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m-teaching

검색결과 333건 처리시간 0.032초

의학교육 수월성 제고를 위한 교육과정 재설계 (Curriculum Redesign for Excellence in Medical Education)

  • 양은배
    • 의학교육논단
    • /
    • 제16권3호
    • /
    • pp.126-131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dical education system of Korea and to propose a method of curriculum redesign. Although there have been many attempts by medical educators to improve the quality of medical education, the results have not been fruitful. First, there exists a limitation to the dualistic curriculum design based on Flexnerianism, and thus, this model does not provide an integrated experience to medical students. Therefore, we propose a unidimensional model for curriculum redesign. Second, it is impossible to promote excellence in medical education without solving the structural problems of teaching and learning, such as the teaching competency of the faculty, large-scale lectures, and team teaching systems. A curricular strategy that emphasizes mutual interaction and teaching accountability is necessary to promote meaningful learning. Third, the current clinical training system, the circulation model, provides incomplete training as well as a lack of sequence and articulation experiences. This system needs to be redesigned in a way that allows only those students who have mastered both the knowledge and the application of medical education to advance to the next step. Fourth, norm-referenced assessments of a medical college distort the learning process and create unconstructive system energy. A criterion-referenced assessment that values cooperation, independent study, and intrinsic motivation is more important for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assessment. Medical students should not focus on formative and informative learning. Medical colleges should investigate the multifaceted potential of the students and provide transformative learning to grow students into change agents. For this to take place, curriculum redesign-not new methods of medical education-is required.

일반 수업과 IC-PBL 적용 수업의 비교를 통한 패션복 식사의 교육 효과 연구 (A Study on the Educational Effect of the History of Fashion and Costume through a Comparison of General Lecture and IC-PBL(Industry-coupled Problem-based Learning))

  • 정연이;이영재
    • 패션비즈니스
    • /
    • 제25권2호
    • /
    • pp.98-109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the case of class operation by paralleling a general instructor's lecture class and a IC-PBL class in a fashion design major course and comparing the educational effects. The teaching model of this study was designed to improve the ability to use the knowledge gained in accordance with the needs of the industrial field and to develop an independent learning ability. It will provide meaningful data. This study measured and considered the qualitative items of self-efficacy and changes in class perception through interviews and questionnaires completed by the learners after experiencing each general class and IC-PBL clas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irst, that in the History of Fashion and Costume class, the general teaching method and the IC-PBL teaching method were applied in parallel to design a class, and a method case was presented. Second,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educational effects of the two teaching methods through a student questionnaire, IC-PBL was more effective in improving learning attitude, learning achievement and self-efficacy. In addition, after the IC-PBL class on History of Fashion and Costume, the students' negative perception of team activities improved, and the students' cooperative ability and creativity improved.

크레용 피직스를 힘과 운동에 적용한 융합교육 설계 및 평가 (Designing and Evaluating Convergence Education by Applying Crayon Physics to Strength and Motion)

  • 김미연;전미연;김의정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17-420
    • /
    • 2013
  • 게임을 통한 교수학습은 학습자의 부담을 덜 뿐만 아니라 학습에 대한 재미를 주면서 학업성취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과학기술에 대한 흥미와 이해를 높이고 융합적 사고와 문제해결 능력 향상을 위해 탐구 체험 활동 중심의 STEAM 교육이 강조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크레용 피직스를 활용한 STEAM 프로그램을 개발 하였다. 중학교 1학년 과학 [힘과 운동]을 중심으로 적용하였으며, 모둠별 학습자의 활동 위주로 총 4단계 8차시의 분량으로 구성 되었다. 각 단계를 통해 학습자는 힘과 운동의 원리를 이해하며, '게임을 통해 과학원리 찾기'단계에서는 모둠별 학습자의 협동을 통해 직접 게임을 해결해보고 게임 해결을 위해 적용될 수 있는 힘과 운동의 원리를 찾는다. 또한 새로운 게임을 직접 설계 제작해봄으로써 학습자의 융합적 사고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은 학습자의 창의성 증진과 과학 교과에 대한 흥미, 과학에 대한 긍정적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한다.

