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chnical high schools

검색결과 130건 처리시간 0.028초

공업고등학교 안전교육 내용 체계 개발 연구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Safety Education System for Technical High Schools)

  • 이규은;정혜선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69-183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afety education system and its contents for technical high schools including textbooks and instruction manuals for teachers. Methods: Reference materials and surveys were both employed in the study. Basic theory and relevant contents were estimated. The contents of safety education included in the current curriculum in technical high schools were evaluated and the laws and regulations related to safety education in such schools were analyzed by researching references. In addition, the status of safety education in technical high schools and the demand for safety education were reviewed. Results: The goal of safety education has been established based on the status and theory of the estimated safety education, The goal was classified into an overall goal and sub-goals, setting five areas of safety education. Furthermore, the contents of safety education, total 17 hours per year for each grade, were organized into 20 content goals and 47 activity elements. These activity factors of safety education has been systemized by grade. Conclusion: All technical high-schools need to carry out safety education based on the contents related to safety education. The operation of this systematic safety education will be more efficient and effective than the current system and the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 regarding safety at technical high schools are expected to undergo positive changes. Moreover, the result from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various policies for safety education in technical high schools.

  • PDF

우리나라 공업고등학교의 안전 . 보건 교육실태 조사 (A Survey on Safety and Health Education in Technical High Schools in Korea)

  • 박순우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29
    • /
    • 1999
  • Safety and health education in technical high schools is especially important because the great majority of the students engage in the industrial field after graduation. But there are few reports on the state. of safety and health education in technical high schools in Korea.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problems of the present safety and health education in technical high schools in Korea and to propose the ways of improving health and safety education. To conduct this study, the textbooks for health and safety related courses, i.e., Introduction to Industry, Gyoryun(dril), and Physical Education, were reviewed. A questionnaire was mailed to the teachers of Introduction to Industry, Gyoryun, Physical Education, and school nurses in 188 technical high schools and the teachers of Gyoryun, Physical Education, and school nurses in 376 general high schools in November 1997. The final response rates were 42.0% for teachers of Introduction to Industry, 62.9% for teachers of Gyoryun, 47.9% for teachers of Physical Education, and 33.0% for school nurses. Also, a survey by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on the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about safety and health was conducted from May through July 1998 among 44 employees graduated from technical high schools and 44 employees graduated from general high schools since 1995. The analysis of the textbooks showed that the contents of the ‘Industrial Safety and Environment’ section in Introduction to Industry were rather for safety managers than industrial workers and the contents about occupational hygiene and health were scanty. The majority of ‘Accident and Disaster’ and ‘Hazardous Substances’ section in Gyoryun overlapped with those in Introduction to Industry and several mistakes about health related descriptions were found. Some contents of Physical Education. ‘Mental Health’. ‘Emergency Care’. ‘Communicable Disease’, ‘Noncommunicable Disease’, and ‘Food Hygiene’ overlapped with those of Gyoryun. The teachers lectured safety and health related sections of textbook completely in 84.8% for Introduction to Industry, 62.1% for Gyoryun, 20.8% for Physical Education and the most frequent reason for the incomplete education was shortage of time.

  • PDF

공업계 특성화고·마이스터고에서의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의 효과적인 적용에 대한 전문교과 교원의 인식 및 요구 분석 연구 (Analysis of the Perceptions of Teachers about Effective Application of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Based Vocational Education Curriculum in Technical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Meister High Schools)

  • 이병욱;안재영;강철민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11-129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공업계 특성화고 마이스터고에서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의 편성 운영 가능성과 기대 효과, 그리고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한 지원 방안에 대한 전문교과 교원의 인식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공업계 특성화고 마이스터고의 전문교과 교원 28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업계 특성화고 마이스터고 전문교과 교원들은 NCS를 기반으로한 인력 양성 및 활용 정책이 긍정적인 기대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이 학교 교육과정에 적용될 필요성이 크다고 인식한 반면, 2016학년도부터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을 학교 교육과정으로 편성 운영하는 것은 시기적으로 무리가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공업계 특성화고 마이스터고 전문교과 교원들은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을 적용함으로써 산업체 교육 요구 분석, 산업체 직무 기반의 교육목표 및 내용 설정, 산업체 직무 기반의 평가, 교원의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 역량 향상, 산학협력 및 지역사회와의 연계 측면에서 효과가 있을 것으로 인식한 반면, 이에 대한 실현 가능성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인식하였다. 셋째, 공업계 특성화고 마이스터고 전문교과 교원들은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하여 학교 운영 측면에서는 실습기자재 재정비 및 확충, 실습수업의 대상 학생을 15~20명 수준으로 감축, 교원의 현장 교육 역량 강화, 교원 수급 지원, 산학협력에 기반한 현장 중심 교육의 내실화, 학습모듈 등 NCS 기반 교재의 정규 교과서화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유관기관의 지원 방안 측면에서는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에 부합하는 취업 지원 및 현장 교육의 제공, NCS 능력단위별 현장 교수 지원,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에 터한 현장 실무 교육프로젝트의 제공, 산업체의 직무능력 평가제 도입 및 운영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공업계열 전문 교과 교사의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태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Industrial High Schools Technical Subjects Teachers' Perception and Present Situation and Towar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ESD))

