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m collaboration

검색결과 228건 처리시간 0.03초

글로벌 사업 진출을 위한 산학협력 협업촉진모델: 경남 G대학 GTEP 사업 실험사례연구 (A Study on the UIC(University & Industry Collaboration) Model for Global New Business)

  • 백종옥;박상혁;설병문
    • 벤처창업연구
    • /
    • 제10권6호
    • /
    • pp.69-80
    • /
    • 2015
  • 협업을 촉진할 수 있는 환경과 시스템을 갖추는 것은 기업경쟁력 확보에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되고 있다. 협업이란 여러 사람이 협동적이고 조직적으로 일하며, 공동의 목표 혹은 가치를 추구하여 정보와 프로세스를 공유함으로써 노동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상호작용을 의미한다. 협업을 촉진시키는 요인에는 비전 공유, 비전을 반영한 조직의 원칙 및 규칙, 온라인 시스템 구축, 의사소통 등이 있다. 첫째, 비전을 구체화 할수록 조직원의 적극적이고 자발적인 참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둘째, 구성원이 수용하는 규칙이나 원칙이 단합과 좋은 성과로 이어지게 된다. 또한 능력에 맞는 업무 분담과 자기 계발을 위한 활동이 업무로 이어지고 정기적인 팀 활동을 만들어 협업 환경 및 분위기를 조성하는데 도움이 된다. 셋째, 체계적인 온라인 협업 시스템의 구축으로 효율적이고 신속한 업무가 이루어진다. 기업들은 클라우드 서비스와 소셜미디어를 활용하여 업무의 저비용과 고효율을 이룰 수 있었으며, 이때 구성원들의 적극적 활용과 참여를 유도하는 지속적 교육이 반드시 수반되어야 한다. 넷째, 기업을 알리고 조직 내 외부 사람들과 적극적으로 소통하는 활동은 기업의 이미지를 바꾸고, 기업 성과를 창출해 내는 기반이 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글로벌 사업진출과정에 발생하는 문제해결 방안으로 산학협력 협업촉진모델을 제안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기업조직에서 협업이 잘 이루어지기 위한 촉진요인을 전략적 연동 모형(strategic alignment model)을 기반으로 협업을 이해하고, 스마트워크 도구를 활용하는 팀 사례분석을 통한 성공요인을 도출한다. 연구결과 체계적인 협업촉진모델을 만들기 위하여 조직 구성 단계에 맞는 역할들을 도출하였다. 첫째, 리더는 확고하고 명확한 비전을 만들어 조직구성원에게 전파하여 공감과 믿음 그리고 소속감을 가지도록 하여야 한다. 둘째, 중간관리자를 포함한 리더는 조직의 비전을 팀원간에 전파하기 위해 규칙과 원칙을 만들고, 시스템을 구축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관리하여야 한다. 셋째, 팀원은 기업의 비전을 내재화하여 역할에 책임을 다할 뿐만 아니라 외부로 기업을 알리는 역할에 충실해야 한다. 연구결과는 향후 실증 연구를 위한 기반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Case Study of Using PBL

  • Park, Hae Ra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9권3호
    • /
    • pp.100-105
    • /
    • 2021
  •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iveness of the study through a case of PBL(problem-based-learning) class conducted in a balanced culture course called at 00- University in the second semester of 2020. The effects of learning are as follows: First, PBL(problem-based-learning) has sufficient active interaction between the teacher and the learner. In the face of prolonged non-face-to-face learning, the PBL teaching method has sufficient interaction between the professors-learner and the learner. Second, PBL learning can actively utilize various problems that fi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and actively utilize the process of role sharing and collaboration. By presenting various problem situations suitable for the subject, students will be able to share roles individually or as a team, and fully experience the process of collaboration and discussion in the process of investigating the data. Third, critical perceptions of problem situations can be extended. In modern times, a variety of problem situations arise and critical perceptions of them must be fully learned. In a mass production and mass consumption society, students should develop the ability to blindly recognize and distinguish between real and fake information in a flood of information. The limitations identified in this class case are, first, the nature of the subject, "Understanding Culture and Philosophy," which makes it possible to discuss the global cultural phenomenon, but it should be discussed in terms of philosophy. Second, it is not easy to work as a team on non-face-to-face online. Nevertheless, PBL is a very effective method of learning in which active interactions and learning activities take place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 whether face-to-face or face-to-face online learning.

