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m Learning

검색결과 766건 처리시간 0.023초

체육수업 ICT 콘텐츠에 관한 연구 (Study on ICT utilization contents for physical education)

  • 강선영;강승애;정형수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17-22
    • /
    • 2016
  • 본 연구는 체육수업에서의 ICT 활용 현황을 살펴보고, 학교 현장에서 사용가능한 체육수업 ICT 콘텐츠 구성 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체육과에서의 ICT 활용 교육은 열약한 체육교육 시설 및 환경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운동 기능 습득에 있어 구체적인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는 자료로써 활용 가치가 높다. 체육수업에서의 ICT 활용의 유형은 웹 활용 학습과 응용 프로그램 활용 학습으로 나누어 활용되고 있다. 체육 이론수업 ICT 콘텐츠 구성 시 서버를 통해 각 학생들에게 해결해야할 문제를 제시하고 협동학습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팀 토론을 통해 학습문제 해결 방안을 결정 정리하여 서버를 통해 게시하면 교사와 다른 팀들은 발표된 의견에 대한 피드백을 주는 과정을 반복하여 문제를 해결한다. 반면 실기 단원 수업일 경우는 VTR자료나 컴퓨터 S/W를 활용하여 동작의 구체적 원리 등의 익힌 후 수업에 임한다. ICT와는 가장 거리가 있는 것으로 여겨져 왔던 체육 수업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전환과 함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환경이 겸비된다면 체육교육에서도 폭넓은 ICT 활용을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다.

경영학 수업에서 학습자 중심 교수법 적용 사례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을 중심으로 (A Case Study of Applying Flipped Learning and Team-based Learning in University Subject, Business Communication)

  • 최승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126-137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경영학 교과목인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에 플립러닝과 팀 기반 학습법을 적용하여 과목의 특성에 맞게 운영하고 이에 따른 성과를 확인해 봄으로써 향후 우리나라 대학의 경영학 수업에서 학습자 중심 교수법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에서 문서작성능력은 현대산업사회의 필수역량으로 인식되며, 이러한 역량을 제고시키기 위한 교과목 운영 성과를 실증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2018년에 본 교과목을 수강한 64명을 대상으로 학기 초와 학기말에 짝지은 표본의 형태로 설문자료를 수집하였고, 이를 대상으로 윌콕슨 부호 순위검정과 paired t-test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두 검정 모두에서 학기 초 대비 학기말의 커뮤니케이션능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한 것으로 확인되었고, 교과목 운영 및 전반적 사항에 대한 만족도 역시 학기말에 더욱 증가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또한 해당 교수법 시행 이전인 2017년과 비교할 때 학생들의 강의만족도 역시 확연하게 증가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사회가 요구하는 실전형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경영학과 교과목 운영사례 연구로서, 교과목의 특성을 고려한 구체적인 학습자 중심 교수법의 적용방향을 설정하여 운영하고, 그 성과를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통합교과로서의 게임 프로젝트 교육과정 운영방안 탐구 (A Study of Game Project Curriculum for Integrated Subject)

  • 최승관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111-122
    • /
    • 2016
  • 본 연구는 이질적인 속성을 가진 학문분야들을 통합하여 하나의 교육과정으로 운영하는 프로젝트 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운영 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통합교과의 의미는 게임 현장에서처럼 게임 기획, 프로그램, 그래픽과 같은 이질적인 분야의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실제적인 하나의 결과물을 만들어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되는 프로젝트 중심의 교육과정에 대한 운영방안은 국내에서 2008년도부터 A 교육기관에서 진행해온 게임 프로젝트 교육과정을 토대로 실증 및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통합교과를 기반으로 하는 프로젝트 교육과정에 대한 운영 방안의 기준을 제시하고 있으며, 크게 두 가지 형태로 내용을 분류하여 구성하고 있다. 첫 번째는 학생들이 교육과정을 통해 "책임감" 및 "협업 능력"과 같이 학습되어지는 내용들에 대한 부분들을 정리하고 있으며, 두 번째로는 성공적인 프로젝트 교육과정을 운영하기 위해 단계별로 진행되는 팀 구성, 프로젝트 계획, 팀 운영 및 협업, 중간 및 기말 발표, 그리고 평가 부분에 대한 운영 방법론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제안된 운영방안이 통합 교과로서의 프로젝트 교육과정을 운영하는데 있어서 하나의 밑거름 및 가이드라인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건축시공교육에 팀 기반 학습 적용 연구 (Building Construction Education Adopted Team-based Learning)