  • 최재우;이은우;김동엽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13권3호
    • /
    • pp.183-189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dustrial High Schools Technical Subjects teachers'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 sustainable development(SD). The instrument consisted of totally 12 item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98 Industrial High Schools Technical Subjects teachers. The period of survey is from June 23 to July 15 of 2010. The questionnaire included items asking whether they heard about terms such as sustainability or sustainable development, the source of information on SD, the level of understanding or the urgent task 2 for SD in Korea. Result of survey is following. First, Teacher thought that urgent task for SD is conservation of natural environment. Second, Most of the teacher consider the concept SD as 'pursuing the balance between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and some of the teachers recognized the concept of SD in the paradigm of continuous economic development. Third, half of teachers have not heard terminology of SD .and 80% of them have not conducted ESD. Fourth, a few of teachers replied that obstacle of ESD is shortage of teacher's professionalism.

  • PDF

학교 적응유연성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전문계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Dangerous and protective factors of school resilience: focusing on the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 박수영;이창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653-664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전문계 고등학생의 학교 적응유연성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이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해 서울, 경기 지역의 전문계 고등학교 학생 573명과 인문계 고등학생 51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적응유연성과 위험요인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위험요인이 높을수록 학교 적응유연성은 낮게 나타났다. 둘째, 위험요인이 학교 적응유연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전문계고 학생들에게는 교사차별, 비행유대, 반사회성이 영향을 미쳤고, 인문계고 학생들에게는 교사차별, 비행유대, 우울이 영향을 미쳤다. 셋째, 학교 적응유연성과 보호요인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보호요인이 높을수록 학교 적응유연성은 높게 나타났다. 넷째, 보호요인이 학교 적응유연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전문계고 학생들에게는 교사지지, 학교의 민주적 분위기, 책임감, 가족응집력, 자아존중감, 합리적 부양태도로 나타났고, 인문계고 학생들에게는 교사지지, 민주적 학교 분위기, 책임감, 가족 응집력이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학교계열과 학교 적응유연성 수준에 따른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반사회성, 우울, 비행유대, 자아존중감의 변인에서 상호작용이 나타났다.

공업계 고등학교 인공지능교육을 위한 프로그래밍 수업 방안 (Programming class plan for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in industrial high school)

  • 김세민;홍기천;유강수;이충호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49-351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특성화 고등학교나 마이스터고등학교 등의 공업계 고등학교에서 인공지능교육을 위하여 프로그래밍 수업 방안을 설계하였다. 초·중학교나 일반계 고등학교에서는 시수 확보가 쉽지 않아서 많은 내용과 깊이 있는 내용을 진행하기 쉽지 않지만 공업계 고등학교에서는 넉넉한 시수가 확보되어 있어 좋은 환경에서 학습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공업계 고등학교에서는 인공지능 분야의 인력을 양성할 수 있는 좋은 환경을 갖추고 있다. 이를 위하여 기존의 인공지능교육관련 연구들을 탐구하였고, 기존의 공업계 고등학교의 프로그래밍 수업의 단원에 인공지능교육 관련 프로그래밍 수업을 접목하였다.

  • PDF

전문계 고등학교 농업기계 관련학과 재학생 전공 만족도 및 진로계획 실태조사 (Status Survey on Satisfaction Contentment and Career Plan of Students Majoring in Agricultural Machinery in Technical High Schools)

  • 정동욱;정선옥;노광모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36권2호
    • /
    • pp.147-152
    • /
    • 201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llect basic data for establishing a revitalization plan for agricultural machinery departments in technical high schools. A status survey on satisfaction and career plan of students majoring in agricultural machinery in technical highschool was measured. The survey results showed that the selection motivation for technical high school was mainly due to the academic score obtained during middle school, and an academic major for agricultural machinery was mainly based on personal interest and aptitude. About 90% of the students answered as "normal" or "satisfied" to the questions asking satisfaction level for agricultural machinery major and education. For career plan, 68.5% of the students answered as "entrance into academic schools for higher level education" and 31.5% answered as "employment". Most preferred higher level education area was "engineering" (30.8%) and "agricultural machinery" was only 12.6%. Expecting employment area was also automobile or other industrial machinery rather than agricultural machinery.