과학영재의 협업적 문제해결과정에서 나타난 공유된 정신모형의 정교화 양상 분석 (Analysis of the Refinement of Shared Mental Model in Science-Gifted Students'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 이지원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1049-1062
    • /
    • 2015
  • 협업으로 문제를 해결할 때 집단 구성원들은 정신모형을 공유함으로써 시너지 효과를 창출한다. 협업의 시너지 효과를 이해하고 이를 교육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집단이 어떻게 문제를 해결해나가는지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정신모형 공유에서 나타나는 시너지 효과의 원천을 알아보기 위하여 10명의 과학영재들을 대상으로 빈약하게 정의된 문제를 주고 어떤 요소가 집단의 정신모형에 공유되는지, 또 이것이 어떤 과정을 거쳐 공유되어 가는지를 구체적으로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집단의 정신모형에 공유되는 요소는 첫째, 초기 공통 아이디어 중 가장 과학적인 개념을 공유하였다. 논의 전 이미 가지고 있던 공통 아이디어에 포함된 개념에서 선개념과 과학적 개념이 동시에 나타날 때, 학생들은 논의를 거쳐 과학적인 개념을 선택하여 공유하였다. 둘째, 집단 구성원들이 각각 가지고 있던 개별 아이디어를 공유하였다. 논의 과정에서 구성원들은 변인에 대한 개별 아이디어를 제안하였고 집단 구성원들이 동의하면 이는 집단의 정신모형에 공유되었다. 셋째, 협업 전 정신모형에 포함되어 있지 않던 새로운 아이디어를 창조하여 공유하였다. 건설적 갈등 상황에서 자신의 정당성 주장의 근거 마련을 위해 개별 아이디어 조합, 기존 아이디어의 재생산 등과 같은 방법으로 창조된 아이디어를 생성하고 공유하였다. 창조된 아이디어는 개인의 정신모형에 포함되어 있지 않던 것으로, 집단 정신모형 공유에서 나타나는 시너지의 근원이라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집단 정신모형이 공유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문제해결에 가장 중요한 변인부터 제안하고 공유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집단의 정신모형에 무엇이 공유되었는가를 분석하는 것만큼 어떤 순서로 공유되었는가를 아는 것도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논의 후 학생들의 최종응답을 분석해보면, 공유된 정신모형이 초기의 개인별 정신모형에 비해 포괄적이면서 정교화 되었으며 각 개인의 정신모형도 확장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 결과는 공유된 정신모형의 측정과 협력 학습모형 개발에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대학 미적분학 플립드 수업에서 팀프로젝트 탐구 (A Study on Team Project Learning in Flipped Calculus Classes)

  • 민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3권2호
    • /
    • pp.47-66
    • /
    • 2019
  • 이 연구는 대학 미적분학 플립드 수업에서 팀프로젝트를 진행하기 위한 교수 학습방법을 개발 적용하고 수업 활동 중 얻어진 수행계획서, 팀 보고서 및 개별 후기, 설문을 통해 학생들의 팀 활동 참여, 심층적인 학습 성취, 의사소통과 협력에 미치는 영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총 120명의 대학 이공계 학생을 대상으로 2018학년도 봄 학기 16주간 미적분학 플립드 수업에서 4주간 팀프로젝트를 진행하였다. 이 수업의 특징은 수업의 진도를 맞추기 위해 개념과 예제 중심의 학습을 동영상으로 진행하였고 팀프로젝트는 강의실에서 진행하였다. 특히 팀프로젝트 과정을 기록할 뿐 아니라 교수자가 팀 활동에 적절히 개입하기 위해 Google 문서를 활용하였다. 결과적으로 팀프로젝트를 강의실 안과 밖에서 진행하여 각각의 단계마다 교수자의 개입이 명확해지면서 학생들의 팀 활동 참여가 증가하였고 이는 의사소통과 협력에 좋은 영향을 끼칠 뿐 아니라 더불어 심층적인 학습활동으로 작용한 것으로 평가된다.

