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ing efficacy belief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23초

초등 교사의 소프트웨어 교육 교수효능감 측정 도구(SE-TEBI) 개발 (Development of Software Education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 이소율;이영준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93-103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소프트웨어 교육을 교수(Teaching)하기 위해 가지고 있는 교사의 신념을 효과적으로 측정하기 위하여, STEBI-B 문항의 번안본을 바탕으로 소프트웨어 교육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문헌 연구를 통해 추가하여 개인 효능과 결과 기대의 범주의 하위 요소로 구성하였고, 35개의 예비 문항에 대하여 초등 현직 교사 146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요인 분석 및 신뢰도 분석을 통하여 5개 문항을 삭제하여 최종 문항을 완성하였고, 완성된 30개의 최종 문항에 대한 요인 분석 및 신뢰도 분석을 수행하여 문항 구성의 적절성을 입증하여 소프트웨어 교육 교수효능감 측정 도구(SE-TEBI)를 개발하였다.

Preservice Biology Teachers' Learning to Teach Science through Science Methods Courses

  • Kim, Sun Young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2권9호
    • /
    • pp.1427-1442
    • /
    • 2012
  • This study tracked the changes of preservice biology teachers' pedagogical knowledge along with science teaching efficacy throughout sequentially developed science methods course I and II over two consecutive semesters. Two courses, science methods course I and II, aimed these preservice teachers to discuss the notion of science teaching with teaching and learning theories, to learn science instructional models, to design lessons utilizing science instructional models, and to eventually implement microteaching. The preservice teachers were mainly engaged in cooperative instructional planning activities through science methods course I, and engaged in cooperative microteaching activities through the science methods course II. This study revealed that preservice teachers successfully developed pedagogical knowledge and science teaching efficacy after two science methods courses. The science methods course I where cooperative instructional planning activities occurred helped the preservice teachers to improve pedagogical knowledge but not science teaching efficacy. Based on their pedagogical knowledge development, then, these preservice teachers increased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after completion of the science methods course II.

수학 교수 효능감 측정 도구 개발 연구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Instrument)

  • 강문봉;김정하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519-537
    • /
    • 2014
  • 본 연구는 수학 교사들의 교사로서의 자기 효능감을 효과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수학교사의 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문헌 연구를 통하여 추출하고, 효능감 측정을 위한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수학교사의 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으로 수학 교수 효능기대, 수학 교수 결과기대, 교수학적 내용 지식, 학생에 대한 교사의 신념, 교사의 과거 수학학습 경험에 대한 신념, 사회문화적 영향에 대한 기대라는 6가지 요소를 도출하였고, 이러한 요인에 기반하여 30문항으로 구성된 수학 교수 효능감 측정 도구(MTEI)를 개발하였다.

  • PDF

유아교사의 구성주의적 교육신념과 자연친화적 교수태도가 수학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onstructive Teaching Beliefs and Eco-friendly Teaching Attitudes on The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 오인정;김지현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269-286
    • /
    • 2018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influences of constructivist educational beliefs and eco-friendly teaching attitudes on early childhood teachers'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This study also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eco-friendly attitud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ther two variables. Methods: A total of 399 teachers teaching 3,4 and 5-year-olds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Win 21.0 program and the Sobel test. Results: First, mathematical teaching 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constructivist educational beliefs and eco-friendly teaching attitudes. Second, with teacher's career as the control variable, constructivist educational beliefs have more influence in mathematical teaching efficacy than the other variable. Third, eco-friendly teaching attitude partially mediated between the other two variables. Conclusion/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constructivist educational beliefs and eco-friendly teaching attitudes are important factors on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various programs that increase constructivist educational beliefs and eco-friendly teaching attitudes.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효능감이 교사 행동의 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eachers' Job Stress and Belief of Efficacy on the Quality of Teachers' Interaction Behaviors in Child Care)

  • 신혜영;이은해
    • 아동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105-121
    • /
    • 2005
  • Data were collected from 120 teachers at 67 childcare centers in Seoul and Kyunggi-Do. The Assessment Scale for Day Care Programs(Rhee et ai., 2003) was used to observe teachers' interaction behaviors. Subjects responded to the teachers' job stress scale developed by the author and a modified version of teachers' efficacy scale based on the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Enochs & Riggs, 1990).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s, and hierarchical regressions. Results showed that quality of teachers' interaction behaviors correlated negatively with teachers' job stress, and positively with teachers' personal efficacy; teachers' belief of efficac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teachers' interaction behaviors.

  • PDF

생활속의 화학' 강좌가 예비 초등교사의 과학교수 효능감과 과학의 본성에 대한 신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the 'Chemistry in Everyday Life' Course for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on noir Beliefs regarding Science Teaching Efficacy and the Nature of Science)

  • 임희준;여상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5권4호
    • /
    • pp.374-382
    • /
    • 2006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the 'Chemistry in everyday life' course for 234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on their beliefs regarding science teaching efficacy and the nature of science. This study also examined the effect of this particular course by their field (natural science, humanities & social science, and fine arts). The results show that after the semester the pre-service teachers'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s were enhanced. In particular, their personal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s were improved across all fields. However, their beliefs regarding the nature of science remained largely unchanged. This study discussed the implications surrounding science courses for pre-service teachers.

