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xtbook Development Procedure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31초

문헌정보학 교재개발방법 제안 및 실제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Practical Application of LIS Textbooks)

  • 노영희;안인자;최상기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51-184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문헌정보학의 주요 교과목에 대한 교재개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교재개발 절차를 매우 자세하게 제시함으로써 다른 교과목의 개발 시 참조할 수 있도록 하였다. 교재개발절차는 1) 주요 교과목의 주교재 조사 분석, 2) 직무분석결과로부터 교과내용 도출, 3) 자문위원 평가 및 의견반영, 4) 최종 교재목차를 장, 절, 항 수준까지 제안 등이다. 연구결과로 제안된 교재목차는 문헌정보학개론, 정보서비스론, 도서관경영론, 정보조직론, 정보검색론, 도서관실습 교과목에 대한 것이다. 모든 과목에 대해 장, 절까지 제안하고 있으며, 세부 내용에는 해당 장, 절에서 다루어질 수 있는 내용을 모두 나열함으로써 교수자의 재량에 따라 선택하여 교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기르는 초등학교 실과 교과서 '생활 속의 전기.전자' 단원의 개발 (Development of Practical Arts Textbook of 'Real Life's Electricity and Electronics' unit for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ies)

  • 박형서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51-180
    • /
    • 2011
  • 이 연구의 목적은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기르는 초등학교 실과 교과서 개발 모형을 개발하였고 2007 개정 교육과정에 터한 창의적인 문제해결력을 기르는 실과 교과서 '생활 속의 전기 전자' 단원을 개발하였다. 이 연구에서 개발된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기르기 위한 초등학교 실과 교과서 개발 모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과 교과서 개발 모형은 연구개발형 교과서로 기획준비 단계, 연구 개발 단계, 집필 편찬 단계, 심의 평가 단계로 구성되었다. 둘째, 실과 교과서 개발 모형의 집필 편찬 단계의 타당성이 4.21로 가장 높았고, 연구 개발단계의 타당성의 평균이 4.14로 그 다음이며, 교과서 개발 단계 중에서는 심의 평가단계의 타당성의 평균이 3.50으로 가장 낮았다. 교과서 개발 모형의 준비 단계에서는 실과 교과서를 개발하는 데 있어 요구 분석과 개발 계획을 수립하는 단계이다. 둘째, 연구 개발 단계는 외국의 실과 교육을 분석하고 학교 현장의 실태를 분석하여 교과서 집필 지침을 마련하는 단계이다. 셋째, 집필 편찬 단계에서는 실과 교과서 집필세목을 확정하고 단원별 실과 교과서를 집필하는 단계이다. 단원별 원고를 집필하며 삽화 및 사진을 구성하고 집필진 협의회를 통하여 원고본을 반복적으로 수정하고 보완하는 단계이다. 넷째, 심의 평가 단계에서는 현장의 교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타당도를 검증하는 단계이다. 이 연구는 2007 개정 교육과정에 터한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기르는 실과 교과서 '생활 속의 전기 전자' 단원을 개발하였다.

검색기능을 지원하는 초등 디지털교과서의 개발 (A Development of Elementary Digital Textbook with retrieval function)

  • 이용배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425-437
    • /
    • 2011
  • 최근까지 개발된 디지털교과서는 전자칠판, 학습도구, 멀티미디어 등의 기능은 포함하였지만 자료검색 지원에는 취약점을 갖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검색기능을 지원하는 초등학교 디지털교과서를 개발하는데 목표를 두었다. 이를 위해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검색기능 수요조사를 실시하였고 조사결과를 기반으로 디지털교과서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개발된 디지털교과서는 XML로 기술되었고 의미 있는 단락 모음별로 검색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디지털교과서의 사용후 설문에서 수업에의 유용성과 향후 사용의지에도 90% 이상의 교사가 긍정적으로 답하여 앞으로 초등학교에 보급될 디지털교과서에 검색기능이 반영되면 교수-학습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 PDF