공업계열 특성화고 교사의 STEAM 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도 (Teacher's Recognition and Needs about STEAM Education in Specialized High Schools for Technical fields)

  • 성용구;김방희;김진수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68-88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공업계열 특성화고등학교 교사들의 STEAM 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도를 분석하였다. 전국 16개 시 도 공업계열 특성화고등학교 교사 750명에게 설문지를 발송하여 655매가 회수되었고 최종적으로 611매(보통교과 234매, 전문교과 377매)의 응답지를 바탕으로 실태, 인식, 요구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STEAM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도는 보통교과 교사에 비해 전문교과 교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STEAM 교육의 어려움에 대한 인식은 보통교과 교사가 전문교과 교사보다 높게 나타났다. 교수-학습 요구에서는 보통교과 교사는 참고자료 보급을, 전문교과 교사는 동일 교과 간 STEAM 수업 및 자료 공유 시스템 마련이 최우선 요구도 순위로 나타났다.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요구에서는 보통교과와 전문교과 교사 모두 창의적 사고력 문제해결력을 우선 요구도 순위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행 재정적 요구에서는 보통교과와 전문교과 교사 모두 행정적 업무경감이 우선 요구도 순위로 나타났다.

공업계열 직업계고에서의 과정평가형 자격 도입 가능성 및 운영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Utilizing and Management Course Assessment type of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at Industrial Secondary Vocational High Schools)

  • 이병욱;김신명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1-19
    • /
    • 2020
  • 본 연구는 공업계열 직업계고 교원의 인식을 기반으로 과정평가형 자격 도입 가능성 및 운영 방안 마련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이 연구에서는 공업계열 직업계고 교원의 과정평가형 자격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고, 과정평가형 자격의 도입 가능성과 기대 효과에 대한 동의 정도, 그리고 과정평가형 자격 도입 시 고려해야 할 사항에 대한 중요도와 필요 정도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업계열 직업계고 교원의 과정평가형 자격 제도에 대한 이해 정도는 보통 수준이나, 도입 취지와 목적, 그리고 필요 정도에 대한 동의 정도는 낮았다. 둘째, 과정평가형 자격을 취득하였을 때 얻을 수 있는 기대효과로는 교육을 받는 동시에 자격 취득, 구체적이고 유의미한 수행의 관점에서 학습목표 제시, NCS 기반의 체계적 교육·훈련 경력 개발 및 형성 가능, 산업 현장 중심의 지식과 기술 습득 가능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공업계열 직업계고에 과정평가형 자격을 도입할 때 고려해야 할 항목별 우선 순위를 도출하기 위하여 중요도와 필요 정도를 분석한 결과, 평균값보다 모두 높은 요구 영역으로는 과정평가형 자격 편성 시수 유연화, NCS 개정에 따른 적절한 경과 조치 마련, 필수능력단위 편성 시수 완화 등 인 것으로 나타났다.

실업계 고등학교 섬유디자인 교육에 대한 실태조사 연구 - 인천여자공예고등학교 섬유공예과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 (Case Analysis of Textile Design Education at Korean Technical High Schools Case Analysis of Inchon Gril's Polytechnic High School)

  • 유영미;김찬주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70-80
    • /
    • 2001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actual conditions of textile design education at technical high school in Korea, and to present possible solutions for improving its effectiveness. Inchon Girl's Polytechnic high School was selected as sample of case study because it was the only school which has textile design major. Survey was done through questionnaire and telephone interview. 100 students, 25 graduates, 8 teachers, and 8 managers of textile industry were involved in survey.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frequency, t-test, correlation. Statistical analysis resulted in the following suggestions to be considered for maximizing the effectiveness of the textile design education at technical high schools: First, the curriculum should be flexibly reorganized to come up with trends in the market and demands from industry, and also to stimulate and motivate students into the biggest achievements possible. Second, more weight should be given to practical design subjects which have proved to be preferred by students and industry by reducing class hours for non-design subjects or theoretical subjects. Third, equipments and facilities for practical exercise should be open to students anytime needed so that students can improve their practical skills without any restrictions. Fourth, new teachers having majored in textile design at the university should be employed and the existing teachers should be periodically re-educated to keep abreast with new knowledges and technology. Fifth, The solidarity and the connection between schools and companies should be reinforced, not only to provide graduates with more chances to get a job, but also to make education at schools refreshed and updat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