스캐폴딩이 창의적 협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 - 바운더리 오브젝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The Effect of Scaffolding on Creative Collaborative Performance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Boundary Objects -)

  • 신현선;김효근;나윤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1-15
    • /
    • 2020
  • 본 연구는 기업 내 협업 프로젝트에서 창의적 성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팀의 협업 촉진을 위해 조직학습 커뮤니케이션의 중요 요인 중 하나인 스캐폴딩과 더불어 협업도구이자 매개체인 바운더리 오브젝트 변수가 성과에 영향을 끼치는지 확인하였다. 203명의 협업프로젝트를 경험한 직장인을 대상으로 설문을 수집하였으며,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을 거쳐 3단계 매개효과 분석(three-step mediated regression analysis)을 시행하였다. 즉, 스캐폴딩이 창의적 협업 성과에 끼치는 영향관계에서 바운더리 오브젝트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인지적 스캐폴딩이 창의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바운더리 오브젝트는 매개효과가 유의하지 않았으나, 정서적 스캐폴딩은 창의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완전매개효과가 있었고 유효성 성과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도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감안하면 조직학습 차원에서 스캐폴딩이 유용하며, 바운더리 오브젝트 역시 프로젝트의 협업을 촉진하는 매개체로써 일부 효과가 있으므로 이를 활성화하기 위해 비전을 공유하고 팀원 간 개인적 친분을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가상 건설 시스템 비전과 구축 방향 (A vision and strategy for developing virtual construction system)

  • 최철호;진상윤;김재준;신현목;이광명;윤수원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07년도 정기 학술대회 논문집
    • /
    • pp.62-67
    • /
    • 2007
  • The research team for the virtual construction development was established with the support of Korea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and KICTEP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Its aims are to develop system that is to improve productivity & quality, to create a higher value-added business, and to cultivat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The virtual construction system is a design,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that allows the project participants to effectively share the information throughout the construction life cycle with the support of 3D and design information. To achieve this, the research team focuses on developing several systems. First, the team focuses on developing for the pre-planning, the structural engineering, MEP, and the 3D based estimation system. Second, they focus on developing a simulation system for the construction process planning and feasibility study with help of the virtual reality technologies. Third, they focus on developing the CPLM (Construction Project Life-cycle Management) system for managing construction project data, and the decision support system that makes the collaboration among the project participants based on 3D technologies and information. We also focus on developing the SDAI (Standard Data Access Interface), the localized guideline for 3D design, and a training program. In addition, we focus on developing the undeveloped area of the commercial system and building an environment that can support the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in the construction life-cycle rather than developing the existing and commercialized system.

  • PDF

A Scientometric Social Network Analysis of International Collaborative Publications of All India Institute of Medical Sciences, India

