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assessment

검색결과 167건 처리시간 0.032초

자유학기제 과학과 평가에서 과학 교사가 겪는 어려움과 해결방안 (Science Teachers' Difficulties and Solutions of Free Semester Science Assessment)

  • 김유라;최애란
    • 대한화학회지
    • /
    • 제63권3호
    • /
    • pp.166-182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자유학기제 과학과 평가를 실행하면서 과학 교사들이 겪은 어려움과 이에 대한 해결 방안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자유학기제 과학과 수업 및 평가 경험이 있는 과학 교사 15명을 편의 표집하여 설문과 개인 면담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참여 과학 교사들은 평가 주체 영역에서의 어려움으로 학생 자기평가 학생 동료평가시 정확한 평가 불가능을 가장 많이 언급하였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구체적인 평가 항목 제시, 학생의 평가 능력 향상을 위한 연습 기회 제공 등을 제시하였다. 또한, 평가 내용 영역에서 객관적인 평가 기준 부족으로 인한 정의적 영역 평가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하여 평가 실시 전 학생에게 평가 기준 제시, 교사 간 협의를 통한 기준 선정 등을 제시하였다. 평가 방법 영역의 수행 평가시 어려움으로 관련 자료 및 평가 도구 개발 보급 미흡을 가장 많이 선택하였다. 평가 결과 영역 중 피드백을 제공하는 과정에서의 어려움으로 많은 수의 학생에게 피드백을 해야 하는 부담을 가장 많은 교사들이 선택하였고, 교사 1인당 학생 수 감소 또는 교사의 수업 시수 감소 등의 해결 방안이 제시되었다. 평가 결과 서술식 기재의 어려움으로 가장 많은 교사들이 언급한 학생의 특성 파악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하여 교사 1인당 학생 수 감소와 행정 업무 경감 등의 해결 방안이 제시되었다. 자유학기제 과학과 평가를 위한 교과 협의회에서는 과정 중심 평가에 대한 동료 교사의 이해 부족과 소극적 태도로 인한 어려움이 언급되었는데 꾸준한 토론과 평가에 대한 교사의 인식 개선이 해결 방안으로 제시되었으며 자유학기제 과학과 평가를 위한 연수 관련 어려움으로 학생 수 과다 및 시간 부족으로 연수 내용의 현장 적용의 어려움이 언급되었다. 자유학기제 과학과 평가에서 겪는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교사 스스로의 노력뿐 아니라 제도적 지원이 함께 이루어졌을 때 자유학기제 과학과 평가의 성공적 운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IMSS 결과에 나타난 우리나라 교실내 수학 교육의 변화 추이 분석 (Analysis of Trends of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n Classes Based on TIMSS)

  • 김선희;김수진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139-155
    • /
    • 2012
  • 본 연구는 1995년부터 2007년에 이르기까지 4회에 걸친 TIMSS의 학교장과 수학 교사 설문 결과를 분석하여 우리나라 수학 교실 내에서의 수학교육의 변화를 수학 교수 학습 방법, 평가, 교사의 전문성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교수 학습 방법에서는 수준별 수업이 최근 많이 실시되고 있으며, 교사보다 학생 중심의 활동 비중이 수업에서 늘어났고, 숙제 빈도는 늘었으나 소요 시간은 많지 않으며 숙제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수학 수업과 연계되도록 활용되고 있음이 나타났다. 수학 평가 문항은 객관식이 많이 활용되고 있고 다양한 방법의 평가가 점차 많이 활용되고 있었다. 수학 교사의 전문성 측면에서, 교사들은 고령화되고 있으며 수학과 수학교육 전공자가 늘었고 수학을 가르칠 준비에 자신감이 많지 않았다. 그러나 수학 교사들은 동료와 다양하게 상호작용을 하는 경향이 있었고 연수 참가 비율은 연수 내용에 따라 증감이 있었다.

수학과 성취기준과 평가기준 및 예시 평가도구 개발 연구 -국민공통교육기간을 중심으로- (Research and Development of Achievement and Assessment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Based o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 최승현;황혜정;신항균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2권1호
    • /
    • pp.145-162
    • /
    • 2002
  • In this study, on the basis of the seventh na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the achievement standards were developed to specify the objectives and contents of teaching-learning and the assessment standards were also developed to differentiate students' levels of achievement at school mathematics. The achievement standards were developed on the following guidelines; 1) to present the minimum standards based on the national curriculum, 2) to develop the standards based on the order of curriculum, 3) to suggest the minimum but ultimate achievement target, 4) to comprise not only of the intellectual but also of psychological spheres such as knowledge, function, attitude, aptitude, etc., and 5) to suggest the standards comprehensively and concretely. The standards were developed on the basis of the middle areas of contents of the curriculum in order not to be too comprehensive, nor to be too detailed. Learning activities, on the other hand, were provided for the assistance of instructions with emphasis on creativity rather than on the routine instruction. The assessment standards were established based on the following principles; 1) to establish the assessment methods, contents, and situations which are to be used for assessment, 2) to establish the criteria of classifying the assessed into the upper, intermediate and lower levels, 3) to develop the assessment standards in a proportionate balance to achievement standards, 4) to establish the intermediate level as a standard, and 5) to establish the minimum level in the contents, concepts, values and attitudes of basic learning. This study also suggested the exemplary test items including short-answer and open-ended questions while putting emphasis on students' real performance to increase their ability in solving problems rather than in calculating. In addition to the test items, it introduced the grading system developed to grade the items with concrete guidelines and to report students' achievement on doing mathematics.

