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ing-Learning Activities

검색결과 1,066건 처리시간 0.032초

ICT 활용 교육 활성화에 따른 정보교과 교육과정 고찰 - 영국의 ICT 교육과정 분석을 기초로 (A Study on the Information Subject Curriculum Considering ICT Using Education -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England's ICT Curriculum)

  • 홍지영;한병래;김홍래;송기상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4권2호
    • /
    • pp.145-154
    • /
    • 2001
  • 7차 교육과정의 국민 공통 기본 교과 수업에서 정보통신기술(ICT)을 10% 이상 활용하도록 하는 등 ICT 활용 교육이 활성화되고 있다. 이러한 시각에서 볼 때, 응용 프로그램 자체의 내용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는 현재의 정보교과 교육과정은 계열성과 중복성의 문제, 타 교과에서의 ICT 활용과의 연계성 결여 문제, 급속히 변화하는 세계에 학생들을 제대로 적응시키지 못하는 문제 등이 제기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영국의 ICT 교육과정 분석을 통하여, 학습자의 수준에 따른 구체적인 능력 중심의 목표 설정, 타 교과와의 체계적인 연결, 활동 중심의 수업 진행 등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제 정보교과는 도구의 기능 습득 차원에서 벗어나 급변하는 세계 속에서 능동적으로 적응할 수 있는 학습자의 구체적인 능력 계발에 초점을 맞추어야 할 것이다.

  • PDF

초등학교에서의 대수적 추론 능력 신장 방안 탐색 - 곱셈의 결합법칙 탐구에 관한 수업 사례 연구 - (Fostering Algebraic Reasoning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cused on the Exploration of the Associative Law in Multiplication)

  • 최지영;방정숙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3권4호
    • /
    • pp.581-598
    • /
    • 2011
  • 학교 교육과정의 초기 단계에서부터 대수를 가르쳐야 한다는 주장이 국제적인 공감을 얻으면서, 초등학교에서 적절한 대수 지도 방안을 찾는데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초등학교에서 대수적 추론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수학 수업이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가에 관한 실제적인 연구는 여전히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서의 효과적인 대수 교수-학습에 대한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정보를 얻기 위해, 곱셈의 결합법칙 탐구를 강조한 4학년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탐구적 질적 사례 연구를 실시하였다. 체계적인 수업 분석을 통해 본 연구는, 구체적인 상황에서 수와 연산의 성질에 초점 맞추기, 충분한 사례 탐구를 통해 수와 연산의 성질 발견하기, 임의의 수 상황에서 연산의 성질 일반화하기의 세 단계에 따라 교사가 어떤 활동들을 구성할 수 있으며 학생들은 어느 정도의 대수적 추론을 발현할 수 있는지를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밝히고자 하였다.

  • PDF

그래프 유형에 따른 두 공변 추론 수준 이론의 적용 및 비교 (Analyzing Students' Works wi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Graphs Using Two Frameworks of Covariational Reasoning)

  • 박종희;신재홍;이수진;마민영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7권1호
    • /
    • pp.23-49
    • /
    • 2017
  • 본 연구는 중학교 3학년 학생 2명을 대상으로 공변 추론 수준에 관련된 두 이론(Carlson et al.(2002), Thompson, & Carlson(2017))을 그래프 유형(양적 그래프, 질적 그래프)에 따라 분석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결과로 양적 그래프 과제에서 Thompson과 Carlson(2017)은 Carlson 외(2002)보다 학생의 수준을 세분화하였으며, 질적 그래프 과제에서 Thompson과 Carlson(2017)은 학생 수준을 범주화하기 어려웠지만, Carlson 외(2002)는 학생의 수준을 자세히 파악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학생들의 공변 추론을 파악하는 데 있어 양에 따른 수치적 접근의 분석뿐만 아니라 두 양의 공변 양상을 비수치적으로 파악하는 질적 접근의 분석도 중요함을 시사하며, 또한 Thompson과 Carlson(2017)이 양에 따른 수치적 접근을 분석하는 데 있어 중요한 방법이며 Carlson외(2002)가 비수치적으로 파악하는 질적 접근을 분석하는 데 있어 중요한 방법임을 시사한다.