  • 김광희;신윤석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597-604
    • /
    • 2014
  • 최근 건축공학교육에서는 기존의 주입식 교육방식에서 벗어나 실무능력을 강화할 수 있는 혁신적인 교육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여러 분야에서 그 효과가 검증된 팀 기반학습 강의법을 실제 건축공학교육에 적용해보고 그 적용가능성을 검토해보았다. 적용성 검토를 위해서 강의 수강생 39명을 대상으로 학기말에 학습 성취도에 관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팀 기반학습을 통하여 학생들의 학습 성취도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더 다양한 건축공학 교과목에서 팀 기반학습을 활용하여 학생들의 학습 성취도 향상뿐만 아니라 실무능력을 갖춘 우수한 인재양성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간호교육에서 팀 기반학습(Team-based Learning)의 적용에 관한 연구 (A Survey of Student Perceptions, Academic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of Team-based Learning in a Nursing Course)

  • 노영숙;류언나;최동원;백선숙;김상숙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39-247
    • /
    • 2012
  • Purpose: This study is to assess the level of student perceptions, academic achievement, satisfaction, and their relationships in a medical-surgical nursing course using team-based learning (TBL). Method: Four-hour TBL sessions were given in a structured three-phase sequence in a cohort of 261 second year nursing students. Results: Mean perceptions of TBL was $6.64{\pm}5.11$, and $8.30{\pm}4.11$ for perceptions of teamwork. On a 7-point scale, the mean satisfaction score was $4.85{\pm}1.41$, and 64.0% of nursing students were satisfied with TBL compared to lecture. Group readiness assurance test scor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dividual readiness assurance test score (t=-16.76, p<.001). Perceptions of TBL (F=1.40, p=.245), perceptions of team work (F=1.55, p=.202) and satisfaction (F=0.81, p=.489) was not different by the level of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on items related TBL. Conclusion: Results indicates that TBL was an effective instructional strategy including favorable perceptions and satisfaction for nursing students. TBL could be an adjunct educational strategy for undergraduate nursing education.

학부과정의 다학제 융합 교과 수업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수업 개선을 중심으로 - (Narrative Inquiry about Practical Experience of an Interdisciplinary Undergraduate Class of Design and Engineering - Focusing on an improvement of the class -)

  • 이상선;김동민;김미희;김수찬;김한중;이인석;박경문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21-141
    • /
    • 2015
  • 본 논문은 3년간(2012~2014) 학부에서 진행된 다학제 융합수업 개선을 위하여 융합 교육과정, PBL(Problem Based Learning)과 TBL(Team Based Learning)의 활용, 효과적인 발표 등에 대한 딜레마를 다루었으며, 내러티브 탐구 방법으로 시간, 장소, 교육과정에서 일어나는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을 기술한 연구이다. 본 연구 결과로부터 도출된 몇 가지 수업 개선점을 제안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융합수업에서 교수들의 미니 강의비율이 대체로 높다. 강의시간을 1/4로 줄이고 수업시간에 중요한 토론과 과제를 마칠 수 있도록 시간을 배려하고, 즉각적인 도움을 제공한다면 학생들의 과제부담은 줄어들 것이다. 둘째, 기존의 교육과정 틀을 유지한 채 융합수업을 시행하기 위해서는, 각 학과 전공교육과정에 '융합교과목'이라는 과목을 설치하여 다른 학과 교수와 함께 수업을 개설할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좋다. 셋째, 본 수업에서 PBL과 TBL를 동시에 적용하는 효율적인 수업진행 방식은, TBL에서 요구하는 과제를 하나의 문제 상황으로 생각하고 PBL 학습방법을 활용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상적인 발표수업은 매시간 발표할 기회를 학생에게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팀 발표수업의 횟수는 한 학기 3번이 적당하지만, 발표시간이나 방법은 수정이 필요하다. 발표 전날 모든 팀으로부터 발표내용을 받고, 팀 발표시간은 15분에서 30분으로 늘리고 2일 동안 발표를 한다면 학생은 발표 준비와 진행에 여유를 갖게 될 것이다.

