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4275/KSLIS.2011.45.3.049

A Study on Building Integrated Supervision Organizations of Reading and Libraries Under City and Provincial Education Offices in Korea  

Song, Gi-Ho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문헌정보교육)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v.45, no.3, 2011 , pp. 49-68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nature of supervision is to improve the quality of school education by assisting the teaching activities of teachers and development of a learning community. The school library should be considered a classroom, and should offer library-assisted instruction and information literacy through collaboration between the teacher librarian and subject teachers. Therefore, it should be under the systematic and settled supervision of school library experts. However, analysis shows school library-related divisions have carried out administrative supports in the 16 city and provincial education offices. It is necessary to seek a new supervision system in order to develop and support the education of teacher librarians and the educational value of school libraries. This study suggests The Reading and Library Section which integrates reading in school and public libraries as an independent division in municipal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Keywords
Supervision; Integrated Supervision Organizations; Reading Education; School Libraries; Public Librarie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7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홍창남. 2010. 교육 전문직의 역할 재구조화 방향 탐색. 교육행정학연구, 28(2): 205-231.
2 IFLA, & UNESCO. 2000. School Library Manifesto. [online]. [cited 2011.5.2]. .
3 문화체육관광부. 2008. 도서관 디지털자료실 활성화 방안 연구. 서울: 문화체육관광부.
4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도서관협회. 2011. 한국도서관연감.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5 박상환. 2008. 학교 컨설던트의 전문성 확보를 위한 과제. 교육행정학연구, 26(2): 343-362.
6 변우열. 2001. 학교도서관 관계법령의 문제점과 개정 방향.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2(4): 331-360.   과학기술학회마을
7 송기호. 2008. 학교도서관 운영의 실제. 개정3판.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8 송기호. 2011. 사서교사의 맞춤형 심화연수 프로그램용 연수과목에 대한 선호도 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5(2): 163-184.   과학기술학회마을   DOI
9 송승훈. 2009. 정보 정책을 통해 본 독서교육의 진단과 방향. 우리말교육현장연구, 4(1): 7-37.
10 신기현. 2004. 미국학교의 행정가, 장학사, 교사의 전문직 프로젝트와 장학 패러다임의 변화 양상. 교육행정학연구, 22(1): 249-270.
11 오영재. 1999. 장학 담당자의 직무 재구조화 방안 탐색: 가능한 두 가지 시나리오. 安岩敎育學硏究, 5(2): 29-45.
12 유양근. 2004. 학교도서관의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5(2): 297-321.   과학기술학회마을
13 이병기. 2008. 학교도서관경영통론. 서울: 조은글터.
14 이용남. 2007.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의 연계 협력 체제에 대한 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8(2): 353-372.   과학기술학회마을
15 이행자. 2000. 중등 장학행정 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16 한윤옥. 2000. 21세기의 학교도서관 발전을 위한 전략적 방안.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1(2): 41-62.   과학기술학회마을
17 허병기. 1997. 장학의 본질 이탈: 개념적 혼란과 실천적 오류. 교육학연구, 35(3): 181-212.
18 국가법령정보센터. [online]. [cited 2011.5.1]. .
19 교육인적자원부, 서울특별시교육청. 2003. 학교도서관 운영 편람. 서울: 서울특별시교육청.
20 교육인적자원부,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6. 도서관활성화 2단계 대책수립을 위한 기초연구.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1 권은경, 김종성. 2010. 학교도서관지원센터의 현장 지원 과제와 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1(3): 225-348.   과학기술학회마을
22 김병주. 1989. 사서교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 연구. 圖書館學, 17: 229-259.
23 김병주, 김태완, 홍준영. 2010. 한국, 영국, 프랑스의 장학 행정 제도 비교. 비교교육연구, 20(1): 51-76.
24 김정소. 1988. 학교도서관 장학관(獎學官)의 역할에 대한 고찰.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15: 1-23.   과학기술학회마을
25 김종성. 2000. 한국 학교도서관 운동사. 서울: 한국도서관협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