2015 개정 정보 교육과정에 따른 피지컬 컴퓨팅을 활용한 정보교육에서 성별에 따른 태도와 성취도 차이분석 (A Study on Gender Differences in Programming Attitude and Achievements on Physical Computing Education in Informatics Curriculum Revised 2015)

  • 심재권;김현철;이원규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1-9
    • /
    • 2016
  • DIY(Do It Yourself)와 메이커 운동의 영향으로 미디어, 의류, 공연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피지컬 컴퓨팅이 활용됨에 따라 학생에게 피지컬 컴퓨팅을 교육하거나 정보교육에서 피지컬 컴퓨팅을 활용하고자 하는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피지컬 컴퓨팅 교육은 정보교육에서 프로그래밍 활동을 통해 컴퓨팅 사고력을 학습하기 위한 목적으로 활용의 폭을 넓혀가고 있다. 하지만 피지컬 컴퓨팅 교육은 최근에 등장하여 연구기간이 짧을 뿐 아니라 교육적인 효과에 대한 연구도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성별에 따라 피지컬 컴퓨팅 교육을 통해 인식하는 프로그래밍에 대한 태도와 알고리즘 설계능력의 향상의 정도를 분석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중학생과 고등학생에게 피지컬 컴퓨팅 교육을 한 학기 동안 제공한 후 태도와 성취도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2007년 개정 중학교 정보 과목 '정보의 표현과 관리' 영역 성취 및 평가기준 개발 (The Development of Achievement and Assessment Standards for the 'Representation and Management of Information' Unit of 'Informatics' Curriculum for Middle School Revised in 2007)

  • 김경훈;이은경;이영준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53-64
    • /
    • 2008
  • 2007년 개정 정보 교육과정은 2010년부터 적용될 예정이지만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교육내용의 포괄적인 성격으로 인해 학교 현장의 교수 학습이나 평가 상황에 직접적으로 활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새로운 교육과정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교수 학습 활동 및 평가 활동의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기준과 예시를 제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07년 개정 정보 교육과정의 '정보의 표현과 관리' 영역에 관한 구체적인 성취기준과 평가기준을 개발하고 그에 따른 평가도구들을 개발하였다. 성취기준은 교육과정상의 소영역을 기준으로 학생의 입장에서 진술하였으며, 평가기준은 상, 중, 하로 구분하여 제사하였다.

  • PDF

Factors to be considered in designing a faculty development program for medical education: local experience from the Western region of Saudi Arabia

  • Algahtani, Hussein;Shirah, Bader;Alshawwa, Lana;Tekian, Ara;Norcini, John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37권3호
    • /
    • pp.210-216
    • /
    • 2020
  • Background: Among the different aims of medical education, the provision of society with skilled, professional, and knowledgeable healthcare workers who maintain and develop their expertise over a lifetime career is important. The achievement of this goal is linked with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both faculty members and healthcare workers. This study aims to measure the perception of faculty members regarding their views about the goals of faculty development programs, practices and activities, and factors that determine their achievement. Methods: A cross-sectional survey was conducted in multiple universities in the Western region of Saudi Arabia. The participants were given a pre-designe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generated from literature. The survey questionnaire consisted of three sections that were designed to assess the faculty members' perception on the faculty development program. Results: A total of 210 faculty memb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most important perceived goal was to motivate teachers to become better teachers. The most important perceived practice was establishing a positive climate for teaching and learning. The most important perceived factor was skilled and dedicated staff support.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faculty members have positive perceptions regarding all aspects of faculty development programs. This study will raise awareness regarding the importance of faculty development programs in sustaining educational vitality. We recommend the implementation and maintenance of comprehensive faculty development programs in Saudi universities.

2009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초등학교 3, 4학년 과학 교과서 발문유형 비교 연구 (The Comparative Study of Questioning Type on the Grade 3 and 4 Science Textbook in Elementary School between the 2009 Curriculum and the Revised 2015 Curriculum)

  • 김주아;김용권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16-124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2009 교육과정 초등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발문과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발문을 비교 분석하여 교수 학습 활동에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향후 교육과정의 교과서 개발에 도움이 될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2009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초등 과학과 교과서 발문 유형을 비교 분석하였고,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행 교육과정에서는 창의 융합형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하고 있는 만큼 적용적 발문의 비율을 높일 필요가 있으며, 둘째, 학습자가 자유롭게 사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개방적 발문의 비율이 늘어난 점은 바람직한 변화라고 할 수 있으며, 마지막으로 배운 내용을 적용할 수 있고, 확산적, 평가적으로 사고할 수 있는 발문의 비중을 높일 필요가 있다.

