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chnological Innovation

검색결과 1,321건 처리시간 0.032초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촉진을 위한 우수조달물품 지정제도 평가항목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echnology Evaluation Index for Superior Product Selection in the Public Procurement System : Focusing SME Technological Innovation)

  • 조대명;이세헌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9-26
    • /
    • 2014
  • With the radical changes and advancements of industrial economy, it is required to secure product competitiveness through technological innovations to overcome uncertain environments and generate a driving force for sustainable growth. So the Korea government introduced the superior product selection system in 1996 and has granted such incentives as priority purchasing and contracts the products of SME whose technological capabilities have passed the screening criteria. After analyzing the ambiguity of the evaluation procurement used in designation of excellent product, this study proposed seven detailed indexes for evaluation.

Sources of Income Polarization in Korea: Globalization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 Shin, Taeyoung
    • STI Policy Review
    • /
    • 제7권2호
    • /
    • pp.1-15
    • /
    • 2016
  • This study provides empirical evidence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income inequality and economic growth, and relationship of income inequality with some of explanatory variables such as technological innovation, trade globalization, financial globalization and fiscal policy. We find out that income inequality has an adverse effect on economic growth, showing its dynamic features, for which we employed the polynomial distributed lags (PDL) model. The effect of income inequality on economic growth lasts over 9 years, and its dynamic effect peaks after 4 years. In addition, we also attempted to find out empirical evidences of sources of income inequality. The results show that income inequality is positively related to technological innovation, financial globalization, and fiscal policy; negatively related to the trade globalization. Many studies employ cross-country data, but it could have serious problems in collecting statistical data. Korean data is used over the time period of 1990-2015 in this study.

충남 북부지역의 지역혁신역량과 기업의 기술혁신활동 (Regional Innovation Capabilities and Firms' Technological Innovation Activities in Chungnam Province of South Korea)

  • 김병근;엄기용;유흥열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265-289
    • /
    • 2009
  • 지난 참여 정부에서 지역균형발전정책의 하나로 지역혁신정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면서 지역혁신체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왔다. 그러나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들은 아직까지 지역혁신체제와 지역혁신역량에 대한 개념 파악이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지역혁신체제에 관한 논의는 많이 있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개념 정립이 부족한 상태이며 학자들 사이에서도 많은 이견이 존재한다. 그리고 지금까지 혁신역량에 관한 논의 및 연구는 대부분 국가 차원에서 이루어져 왔고, 지역 차원에서의 혁신역량 분석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맥락 하에서 본 연구는 지역혁신역량과 기업의 기술혁신활동에 대한 분석을 통해 지역 산업발전을 위한 토대 구축에 기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대한민국의 중심부이며 첨단산업의 메카인 충남북부지역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여 혁신 주체들이 인지하는 지역혁신역량의 구성 내용, 기업의 혁신활동과 혁신활동의 지역화 간의 관계 등에 대한 설문조사를 수행하고, 학술적 및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 PDF

기초기술연구회 및 출연(연)의 혁신경영 전략 (The Managing innovation strategies for the Korea Research Council of Fundamental Science & Technology and Government Sponsored Research Institutes)

  • 이경재;황두희;정동덕;이성우;조성복
    • 한국기술혁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기술혁신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28-248
    • /
    • 2005
  • This paper suggests the concept of the innovation management. Above all it is important to make excellent application of the management for the S&T Research Council and Government Sponsored Research Institutes. This paper will discuss three critical issues that is, the first, what makes clear a point of different strategy for the organizational and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focused organization. Second, how makes containing the environmental factors and the target of the innovation into the innovation management strategy. Third, how achieves the performance through the managing innovation. We present a modified BSC strategy in order to manage innovation and to set up a platform for sustaining to deal with the innovation.

  • PDF

User industry and accumulation of technological capabilities of producers-Finnings from the Korean machine tool industry

  • 임채성
    • 기술경영경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기술경영경제학회 2001년도 제19회 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71-95
    • /
    • 2001
  • This study reveals that the user industry has a limited role as a source of technological capability in the case of the machine tools in Korea where the user industry is relatively mope advanced than other capital goods industry. The study examined the sources of technological capability in terms of migration of workforce and flow of product design information. Although the capital goods sector is generally regarded as being the sector where the user producer interaction is important the user industry failed to be the seed-bed of technological capability to develop machines. This study argues that this finding could have implications to the specificity of capital goods in a developing country.

  • PDF

Two Stages of R&D Spillovers: Technological and Economic Impacts

  • Cho, Kawon
    • STI Policy Review
    • /
    • 제1권3호
    • /
    • pp.53-68
    • /
    • 2010
  • This paper empirically evaluates the effects of regional and industrial R&D on the performances of individual firms in two separated stages: (1) the stage of technological outcome from R&D and (2) the stage of economic outcome from technological outcome. Technological spillovers are separated from negative congestion effects through the stage-specific estimation. The firm-level Korean Innovation Survey data merit in coping with the endogeneity problem inherent in the estimation of spillovers. The estimation results show that: (1) there exist significant R&D spillovers both in regional and industrial dimensions, (2) the hypothesized technological spillovers and economic congestion effects are both in effect, and (3) firms with smaller individual R&D investments show greater spillovers.

