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Constructive Teaching Beliefs and Eco-friendly Teaching Attitudes on The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유아교사의 구성주의적 교육신념과 자연친화적 교수태도가 수학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7.10.14
  • Accepted : 2017.12.13
  • Published : 2018.02.28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influences of constructivist educational beliefs and eco-friendly teaching attitudes on early childhood teachers'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This study also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eco-friendly attitud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ther two variables. Methods: A total of 399 teachers teaching 3,4 and 5-year-olds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Win 21.0 program and the Sobel test. Results: First, mathematical teaching 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constructivist educational beliefs and eco-friendly teaching attitudes. Second, with teacher's career as the control variable, constructivist educational beliefs have more influence in mathematical teaching efficacy than the other variable. Third, eco-friendly teaching attitude partially mediated between the other two variables. Conclusion/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constructivist educational beliefs and eco-friendly teaching attitudes are important factors on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various programs that increase constructivist educational beliefs and eco-friendly teaching attitudes.

Keywords

References

  1. 강경희 (2016). 예비유아교사의 유아과학 교수 내용의 실천적 지식과 과학교수효능감 및 과학적 태도 간의 관계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1), 498-514.
  2. 강병재, 김경수 (2015). 유치원 교사의 자연친화적 교수태도 평가도구 개발 연구. 아동교육, 24(1), 39-57.
  3. 강영식, 김규식 (2004). 교사의 자기효능감과 유아-교사 관계의 질에 따른 유아교사의 스케폴딩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9(3), 1-28.
  4. 강현석, 이지현 (2005). Efland의 Lattice 모형이 교육과정 설계에 주는 시사점 탐구. 미술교육논총, 19(3), 105-130.
  5. 권주영 (2001). 유아교사의 과학교수 효능감 수준에 따른 과학교육 실제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2013).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 서울: 교육과학기술부.보건복지부.
  7. 교육과학기술부 (2012. 1. 11). '생각하는 힘을 키우는 수학', '쉽게 이해하고 재미있게 배우는 수학', '더불어 함께하는 수학'의 구현을 위한 수학교육선진화 방안 발표, 조간보도자료. http://www.moe.go.kr/boardCnts/view.do?boardID=294&lev=0&statusYN=C&s=moe&m=0503&opType=N&boardSeq=30123에서 2017년 12월 13일 인출
  8. 김나림, 권이정 (2014).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다문화교육 목표에 대한 관점, 다문화교육에대한 태도와 다문화 교수효능감과의 관계.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5), 83-100. doi:10.14698/jkcce.2014.10.5.083
  9. 김남연, 이은형 (2016). 예비유아교사의 동작교수 불안 및 동작교육에 대한 태도와 동작교수효능감 간의 관계. 교육연구, 67, 179-201. doi:10.17253/swueri.2016.67..007
  10. 김복희 (2004). 유치원 교육환경의 질적 수준에 따른 교사 유아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김민정 (2014). 일상물중심의 수학교육과정이 예비유아교사의 수학적 신념과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육아정책연구, 8(2), 1-23.
  12. 김민정, 김지현 (2015). 어린이집 영아반 및 유아반 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6), 97-114. doi:10.14698/jkcce.2015.11.097
  13. 김세루, 홍지명, 김권일, 홍혜경 (2008). 유아교사의 수학교육에 대한 인식과 수학 교수효능감, 유아의 수학적 태도와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28(5), 141-157. doi: 10.18023/kjece.2008.28.5.007
  14. 김숙자, 김지영 (2007). 자연물을 활용한 유아 수학교육활동 경험. 유아교육학논집, 11(4), 199-223.
  15. 김영실 (2009). 유아교사의 구성주의적 교육신념, 과학교수 효능감과 과학교수 적극성과의 관계.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김은선 (2017). 유아교사의 환경관과 자연친화적 교수태도에 관한 연구.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김정주 (2003). 유아교사의 수학교수효능감 형성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김정주 (2008). 자연친화적 수학놀이 구성하기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김지혜, 허윤정, 조형숙 (2007). 자연친화 교육활동에서 나타난 유아교사의 교수행동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2(5), 307-340.
  20. 김진희 (2012). 교사 열정의 교육적 의미에 관한 연구. 열린교육연구, 20(2), 213-240.
  21. 김형미 (2010). 유치원 교사의 수학교수효능감에 따른 수학교수실제.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김혜자, 신금호 (2014. 3). 기획주제 학술세미나 1: 기획주제 6 - 수과학교육: 자연물을 활용한 수학활동이 유아의 수학능력과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학회 정기학술발표논문집, 280-293. 서울.
  23. 박가영 (2016). 현직 유아교사와 예비 유아교사의 수학교과교육학지식, 수학태도, 수학교수효능감 비교. 광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박선화, 김명화, 주미경 (2010).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 향상 방안 연구.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5. 박은주, 박성혜 (2013). 자연친화 교사교육을 통한 보육교사의 자연친화 교육에 대한 인식변화. 유아교육학론집, 17(3), 225-250.