고등학교 가정과 교과서에 나타난 의복구성 분야 내용 분석 (The Comparative and Analytic Study on Clothing Construction Area in the Contents of High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s)

  • 이경화;이혜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6권8호
    • /
    • pp.1274-1285
    • /
    • 2002
  •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help the authorized textbooks on home economics be selected and used effectively, to provide basic data that are needed to improve the quality of home economics textbooks, and to suggest a next curriculum on home economics. In the study, eight high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s for "6th Curriculum developed by Ministrv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re were wide differences in degrees of diversity and accomplishment in the contents of textbooks. In comparison, it was unfolded that three areas, "family", "home resource management" and "consumer" ,occupied much larger portions than other areas. About 81 percent of the authors of home economics textbooks were professors. A contents analysis on the clothing area showed that every textbook includes costume culture, clothing materials, clothing maintenance, and clothing construction. The presentation coverages and relative difficulties of textbooks were, however, diverse. It is somewhat noticeable that, while fewer professors majoring in clothing construction participated in writing, generally more pages were allocated to clothing construction than other areas. While presentations on anthropometrics method, construction theory, draft theory, usage of sewing machine and fitting theory were insufficient most textbooks were dealing with drafting of basic slopers and sewing procedure, etc. Making-up techniques on the apparels items such as Korean traditional men's pants, pajamas, shirt vest skirt, pants, apron and Korean pouch were handled closely in each textbook.

초등학교 $3{\sim}4$학년 차세대 과학 교과서 체제 개발 연구 (Developing an Innovative Framework of Grade $3{\sim}4$ Science Textbooks)

  • 임채성;윤혜경;장명덕;임희준;신동훈;김미정;박헌우;이인선;권치순;이대형;김남일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6권5호
    • /
    • pp.580-595
    • /
    • 2007
  • To respond to the announcement of the revised version of science curriculum early this year, it has been necessary to develop new science textbooks which can be appropriate and effective to achieve the goals of the revised curriculum. The system of new textbooks needs to embrace the concerns of cognitive development in scientific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as well as social and cultural demands in the rapidly changing society. To develop an innovative framework of science textbooks, we examined previous studies on textbook analysis in Korea and analyzed science textbooks in the United States, Singapore, and Japan. We analyzed various ways of introducing and developing conceptual knowledge, leading scientific inquiry skills and process, enhancing scientific attitudes toward science, technology, society and the environment in those science textbooks. In the process of framing the structures of textbooks, we focused on ways of increasing educational effects of visualized texts, leaners' interest, user-friendly procedure, scientific inquiry, effectiveness of hands-on activities, scientific reading and writing skills, and usage of workbook. Based on those aspects and analyses of textbooks, we attempted to propose a feasible framework of Grade $3{\sim}4$ Science textbook which can effectively respond to the educational changes and demands in the local and global society.

  • PDF

2015 개정 중학교 가정 교과서 세계시민교육 내용 분석 (Analysis of the Content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the 2015 Revised Home Economics Textbook)