  • PDF

중위권 공과대학에서 학생 과제물 수행에 대한 문제점 분석 (Analysis on the Problems in Carrying Out Homework Assignments in a Middle Class Engineering College)

  • 백현덕;박진원
    • 공학교육연구
    • /
    • 제12권3호
    • /
    • pp.129-136
    • /
    • 2009
  • 본 논문은 홍익대학교 과학기술대학 재학생들의 과제물 수행에 대한 실태를 조사 분석하여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을 찾기 위한 것이다. 조사된 과제 수행의 문제점은 예상한 바와 같이 소수의 학생들만이 문제를 풀고 대부분 학생들은 동료들이 푼 것을 베껴서 제출하고 있다는 점이었다. 교수 및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그 원인은 학생들의 면학분위기가 조성되지 못함, 과제물이 학생들의 수준에 비해 너무 어려움, 학생들의 과제 수행을 도와 주는 제도적 장치의 미비 등으로 나타났다. 해결 방안으로 제시될 수 있는 것은, 첫째 장학생 제도의 운영방법을 개선하여 자격을 갖춘 과목 조교를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다. 둘째 교수들은 과제물 운영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더 적극적인 해결책을 찾는 것이다. 학습 효과 달성을 위해서 익히는 과정의 중요성을 교수방법에 반영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셋째 팀 단위 학습법을 과제물 운영에 적용하는 방안을 생각할 수 있다. 공동 작업으로 인한 과제물에 대한 심리적, 시간적 부담 경감, 모여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통한 면학분위기의 조성 및 팀워크 능력 배양, 교수의 과제물 평가와 피드백의 용이 등 이점이 확인되고 있다.

국내대학의 건축시공 교육과정 운영 및 교육혁신 실태 분석 (Analysis on the Curriculum Operation and Educational Innovation in Building Construction of Domestic Universities)

  • 김재엽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457-465
    • /
    • 2019
  • 기술과 사회는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발전하는 사회를 선도하는 대학교육도 끊임없이 변화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국내대학 건축시공 분야의 교육혁신실태 분석하였다. 중요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국내대학의 건축시공분야에서도 교육혁신 강의가 도입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0개 대학 중에서 5개 대학에서 혁신강의를 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도입되고 있는 혁신교수법은 팀기반학습과 플립러닝이었다. 혁신강의와 전통적인 강의의 가장 큰 차이점은 학생들이 자기주도학습을 하도록 유도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평가방법, 주별 강의일정, 학습을 위해 지원되는 도구 등에서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사회의 변화에 부응하기 위해 대학교육의 혁신을 위한 지속적인 연구와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신규간호사 교육체계에 대한 실태조사: 프리셉터십 운영을 중심으로 (Survey on the Education System for New Graduate Nurses in Hospitals: Focusing on the Preceptorship)

  • 신수진;박영우;김미정;김정현;이인영
    • 의학교육논단
    • /
    • 제21권2호
    • /
    • pp.112-122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the new graduate nurses' education system, to establish guidelines for the education of new graduate nurses, and to provide dates for the improvement of the education system. Eighty-nine hospitals participated in the survey from July to August 2018. The questionnaires consisted of 24 items including general characteristics, new graduate nurses' education system, operation of nursing education teams, and preceptorship programs. The average duration of education/training for new graduate nurses was 57.3 days, and 26.6%-58.5% of general hospitals, hospitals, and long-term care hospitals had less than 30 days of new graduate nurses education/training, which is shorter than the education/training period of tertiary hospitals. There were new nursing education guidelines in 88.8% of all medical institutions and 58.6% of them had nursing education teams. Most of the personnel in charge of nursing education were not dedicated to education. A total of 87.6% of the all participating medical institutions had preceptorship programs, while 23.1%-33.3% of hospitals and long-term care hospitals did not. The breakdown of preceptorship programs showed 68.4% as "preceptor and preceptee are in charge of one team, and preceptor is teaching preceptee," and 19.7% were "preceptor and preceptee are in charge of each team, and preceptor is teaching preceptee at the same time." These results show that standardization and management of new graduate nurses' education programs is necessary. For the standardization and management of new graduate nurses' education programs, joint efforts of nurses' associations and support from the government should be encouraged.

4차 산업혁명 시대 공학 분야의 진입 능력 함양을 위한 집중 이수제 공학 교육 운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peration of Intensive Coursework Engineering Education to Cultivate the Ability to Enter the Engineering Field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 장은영;윤석범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243-249
    • /
    • 2021
  • 대학 자체로 선정한 대학 고유의 핵심 6개 역량들 중에서 측정된 부족한 사항들을 강화시켜 교육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 학생 융합적 사고 역량과 자기 계발 역량을 최대화하는 집중 이수형 과목 형태로 공학 관련 전공 콜라주 과목을 신설하였다. 학부/학과간 공유형 교육과정으로 진행하였고, 2020학년 1,2학기 각각에서 2개 이수 집단(전기전자제어공학부 전자공학전공; 26명, 광공학과; 28명) 54명을 대상으로 공통된20개 문항들의 설문 결과를 종합,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응답자75% 이상이 장소와 시간에 자유로운 온라인 학습에 긍정적이었고, 녹화된 동영상 학습 시간내 추가적인 상호작용 활동들과 팀티칭(team teaching) 방식을 보강한 집중 이수 형태는 학습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고 판단한다.