시·도교육청 수준의 독서 및 도서관 통합 장학 체계 구축 방안에 대한 연구 (A Study on Building Integrated Supervision Organizations of Reading and Libraries Under City and Provincial Education Offices in Korea)

  • 송기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49-68
    • /
    • 2011
  • 장학의 본질은 교사의 교육활동을 조력하고 학습 공동체 구축을 통해서 학교 교육의 질을 개선하는 것이다. 학교도서관은 도서관활용수업과 정보활용교육이 사서교사와 교과교사의 협동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교실이다. 따라서 학교도서관은 전문가에 의한 체계적이고 안정적인 장학 활동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16개 시 도교육청의 학교도서관 담당 부서를 분석한 결과 행정지원 위주인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도서관의 교육적 역할을 신장하기 위해서는 학교도서관의 교육적 가치와 사서교사의 교육적 역량을 개발하고 지원할 수 있는 새로운 장학 체계를 모색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교도서관과 관련이 있는 독서교육, 공공도서관의 업무를 시 도교육청 수준에서 "독서.도서관과"와 같이 하나의 독립부서로 통합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Polyhedron'을 활용한 다면체 학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earning Polyhedra using 'Polyhedron')

  • 권성룡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5권2호
    • /
    • pp.191-204
    • /
    • 2006
  • Computer technology has a potential to change the contents of school mathematics and the way of teaching mathematics. But in our country, the problem whether computer technology should be introduced into mathematics classroom or not was not resolved yet. As a tool, computer technology can be used by teachers who are confident of the effectiveness and who can use it skillfully and can help students to understand mathematic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 way to introduce and utilize computer technology based on the status quo of mathematics classroom setting. One possible way to utilize computer technology in mathematics classroom in spite of the lack of computer and the inaccessibility of useful software is using domain specific simulation software like 'Polyhedron'. 'Polyhedron', as we can guess from the name, can be used to explore regular and semi regular polyhedra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Its functions are limited but it can visualize regular polyhedra, transform regular polyhedra into other polyhedra. So it is easier to operate than other dynamic geometry software like GSP.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using this software in mathematics class, three classes(one in 6th grade from science education institute for the gifted, two in 7th grade) were chosen. Activities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gular and semi regular polyhedra. After the class, several conclusions were drawn from the observation. First, 'Polyhedron' can be used effectively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regular and semi regular polyhedra. Second, 'Polyhedron' can motivate students. Third, Students can understand the duality of polyhedra. Fourth, Students can visualize various polyhedra by reasoning. To help teachers in using technology, web sites like NCTM's illuminations and NLVM of Utah university need to be developed.

  • PDF

한국어 표현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연극 기법 (Educational Drama Skills to Improve the Expressive Ability of Korean Language)

  • 박희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1호
    • /
    • pp.672-679
    • /
    • 2015
  • 초창기 한국어 교육이 문법 이해를 중요시했다면 현재 한국어 교육은 원활한 의사소통능력의 향상을 중요시하고 있다. 그래서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킬 효과적인 방법의 하나로 교육을 위한 교육연극에 관심이 높다. 교육연극은 실제로 대화할 수 있는 기회를 주기 위해 가상적 상황을 만들어 상황에 맞는 단어와 문법을 사용해 볼 수 있으며, 몸짓, 표정 같은 비언어적 표현도 배울 수 있어 실생활에서 자신감 있게 자신의 의사를 표현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는데, 이는 한국어 교육이 추구하는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과 같은 목표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학습자가 중심이 되어 활동이 이루어지고, 다른 학습자들과의 협동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면서 사회성과 자신감도 기를 수 있다. 본고에서 교육연극 기법 중 인터뷰하기, 텍스트를 대본으로 바꾸기, 이어질 글을 상상해 대본으로 바꾸기, 역할극, 토론을 활용한 활동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러한 활동들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좋은 동영상이나 학습 자료들을 개발하여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하고, 교사를 위한 연수프로그램을 만들어 연수프로그램에서 배운 교육연극 기법들을 수업 시간에 활용할 수 있는 교수 능력을 키우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