  • 허영선;김남은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11-133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가정과 교과서를 중심으로 세계시민교육에 대한 내용을 분석하여 가정과에서의 세계시민교육과의 관련성을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병행 삼각 설계(concurrent triangulation design)의 절차에 따라 세계시민교육의 기준틀(UNESCO의 TLO)의 관점에서 2015 개정 중학교 가정과 교과서에 나타난 세계시민교육의 내용을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TLO의 9가지 주제에 대해 빈도를 조사한 결과 세계시민교육 내용은 2015 개정 가정과 12종 교과서 전체에서 세계시민교육 관련 주제가 다뤄진 비율 중 사회·정서적 영역은 54.6% 정도를 차지하였다. 특히, TLO 4가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고 TLO 5, TLO 1의 순으로 나타났다. 중학교 12종 가정과 교과서에서 추출된 세계시민교육 학습 주제를 가정과 학습 영역별로 분류해 본 결과 아동·가족생활 영역(94개)은 모든 학습 주제와 가장 큰 관련성을 보였으며, 식생활(13개), 의생활(13개), 주생활(15개), 소비생활(14개)은 비슷한 분포로 학습 주제를 나타내었다. 아동·가족생활 영역은 청소년기 발달과 특징, 가족 관계, 성폭력과 가정 폭력 예방, 변화하는 가족과 건강가정, 저출산·고령사회와 일·가정 양립, 생애 설계와 진로 탐색에서, 식생활 영역은 청소년기의 영양과 식행동, 식품의 선택과 안전한 조리에서, 의생활 영역은 의복 관리와 재활용에서, 주생활 영역은 주생활 문화와 주거 공간 활용, 주거생활과 안전에서, 소비생활 영역은 청소년기의 소비생활 내용 요소가 세계시민교육의 학습 주제와 관련성이 있었다. 이처럼 세계시민교육 학습 주제와 가정과 모든 학습 영역별 학습 내용 요소와의 관련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에 가정과에서는 세계시민교육과 가정교과와의 관련성을 이해하여 어떻게 적용될지 파악하여 앞으로 세계시민교육과 관련된 프로그램 개발과 수업 개선 및 교과서 개발의 방향 설정이 필요할 것이다.

Study on Effective Visual Resources According to Their Role in Teaching-Learning Activity - In the “Regularity in Chemical Reactions” Unit in the Ninth Grade Science Textbook

  • Park, Jong Keun
    • 대한화학회지
    • /
    • 제60권5호
    • /
    • pp.327-341
    • /
    • 2016
  • This study explores the effective visual resources in the “regularity in chemical reactions” unit of ninth grade science textbooks (2009 revised version). The frequency and role of visual resources were initially examined, and the students’ perceptions of visual resources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represented the learning material presentation (68%), motivational categories (14%), guide to inquiry procedures (9%), and inquiry results and summaries (8%). According to the investigation of the students’ perceptions of visual resources, the most effective visual resource for motivation is a photograph depicting physical and chemical changes, such as in bread baking and the most effective for learning material presentations in mass conservation, definite proportion, and stoichiometric concept units were a cartoon, graph, and formula representing stoichiometric phenomena, respectively. The most effective resource for guide to inquiry (experimental) procedures were photographs of both instruments and sequential experiment processes; and in the inquiry results and summary category, incomplete tables and graphs for students to work on themselves. The aims of this research are to increase the usefulness of visual resources in the teaching-learning activity and provide informative supplements for the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visual resources, according to the students’ perceptions.

자율주행자동차를 주제로 한 역공학 기반 STEAM 프로그램 개발 (The Development of STEAM Program based on Reverse Engineering on the Subject of Autonomous Vehicle)

  • 정해영;김기수;윤지아;김영민;허혜연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64-183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역공학을 기반으로 한 STEAM 교육 프로그램을 자율 주행 자동차를 주제로 개발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역공학을 기반으로 한 STEAM 프로그램을 5단계를 거쳐 개발하였다. 자율 주행 자동차를 주제로 분석, 설계, 개발, 실행, 평가 단계로 개발하였다. 먼저 분석 단계에서 역공학을 기반으로 하는 STEAM 교육의 정의, 목표, 내용 영역 및 교수 및 학습 방법을 선정하였다. 또한 세부 목표와 내용 영역을 추출했다. 두번째, 설계 단계에서 전문가와의 협의를 거쳐 주제를 선정하고, 2015 개정 교육 과정과 STEAM 교육 과정의 연계성을 바탕으로 교육 목표와 학습 내용을 선정하고 정리하였다. 다음으로 개발 단계에서는 교사용 교수학습 지도서와 학생 교과서를 개발하고, 서울 소재 OO중학교 2학년 71명에게 예비 적용한 후 수정 보완하였다. 실행 단계에서는 충청남도에 위치한 OO중학교 학생 120명을 대상으로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효과성 분석을 위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평가 단계에서 실시한 프로그램을 토대로 교사 및 학생 대상으로 평가가 이루어졌으며 그 결과에 따라 수정하고 보완하였다.