  26. 박진성, 문혁준 (2006). 유아교사의 음악교수 효능감, 음악교육에 대한 태도, 음악교수의 실제에 관한 연구.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4(9), 9-19.
  27. 배지미 (2003). 유아수학교육에 대한 교사인식 분석.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백은주, 이혜미 (2012). 예비유아교사의 교육목표, 교수활동과 평가, 교사역할에 대한 교수신념 유형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7(4), 225-248.
  29. 서정민, 이정화 (2017). 유아교사의 구성주의 교육신념, 수학교수효능감 및 수학교과교육학지식이 수학교수적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3(1), 185-200. doi:10.14698/jkcce.2017.13.01.185
  30. 손유진, 남미경 (2016). 예비유아교사의 인식론적 신념과 교수학습관이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사고개발, 11(2), 21-38.
  31. 신금호 (2013). 예비유아교사의 음악교수 불안 및 음악교육에 대한 태도와 음악교수효능감 간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0(1), 145-163.
  32. 신금호 (2017). 자연물을 활용한 협동적 수학활동이 유아의 수학개념과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론집, 21(3). 193-213.
  33. 신은수 (2000). 놀이에 대한 교사효능감이 교사와 유아의 상호작용과 놀이발달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20(1), 27-42.
  34. 신은수, 유영의, 박현경 (2004). 유아교사의 놀이에 대한 교수효능감과 놀이 운영 실제 신념에 관한 도구 개발연구. 유아교육연구, 24(1), 49-70.
  35. 안정민 (2012). 5세 누리과정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양미영 (2013).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이 구성주의 교육신념 및 교수실제에 미치는 영향. 부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여은진 (2004). 유아교사의 수학 교수효능감 관련 변인연구: 수학교육에 대한 인식과 지원환경 및 교수만족도를 중심으로.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오인정, 김지현 (2017. 5). 구성주의적 교육신념, 자연친화적 교수태도와 수학교수효능감이 자연물을 활용한 수학활동 중요도 인식과 실시정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간발달학회 춘계학술대회 포스터발표 논문, 서울.
  39. 유승희 (2017). 영유아교사의 수학교수효능감에 대한 수학적 태도, 수학교과교육학지식 및 구성주의신념의 영향.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0. 윤은정 (2014). 유아교사의 수학 교수효능감 관련 연구의 경향 분석. 발도르프교육연구, 6(1), 67-87.
  41. 이세나, 강순미 (2013). 다문화 경험에 따른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감수성, 다문화교육태도, 다문화교수효능감에 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0(4), 95-124.
  42. 이은영, 우정민 (2010). 예비 유아교사의 수학에 대한 태도 및 수학 교수효능감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30(4), 213-229.
  43. 임은정 (2007). 유아교사효과 관련 변인 분석: 구성주의적 관점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4. 이은진 (2013). 예비유아교사의 과학교수지식과 과학적 태도 및 과학 교수효능감 간의 관계.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4),135-158. doi:10.14698/jkcce.2013.9.4.135
  45. 이은형 (2012). 유아를 위한 자연친화적 수학영역 중심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6. 이지혜 (2010). 유치원 현직교사와 예비교사의 자연친화 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7. 이희현, 이숙정 (2015). 예비유아교사의 구성주의 교육신념에 따른 숲 유치원에 대한 인식차이. 한국산림휴양학회지, 19(1), 25-33.
  48. 전인옥 (1998). 유아교사의 교육신념과 교수효능감이 언어적.비언어적 교수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대학교 논문집, 26, 542-565.
  49. 정정희 (2001a). 유아교사의 수학교수효능감에 따른 수학수업실제에 관한 연구. 아동학회지, 22(4), 225-241.
  50. 정정희 (2001b). 유아교사의 수학 교수효능감 수준과 아동의 수학적 사고능력과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6(3), 97-116.
  51. 조형숙, 김갑순 (2009). 자연물을 활용한 수 활동이 유아의 수개념 이해, 수학적 태도 및 환경친화적 태도 증진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3(4), 341-366.
  52. 조형숙, 김현주, 홍은주 (2004). 유아 교사의 환경 친화적 태도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8(1). 33-50.
  53. 지성애, 김치곤 (2011). 예비 유아교사의 과학교수 효능감, 과학적 태도와 구성주의 교육신념 간의 관계. 유아교육학논집, 15(1), 277-300.
  54. 지옥정, 조부경, 서윤희 (2016). 유아교사의 환경교육 경험, 환경지식, 환경친화적 태도가 환경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미디어연구, 15(3), 297-302. doi:10.21183/kjcm.2016.09.15.3.279
  55. 한종화 (2006). 유아교사의 수학 교수 효능감 증진을 위한 현직교사교육의 효과. 유아교육학논집, 10(3), 285-309.