온라인 콘텐츠 협동학습과 개별학습의 Lab실-임상실습 혼합실습교육 연계가 학습성취에 미치는 효과비교 (Comparison of Blended Practicum Combined E-learning between Cooperative and Individual Learning on Learning Outcomes)

  • 최순희;소향숙;최자윤;유성희;윤소영;김명희;송미옥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341-349
    • /
    • 2014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blended practicum with clinical and lab combined e-learning between cooperative and individual group on learning outcomes. Method: A total of 63 junior Nursing students were recruited from C University in G city from May, 2012 to June, 2012. Ten hours lab practicum for two weeks was provided for both two groups during the period of adult nursing practicum. Prior to blended practicum, e-learning was conducted. For cooperative group, two hours off line team learning with a tutor for eight weeks was provided, in other hands, for individual group, any off line team learning was not provided and self study on line was not evaluated by the tutor. Results: The result of ANCOVA showed that critical thinking and self directed learning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individual group compared to the cooperative group (F=-18.15, p<.001; F=28.12, p<.001). In other hands, clinical competenc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ooperative group than in the individual group (F=16.61, p<.001). Conclusion: Through development of self-leaning facilitating online contents, the blended practicum combined e-learning could be effective in critical thinking, self-directed learning and clinical competence. Further studies about e-learning strategies of off-line learning are still needed.

Learning Probabilistic Kernel from Latent Dirichlet Allocation

  • Lv, Qi;Pang, Lin;Li, Xiong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0권6호
    • /
    • pp.2527-2545
    • /
    • 2016
  • Measuring the similarity of given samples is a key problem of recognition, clustering, retrieval and related applications. A number of works, e.g. kernel method and metric learning, have been contributed to this problem. The challenge of similarity learning is to find a similarity robust to intra-class variance and simultaneously selective to inter-class characteristic. We observed that, the similarity measure can be improved if the data distribution and hidden semantic information are exploited in a more sophisticated way. In this paper, we propose a similarity learning approach for retrieval and recognition. The approach, termed as LDA-FEK, derives free energy kernel (FEK) from Latent Dirichlet Allocation (LDA). First, it trains LDA and constructs kernel using the parameters and variables of the trained model. Then, the unknown kernel parameters are learned by a discriminative learning approach. The main contributions of the proposed method are twofold: (1) the method is computationally efficient and scalable since the parameters in kernel are determined in a staged way; (2) the method exploits data distribution and semantic level hidden information by means of LDA.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LDA-FEK, we apply it for image retrieval over two data sets and for text categorization on four popular data sets. The results show the competitive performance of our method.

High-fidelity Patient Simulator를 활용한 간호교육이 간호학생의 자기주도학습역량, 임상수행지식 및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Nursing Education using a High-fidelity Patient Simulator on 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y, Clinical Knowledge, and Problem-solving Ability among Nursing Students)

  • 박효미;이혜순
    •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 /
    • 제9권2호
    • /
    • pp.111-118
    • /
    • 2012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imulation-based nursing education (for the care of congestive heart failure patients) on 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y, clinical knowledge and problem-solving ability among nursing students. Methods: A one-group, pre-post design was utilized with 87 nursing students as the subjects. The scenario of simulation-based nursing education was created using a high-fidelity patient stimulator, and consisted of four states ((1) assessment, (2) reviewing laboratory data and administering medications and treatments, (3) managing increased dyspnea and decreased urine output, and (4) handling the "getting better" state). The simulation-based nursing education included orientation, team-based learning, team-based practice, and debriefing.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paired t-tests. Results: The scores on the factors for 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y (t=-2.57, p= .011), clinical knowledge (t=-6.85, p<.001), and problem-solving ability (t=-3.01, p= .003)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the education intervention. Conclusion: Simulation-based nursing education is useful in improving 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y, clinical knowledge, and problem-solving ability in nursing stude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