잎화석의 CLAMP 탐구를 통한 고등학교 기후변화 교육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Climate Change Education Program in High School Based on CLAMP Inquiry of Fossil Leaves)

  • 윤마병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27-39
    • /
    • 2019
  • 본 연구는 고등학교 '통합과학' 교과와 연계하여 CLAMP(Climate-Leaf Analysis Multivariate Program) 고기후 탐구를 통해 기후변화 교육을 할 수 있는 STEAM 프로그램을 개발했다. PDIE 교수 설계 모형에 따라 2015 개정교육과정과 과학 교과서를 분석했고, 전문가 패널과 pilot test를 통해 10차시의 수업자료를 개발했다. STEAM 수업 과정에 따라 상황제시 단계에서는 학교 부근의 광엽수종에서 잎을 수집하여 LMA(Leaf Margin Analysis) 기후 탐구활동으로 학습목표를 제시했다. 창의적 설계 단계에서는 연구 지역의 지질과 화석에 대해 학습했고, CLAMP 입력자료(잎화석의 인상학적 31가지 특성)를 분류하는 실습을 했다. 감성적 체험과 새로운 도전 단계에서는 야외학습으로 화석을 채집하고, CLAMP 방법으로 고기후를 탐구하며 신생대의 기후 변화 경향과 원인에 대해 토의하는 과정에서 기후소양을 함양하게 하였다. 개발 프로그램의 타당도 검증은 전문가 패널 간의 신뢰도 구축 과정을 통해 모든 항목에서 개발 목적에 적합하다는 평가(CVI .84)를 받았다. 이 프로그램을 고등학교 현장에 적용하기 위해서 불일치 사항을 보완하고, 적합성을 검토하기 위해 예비수업을 실시했다. 참여한 학생들의 수업만족도는 4.48이었고, 이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프로그램을 완성했다. 이 연구는 고등학생들에게 기후변화에 대한 실천적 지식과 대응 행동 의지를 갖게 하고, 기후소양 함양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천리안 위성 2A호 영상을 활용한 태풍 경로 시각화 탐구활동 수업자료 개발 (Development of Inquiry Activity Materials for Visualizing Typhoon Track using GK-2A Satellite Images)

  • 임채영;박경애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48-71
    • /
    • 2024
  • 태풍은 지구 시스템 내 상호작용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해양-대기 현상으로 최근 들어 기후변화로 인해 점점 더 강력해지는 추세이다.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은 미래 사회 시민으로서의 디지털 소양 함양을 위하여 첨단 과학기술을 활용한 교수-학습 활동의 중요성에 대해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교과서 삽화의 시공간적 한계점을 해결하고 지구과학 분야에서 다루는 전지구적 규모의 빅데이터를 활용한 효과적인 수업자료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PDIE (준비, 개발, 실행, 평가) 모형의 절차에 따라 천리안 위성 2A호 영상 자료를 활용하여 태풍의 경로를 시각화하는 탐구활동 자료를 개발하였다. 준비 단계에서는 2015 및 2022 개정 교육과정과 현행 교과서의 탐구활동 내용을 분석하였다. 개발 단계에서는 관측 데이터를 수집, 처리, 시각화, 분석할 수 있는 일련의 과정들로 탐구활동을 구성하였으며,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GUI (Graphic User Interface) 기반 시각화 프로그램을 제작하였다. 실행 및 평가 단계에서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업을 진행하였으며 코드를 활용한 수업과 GUI 프로그램 활용 수업을 각각 실시하여 각 활동의 특징을 비교하고 학교 현장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수업자료는 전문적인 프로그래밍 지식이 없어도 GUI 기반으로 실제 관측 데이터를 활용한 탐구활동에 활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학생들의 지구과학 분야의 이해도와 디지털 소양 함양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