  56. 한종화 (2013). 유아교사의 수학 본질에 대한 신념, 수학에 대한 태도, 수학교수효능감 간의 관계. 유아교육학논집, 17(5), 421-439.
  57. 한종화, 박찬옥 (2004). 탐구중심 수학교육의 실행과정에서 나타난 유아교사의 변화 탐색. 유아교육학논집, 8(1), 141-173.
  58. 한희승, 이정화 (2015). 유아교사의 구성주의 교육 신념에 따른 유아 협동 활동에 대한 관심도 및 실천수준.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1), 269-287. doi:10.14698/jkcce.2015.11.269
  59. 홍정배 (2011). 구성주의에 대한 유아교사의 신념과 실제에 대한 교사 개인변인분석.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0. 홍혜경 (2010). 유아수학능력 발달과 교육. 서울: 양서원.
  61. 홍희주, 정정희 (2013). 유치원 교사의 수학교수효능감 관련 변인들 간의 관계 구조분석. 유아교육연구, 33(1), 115-133. doi:10.18023/kjece.2013.33.1.006
  62. Allinder, R. M. (1994). The relationship between efficacy and the instructional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consultants. Teacher Education and Special Education. 17(2), 86-95. doi:10.1177/088840649401700203
  63. Ashton, P. T. (1984). Teacher efficacy: A motivational paradigm for effective teacher educa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5(5), 28-32. doi:10.1177/002248718403500507
  64.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2), 191-215. doi:10.1037//0033-295x.84.2.191
  65. Bennet, N., Wood, L., & Rofers, S. (1997). Teaching through efficacy: Teacher's thinking and classroom practice. Buckingham, UK: Open University Press.
  66. Benz, C. R., Key, A. M., & Ann, F. M. (1992). Personal teaching efficacy: Developmental relationship in educatio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85(5), 274-285. doi:10.1080/00220671.1992.9941127
  67. Borden, M. L. (1993). The preschool teacher's use of children's books to introduce and enhance the teaching of mathematical concep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emple University, USA.
  68.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doi:10.1037//0022-3514.51.6.1173
  69. Charlesworth, R., Hart, C. H., Burts, D. C., Thomasson, R. H., Mosley, J., & Fleege, P. (1993). Measuring developmentally appropriateness of kindergarten teachers' beliefs and practice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8(3), 255-276. doi:10.1016/S0885-2006(05)80067-5
  70. Coleman, L. M., Jussim, L., & Issac, J. L. (1991). Black students' reaction to feedback conveyed by white and black teacher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21(6) 460-481. doi:10.1111/j.1559-1816.1991.tb00531.x
  71. Fosnot, C. T., Gould, J. S., Greene, M., Julyan, C., Lester, J. B., & Schifter, D., et al. (2006). Constructivism theory, perspectives, and practive, 구성주의 이론, 관점, 그리고 실제(조부경, 김효남, 백성혜, 김정준 옮김). 서울: 양서원(원판 2001).
  72. Heiniger, M. (1993). Enriching outdoor play experience. Childhood Education, 70(2), 81-90. doi:10.1080/00094056.1993.10521000
  73. Katz, K. (1984). The professional early childhood teacher. Young Children, 39(5), 3-10.
  74. Lee, J. S., & Ginsburg, H. P. (2007a). Preschool teachers' beliefs about appropriate early literacy and mathematics education for low- and middle-SES children. Early Education & Development, 18(1), 111-143. doi:10.1080/10409280701274758
  75. Lee, J. S., & Ginsburg, H. P. (2007b). What is appropriate mathematics education for four-year-olds?: Pre-kindergarten teachers' beliefs. Journal of Early Childhood Research, 5(1), 2-31. doi:10.1177/1476718x07072149
  76. Lee, S. (2010). A study on the field application of collaborative apprenticeship model of learning as the social participation based on situated learning. The Journal of Yeolin Education, 18(2), 1-24.
  77. Luo, F. (2000).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and reform belief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aiwa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exas University, USA.
  78. Moore, R. C., & Wong, H. H. (1997). Natural learning: Creating environmental for rediscovering natures way of teaching. Berkeley, California: MIG Communications.
  79. Moore, W., & Esselman, M. (1992, April). Teacher efficacy, power, school climate and achievement: A desegregating district's experience.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San Francisco, CA.
  80. Muljs, D., & Raynolds, D. (2002). Teacher' beliefs and behaviors: What really matters? Journal of Classroom Interaction, 37(2), 3-15.
  81. OECD. (2016). Equations and inequalities: Making mathematics accessible to all. Paris: OECD Publishing, Paris. doi:10.1787/19963777
  82. Rogoff, B. (1990). Apprenticeship in thinking: Cognitive development in social context. NY: Oxford University Press.
  83. Spodek, B., & Saracho, O. (1990). Early childhood curriculum construction and classroom practice.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61(1), 1-10. doi:10.1080/0300443900610101
  84. Waite-Stupiansky, S. (1997). Building understanding togather: A constructivist approach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Albany, NY: Delmar Publis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