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배추잎의 절단 장도는 절임배추의 견고성과 씹힘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압착강도는 파열강도는 가열데침에 의한 배추잎의 조직감 변화를 나타낼 수 있었으나 소금절임한 배추의 견고성이나 씹힘성 지표로는 사용될 수 없었다.

  • PDF

Optimization of Drying Temperature and Time for Pork Jerky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Yang, Han-Sul;Kang, Sung-Won;Jeong, Jin-Yeon;Chun, Ji-Yeon;Joo, Seon-Tea;Park, Gu-Boo;Choi, Sung-Gil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4호
    • /
    • pp.985-990
    • /
    • 2009
  •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was applied to determine the optimum drying conditions for pork jerky.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ork jerky, such as final moisture content, water activity (Aw), pH, and shear force were investigated. In addition, sensory characteristics of pork jerky were evaluated and were used as a parameter for determining the optimum condition. Pork jerky samples were dried at different temperatures between 40 to $80^{\circ}C$ for the time ranged from 0 to 10 hr. The predicted values for moisture content, Aw, and shear force of dried pork samples were in good agreement with the experimental values with correlation coefficients ($R^2$) of 0.95, 0.96, and 0.97, respectively. Both drying temperature and time significantly (p<0.01) affected moisture content, Aw, pH, and shear force and their interactions were also significant at p<0.01 except for Aw. RSM showed the optimum drying conditions for pork jerky, based on moisture content, shear force, and sensory evaluation to be oC$65-70^{\circ}C$ for 7-8 h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