일부지역 치위생과 학생들에 대한 치위생 교육과정의 팀기반학습이 학습동기와 자기주도 학습력에 미치는 효과 (A study on dental hygiene students effects of Team-Based Learning in the dental hygiene curriculum on learning motiv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ies)

  • 박인숙;김동기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27-140
    • /
    • 2010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pply team-based learning to dental hygiene students in theoretical oral prophylaxis class, one of required courses geared toward acquiring professional knowledge on preventive public health, as oral prophylaxis was counted among major duties of dental hygienists. It's ultimately meant to compare the effects of team- based learning and expository instruction on the learning motiv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ies of learners in order to discuss the effects of team-based learning in dental hygiene education. Methods :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60 dental hygiene students at C college. Out of them, 32 students who were freshmen as of 2007 were group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28 students who were freshmen as of 2006 were selected as a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was engaged in team-based learning from August 30 to December 6, 2007, and the control group took expository lessons from August 28 to December 8, 2006. Their learning motiv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ies were evaluated by using t-test, paired t-test and GLM analysis. Results :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experimental group scored better in learning motivation than the control group after they were engaged in team-based learning (p<.001). According to GLM analysis,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group gap in learning motivation, and the two group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in its subfactors involving attention, relevance and confidence(p<.05). 2. The experimental group excelled the control group at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ies(p<.05), and the team-based learning had a better effect on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ies than the expository instruction. Conclusions : Give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 team-based learning was more effective than the expository instruction at boosting the learning motiv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ies of the students. Therefore revised teaching methods should be prepared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dental hygiene courses, and the development of new instructional models and educational programs is required as well.

간호학 임상실습에서 디자인씽킹 기반 팀 프로젝트 학습 설계 및 적용효과 (A Design and Effect of Design Thinking-Based Team Project Learning in Nursing Clinical Practice)

  • 강명주;정경희;조정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336-348
    • /
    • 2019
  • 본 연구는 디자인씽킹 기반 팀 프로젝트 학습이 간호대학생의 공감력 및 문제해결의 적극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 팀 프로젝트 학습 참여경험을 분석하였다. 연구설계는 단일집단 전후설계에 의한 원시실험연구로 대상자는 N대학교 간호학과 4학년 간호관리학실습 교과목 수강자 64명이었다. 디자인씽킹 기반의 팀 프로젝트 학습은 2주간의 임상실습 중 매주 5일, 1일 1시간 30분, 총 10회기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2.0을 사용하여 paired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분석하였으며, 팀 프로젝트 학습 참여경험은 내용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디자인씽킹 기반 팀 프로젝트 학습 전과 후 대상자의 공감력(t=-2.94, p=.005)과 문제해결의 적극성(t=-6.23, p<.001)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공감력과 문제해결의 적극성 간에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634, p<.001)가 있었다. 팀 학습 참여경험은 디자인씽킹, 공감, 문제해결능력, 비판적사고의 4개 주제로 범주화 되었다. 연구결과 디자인씽킹 기반 팀 프로젝트 학습은 고객의 욕구를 찾고, 정의하고, 문제의 해결안을 창출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이해관계자 간 협업을 통해 문제에 대한 몰입도를 높이고 공감력을 발휘하는데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통합교과로서의 게임 프로젝트 교육과정 운영방안 탐구 (A Study of Game Project Curriculum for Integrated Subject)

  • 최승관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111-122
    • /
    • 2016
  • 본 연구는 이질적인 속성을 가진 학문분야들을 통합하여 하나의 교육과정으로 운영하는 프로젝트 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운영 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통합교과의 의미는 게임 현장에서처럼 게임 기획, 프로그램, 그래픽과 같은 이질적인 분야의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실제적인 하나의 결과물을 만들어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되는 프로젝트 중심의 교육과정에 대한 운영방안은 국내에서 2008년도부터 A 교육기관에서 진행해온 게임 프로젝트 교육과정을 토대로 실증 및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통합교과를 기반으로 하는 프로젝트 교육과정에 대한 운영 방안의 기준을 제시하고 있으며, 크게 두 가지 형태로 내용을 분류하여 구성하고 있다. 첫 번째는 학생들이 교육과정을 통해 "책임감" 및 "협업 능력"과 같이 학습되어지는 내용들에 대한 부분들을 정리하고 있으며, 두 번째로는 성공적인 프로젝트 교육과정을 운영하기 위해 단계별로 진행되는 팀 구성, 프로젝트 계획, 팀 운영 및 협업, 중간 및 기말 발표, 그리고 평가 부분에 대한 운영 방법론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제안된 운영방안이 통합 교과로서의 프로젝트 교육과정을 운영하는데 있어서 하나의 밑거름 및 가이드라인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