  • PDF

가상현실공간에서 아바타를 통한 원격학습이 아바타 사용자의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distance learning experiences through an avatar in a virtual world on users' distance teaching efficacy beliefs)

  • 박정환;정동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1644-1651
    • /
    • 2013
  • 이 연구의 목적은 가상현실공간에서 아바타를 이용한 원격강의 경험이 사용자의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 J대학교 교육학 전공 강좌의 수강생 9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이들은 모두 교육학 전공의 박사과정 학생들이었다. 이 강좌의 첫 번째 강의에서 6시간 동안 세컨드라이프 사용법에 대해 면대면 강의가 이루어졌으며, 이후 3시간씩 14회의 강의는 모두 세컨드라이프 내 강의실에서 이루어졌다. 설문에 응한 5명의 참여자로부터의 성찰노트, 연구자 관찰 및 면담 내용을 분석한 결과, 세컨드라이프에서 아바타를 사용한 원격강의 수강과 발표 경험은 세컨드라이프에서 아바타를 사용한 원격 강의를 수행할 수 있는 자신감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세컨드라이프라는 가상현실공간에서 아바타를 사용한 원격교육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으며, 향후 원격 교육에 대한 연구를 촉진할 것으로 기대된다.

유치원 교육실습에서 교육일기 쓰기가 예비유아교사의 교사 효능감, 교육신념 및 교사가 느끼는 조직건강에 미치는 효과 (An Effects of Student-teaching in Kindergarten through Educational Diary on Pre-service Teacher Efficacy, Teacher's Educational Belief and Organizational Health)

  • 김종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5578-5587
    • /
    • 2011
  • 본 연구는 유치원 교육실습에서 피드백이 주어지지 않는 교육일기 쓰기가 예비유아교사들의 교사효능감, 교육신념, 그리고 그들이 느끼는 실습유치원의 조직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충남의 한 4년제 대학 유아교육과 4학년 34명을 대상으로, 이질통제집단전후검사 설계 방식에 의해 실험이 이루어졌고, 자료에 따라 $x^2$분석과 t-검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교육실습 일기 쓰기가 교사효능감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교사신념에는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셋째, 예비교사들이 느낀 실습학교의 조직건강에도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실습 지도교사의 피드백이 기본 전제 조건인 반성적 저널쓰기를 실용성 차원에서 실습일기 쓰기로 대체할 수 있다는데 있다. 지도교사의 피드백이 없이 단지 교육 실습일기 쓰기만으로도 교사효능감은 증진된다는 것이다.

초등 교사의 변인에 따른 소프트웨어 교육 교수효능감 상관 분석 (An Correlation Analysis of Software Education Teaching Efficacy According to Elementary School Teacher Variables)

  • 이소율;이영준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9년도 제59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7권1호
    • /
    • pp.213-214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초등 현직 교사 146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소프트웨어 교육 교수효능감 검사지(Software Education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SE-TEBI) 조사 결과에 따라 교사의 성별, 지역, 경력, 연수 경험 및 시간, SW 교육에 대한 태도와의 상관을 알아보기 위하여 이변량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소프트웨어 교육 교수효능감(Software Education Teaching Efficacy, SE-TE)에 가장 높은 관련성을 보이는 것은 SW 교육에 대한 태도였으며, 그 다음의 관련성을 보이는 것은 연수 경험 및 시간이었다. 성별은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지역과 경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초등 교사의 SE-TE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SW교육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함양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연수 경험을 제공하여야 함을 시사한다.

  • PDF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다문화교육 목표에 대한 관점, 다문화교육에 대한 태도와 다문화 교수효능감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s between Preschool Teachers' Beliefs about the Purpose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heir Attitudes and Teaching Efficacy with Respect to Multicultural Education)

  • 김나림;권이정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5호
    • /
    • pp.83-100
    • /
    • 2014
  •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다문화교육 목표에 대한 관점과 다문화교육 태도 및 다문화 교수효능감과의 관계를 분석한 연구이다. J시의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 총 296명을 대상으로 Pang(2005)의 다문화교육의 목표에 대한 교사의 관점, Ponterotto와 동료들(1998)이 개발한 교사 다문화 태도 척도 (Teacher Multicultural Attitude Survey: TMAS)를 옥장흠(2009)이 수정 보완한 다문화 교육에 대한 태도 척도, 최충옥과 모경환(2007)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교수효능감을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spsspc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일원변량분석,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기관 교사들은 다문화교육의 목표에 대한 관점에 대해 많은 교사들이 다문화교육은 '인간관계 강조'나 '배려중심'교육이 목표라고 인식하였다. 두 번째로,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다문화교육 목표에 대한 관점에 따라 다문화교육 태도와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다문화교육에 대한 태도나 다문화 교수효능감은 다문화교육 목표에 대한 관점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지는 않았다. 다만 '교육과정에 대한 태도'에서 교사의 관점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다문화교육 태도와 다문화 교수효능감은 정적 상관을 보여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다문화교육에 대한 일반적 태도, 교사역할에 대한 태도, 교사교육에 대한 태도 모두 교수효능감과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은 유아교육기관 교사들을 위한 다문화 현직교육과정의 필요성과 결부하여 논의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