대구지역 중소기업의 조직문화와 기술혁신: 고용안정성과 환경불확실성의 조절효과 (Organizational Culture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of SMEs in Daegu: The Moderating Effect of Job Stability and Environmental Uncertainty)

  • 임재현;신진교;황수정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1권1호
    • /
    • pp.183-203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기술혁신 관련 기존 연구에서 실증연구가 부족한 조직문화와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과정에서 고려되어야 할 고용안정성과 환경불확실성을 도입하여 실증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조직문화와 기술혁신(제품혁신, 공정혁신) 간 관계, 그리고 이들 간 관계에 대한 고용안정성과 환경불확실성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258개 대구지역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조직문화는 제품혁신에는 긍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공정혁신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고용안정성의 긍정적인 조절역할은 조직문화와 제품혁신 간에만 존재하였으나, 환경불확실성은 조직문화와 제품혁신, 조직문화와 공정혁신 간 모두를 긍정적으로 조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실증분석 결과가 가지는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 등도 함께 논의하고 있다.

  • PDF

비공식적인 연구개발 활동이 기술혁신에 미치는 영향 (Rethinking Informal R&D Activities: Its Impact on Technological Innovation)

  • 오치훈;문성욱;안준모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302-323
    • /
    • 2016
  • 내부 연구개발 같은 공식적인 연구개발 활동은 기술혁신을 견인하는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어 왔으나, 직무훈련, 진보된 생산기술의 도입, 디자인 활동 같은 다양한 부대적인 혁신 관련 활동들도 기술혁신 성과를 제고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고는 이러한 비공식적인 연구개발 활동 여부가 기업의 기술혁신 도입에 차이를 가져오는지, 공식적인 연구개발 활동 중심 집단과 비공식적인 연구개발 활동 중심 집단 사이에 기술혁신 도입 차이가 있는지를 2012년 한국 기술혁신 활동 조사 데이터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비공식적인 연구개발 활동이 공정혁신 도입에 유의한 차이를 유발할 수 있으며, 내부 연구개발 활동에만 집중하는 기업보다, 디자인 마케팅 같은 비공식적인 연구개발 활동을 함께 추진하는 기업들이 제품혁신을 더 활발히 도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1) 혁신주체들이 공식적인 연구개발 활동과 함께 비공식적인 연구개발 관련 활동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하며, (2) 정부의 혁신지원정책도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수립되어야 함을 정책적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국내 벤처기업의 성장단계별 외부자원 활용이 기술혁신 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Utilization of External Resources on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Performance Along the Stages of Growth in Korean Ventures)

  • 강원진;이병헌;오왕근
    • 벤처창업연구
    • /
    • 제7권1호
    • /
    • pp.35-45
    • /
    • 2012
  • 본 연구는 2008년 벤처기업정밀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벤처기업의 외부자원 활용, 특히 외부협력 네트워크 활용, 정부정책자금 활용과 벤처캐피탈 자금 활용이 기술혁신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으며, 나아가 외부자원 활용이 기술혁신 성과에 미치는 효과가 성장단계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도 함께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외부자원 활용과 관련된 모든 변수 즉, 외부협력 네트워크 활용, 정부정책자금 활용, 벤처캐피탈 자금 활용은 기술혁신 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벤처기업의 성장단계에 따른 조절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다만 추가 분석에서 기술혁신 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외부자원 활용의 유형에 따라 성장단계 별로 차이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 PDF

기술혁신의 선행요인과 성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tecedents and Performance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in Small-Medium Ventures)

  • 선종학;김승운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6호
    • /
    • pp.67-79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중소벤처기업의 기술혁신을 유발하는 선행요인이 무엇인지, 그리고 기술혁신이 기업의 재무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따라서 기업의 외부환경 (국내·해외 시장 점유율, 정부의 규제 및 지원, 경쟁의 격화정도)과 기업의 내부 경영자원으로서 유형자원(R&D 투자규모, 기업크기, 기업의 연령), 무형자원 (기업의 능력, 의사결정의 중앙집중화 정도), 및 인적자원 (R&D 관련 인력의 질적 수준)과 기술혁신의 관계를 검토하였으며, 또한 기술혁신과 기업의 재무성과 관계를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해외시장 점유율, R&D 투자규모, 기업의 규모, 기업능력, 중앙집중화 등의 요인이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특허권, 지적재산권)에 유의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기술혁신은 기업의 매출액 및 총자산과 유의적 관계가 있다는 분석결과가 제시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기업이 기술혁신을 효과적으로 추진하고 그 성과를 실현하기 위한 전략적 선택을 모색하는데 어느 정도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