  • Nishavathi, E.;Jeyshankar, R.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8권3호
    • /
    • pp.64-76
    • /
    • 2020
  • Scientometrics and social network analysis (SNA) measures were used to analyze the international scientific collaboration (ISC) of All India Institute of Medical Sciences (AIIMS) for a period of 10 years (2009-2018). The dataset consists of 19,622 records retrieved from the Scopus database. The mean degree of collaboration 0.95 implied that researchers of AIIMS tend to collaborate domestically (80.29%) and internationally (14.67%). The data exhibits a hyper authorship pattern, and a medium-size research team consists of 4 to 10 authors who contributed a maximum of 62.08% (12,182) publications. 71.97% of research findings are scattered in journal articles. The most preferred journals published 58.55% of medical literature. An undirected collaboration network is constructed in Pajek to study the ISC of AIIMS during the period 2009-2018 which consists of 179 vertices (Vn) and 11,938 edges. The degree centrality (Dc) identified that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Dc - 54; CC - 0.99) and United Kingdom (Dc - 41; 0.98) are the most collaborative countries in the whole network as well as the most influential countries. The Louvain community detection method is used to detect influential research groups of AIIMS. The temporal evolution of ISC of AIIMS studied through scientometrics and SNA measures shed light on the structure and properties of ISC networks of AIIMS. It revealed that AIIMS, India has taken keen steps to enrich the quality of research by extending and encouraging the collaboration between institutions and industries at the international level.

Information Professionals Going Beyond the Needful User in Digital Humanities Project Collaboration

  • Engerer, Volkmar P.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8권1호
    • /
    • pp.6-19
    • /
    • 2020
  • When information professionals deal with other disciplines in the course of digital humanities projects, they often assume that they are dealing with 'needful users' who have an 'information gap' to fill. This paper argues that the traditional view that information/knowledge is transferred from an information specialist donor to a domain specialist receiver is no longer appropriate in the digital humanities context, where the gap-and-search (or gap-and-filler) approach to information has given way to more direct, explorative engagement with information. The paper asks whether information science and the practising profession are ready for this paradigm shift and examines information science conservatism in two common collaboration scenarios, library support and digital development. It is shown that information science theory still assumes a traditional donor role in both scenarios. How information scientists deal with conservatism in practice is discussed in the example of the Prior project, in which the information science team exerted an ambiguous, hybrid approach with both conservative and non-conservative elements. Finally, two rather hypothetical answers are offered to the question of how information professionals should approach scholarly collaboration in the digital humanities context, where users have ceased to be supplicants. From a purely pragmatic perspective, information scientists need to shift their focus from information needs to research practices and the implications of these practices for digital information systems. More fundamentally, the emergence of digital humanities challenges information professionals to transform information systems designed for searching into digital objects that can be explored more freely by the digital humanities community.

디자인-공학 국제 협업설계 교육의 사례 연구 (A Case Study of International Design-Engineering Collaborative Design Project Course)

  • 임현준
    • 공학교육연구
    • /
    • 제17권2호
    • /
    • pp.59-67
    • /
    • 2014
  • This paper is about a case study of an interdisciplinary and intercultural collaborative design project course that has been offered for six years.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this course lie in that its students consist of those in two different disciplines, mechanical engineering and industrial design, and also in two different countries, Korea and Germany. The themes of the design project have been selected differently over the years, but always were related to transportation and, particularly, personal mobility devices. The paper first delineates the course and illustrates examples of the outcomes. Then, unique aspects and challenges of the course that have been observed through the six runs and that are associated with the intercultural and interdisciplinary nature are indicated and discussed. The author is convinced that this course has been successful in helping prepare the students for globally-operating manufacturing companies in the future. It is hoped that the findings from this course and the discussions contained in this paper would help those who plan to offer similar courses.

상호작용 기능이 강화된 실시간 협업 설계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al-Time Collaborative Design System for powerful interaction performance)

  • 하영명;김현수;안대건;김호찬;정해도;이석희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266-1269
    • /
    • 2003
  • Many studies have indicated that most of a product's cost is fixed early in its lift cycle, before the original design cycle is complete. This implies that we should consider various aspects of product lift cycle at the design stage. This means the need of collaboration in design stage. Because the Internet provides instant access to a wealth of design information, the Internet is used by the collaborative design team members as a medium to share data, information and knowledge, and in some cases for product data management and project management by integrating the Web with appropriate technologies. This paper presents a real-time collaborative design system for powerful interaction performance, based on the Internet and Web technologies. Using The system use the client/server architecture and the purpose of the system is to provide a method that enables real-time view, review and modification of the 3D model through the Interne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