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ducational Drama Skills to Improve the Expressive Ability of Korean Language

한국어 표현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연극 기법

  • 박희정 (중부대학교 한국어학과)
  • Received : 2015.08.26
  • Accepted : 2015.11.03
  • Published : 2015.11.28

Abstract

The early stag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to understand grammar. However, recent Korean language education aims to improve expressive ability for smooth communication. Hence, educational drama for education has gained attention as one of the effective ways of improving communication skills. Educational drama provides an actual conversational situation in which one can use appropriate words and grammar depending on the situation. Non-verbal expression such as body language and facial expression could be picked up so one also improves one's communicative abilities naturally. This means that educational drama shares Korean language education's goal of improving communicative ability. Moreover, the student becomes the core of the activity and finds solutions through cooperation with others, and this also helps improve social skills and self-esteem. This thesis covers methods of having interviews, re-writing texts to scripts, writing up post-script by imagining the following text, role-playing, and improving expressive ability by debating educational theatrical techniques. To make these activities successful, good quality VOD and learning materials shall be developed and used. Also, efficient training programs shall be created so that teachers make use of what they learn and improve their teaching skills.

초창기 한국어 교육이 문법 이해를 중요시했다면 현재 한국어 교육은 원활한 의사소통능력의 향상을 중요시하고 있다. 그래서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킬 효과적인 방법의 하나로 교육을 위한 교육연극에 관심이 높다. 교육연극은 실제로 대화할 수 있는 기회를 주기 위해 가상적 상황을 만들어 상황에 맞는 단어와 문법을 사용해 볼 수 있으며, 몸짓, 표정 같은 비언어적 표현도 배울 수 있어 실생활에서 자신감 있게 자신의 의사를 표현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는데, 이는 한국어 교육이 추구하는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과 같은 목표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학습자가 중심이 되어 활동이 이루어지고, 다른 학습자들과의 협동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면서 사회성과 자신감도 기를 수 있다. 본고에서 교육연극 기법 중 인터뷰하기, 텍스트를 대본으로 바꾸기, 이어질 글을 상상해 대본으로 바꾸기, 역할극, 토론을 활용한 활동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러한 활동들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좋은 동영상이나 학습 자료들을 개발하여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하고, 교사를 위한 연수프로그램을 만들어 연수프로그램에서 배운 교육연극 기법들을 수업 시간에 활용할 수 있는 교수 능력을 키우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민병욱, "교육연극의 기본 원리," 교육연극의 이론과 실제, 연극과 인간, p.49, 2000.
  2. 민병욱, 심상교, "교육 연극의 이론과 실제," 연극과 인간, p.5, 2000.
  3. 박은희, "교육연극이란 무엇인가?," 한국연극, p.20, 1988.
  4. 김응조, "성인교육에 있어서 연극기법의 활용 방안," 인력개발연구, p.7, 2002.
  5. 차준희, "교육연극기법을 활용한 한국어 말하기 능력신장 방안," 공주대학교 대학원, pp.18-24, 2013.
  6. 박진아, "교육연극을 활용한 한국어교육 방안 연구 : 재외동포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p.16, 2009.
  7. 신동구, "연극놀이를 활용한 희곡지도 방안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p.30, 2000.
  8. McCaslin, Creative Drama in the classroom and Beyond, Newyork: PEARSON, A&B, p.7-13, 2006.
  9. 민병욱, 심상교 편, "교육연극의 이론과 실제," 서울: 연극과 인간, pp.60-61, 2001.
  10. 노태권, "교육연극을 통한 한국어 사용 능력 신장에 관한 연구," 부산외국어대학교 대학원, p.30-47, 2005.
  11. 신동인, 조연호, "한국의 초등학생을 위한 연극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호, pp.528-536,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1.5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