  • PDF

Interactive learning in oral and maxillofacial radiology

  • Ramesh, Aruna;Ganguly, Rumpa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46권3호
    • /
    • pp.211-216
    • /
    • 2016
  • Purpose: The use of electronic tools in teaching is growing rapidly in all fields, and there are many options to choose from. We present one such platform, Learning Catalytics$^{TM}$ (LC) (Pearson, New York, NY, USA), which we utilized in our oral and maxillofacial radiology course for second-year dental students. Materials and Methods: The aim of our study was to assess the correlation between students' performance on course exams and self-assessment LC quizzes. The performance of 354 predoctoral dental students from 2 consecutive classes on the course exams and LC quizzes was assessed to identify correlations using the Spearman rank correlation test. The first class was given in-class LC quizzes that were graded for accuracy. The second class was given out-of-class quizzes that were treated as online self-assessment exercises. The grading in the self-assessment exercises was for participation only and not accuracy. All quizzes were scheduled 1-2 weeks before the course examinations. Results: A positive but weak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overall quiz scores and exam scores when the two classes were combined (P<0.0001). A positive but weak correlation was likewise found between students' performance on exams and on in-class LC quizzes (class of 2016) (P<0.0001) as well as on exams and online LC quizzes (class of 2017) (P<0.0001). Conclusion: It is not just the introduction of technological tools that impacts learning, but also their use in enabling an interactive learning environment. The LC platform provides an excellent technological tool for enhancing learning by improving bidirectional communication in a learning environment.

예비 과학 교사의 실시간 온라인 수업 설계 사례 분석 (An Analysis of Cases of Real-time Online Class Design by Pre-service Science Teachers)

  • 한화정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563-572
    • /
    • 2023
  • 본 연구는 예비 과학 교사가 설계한 온라인 수업 사례를 분석하여 예비 과학 교사가 온라인 수업을 위해 사용하는 교수전략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 학기 동안 온라인 수업 도구 활용 교육을 경험한 12명의 예비 과학 교사가 작성한 실시간 온라인 수업 교수학습과정안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예비 과학 교사는 기존의 대면 수업 설계 시 필수적으로 고려하였던 선수학습 확인, 학습목표 제시, 학습동기 유발, 교수학습방법, 학습내용 정리, 교사-학생 상호작용, 학생 평가 등의 요소를 모두 고려하였으며, 이들 각 요소에서 온라인 수업의 한계를 극복하고 대면 수업에서 불가능했던 교수전략을 고안하였다. 또한 예비 과학 교사는 온라인 수업 도구를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는 환경 구축과 관련된 온라인 수업 환경 점검 관련 교수전략까지 고려하고 있었다. 다만 학습목표 제시, 학습동기 유발, 학습내용 정리는 대부분의 예비 과학 교사가 시청각 자료 제시 방식의 온라인 수업 도구를 활용한 기존의 대면 수업의 교수전략을 주로 활용하고 있으며, 학습동기 유발과 학습내용 정리에서 학생 중심의 접근의 교수전략을 매우 드물게 구현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한 학기 동안의 온라인 수업 도구 활용 교육은 부족하며, 예비 교사 교육에서 온라인 수업 도구 활용 교육의 지속적인 운영과 확대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환경영향평가영역의 활용가능성 연구 - 고등학교 환경교과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vailability of EIA in High School)

  • 정시내;남영숙
    • 환경영향평가
    • /
    • 제14권1호
    • /
    • pp.1-15
    • /
    • 2005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objectives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EIA) and th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ESD) factors used EIA in 'ecology and environment' textbook, and finally to analyze the situation and contents level of EIA domain in textbook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the positive availability of EIA domain in high school for realization of effective ESD. To analyze the objectives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EIA and ESD factors used EIA, researchers used the text, the activity and the teaching tip in three kinds of 'ecology and environment' textbook by the 7th curricula as the object of analysis. Framework to analyze the objectives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EIA is the category of environmental education objectives of UNESCO presented according to 'Tbilisi Intergovernmental Conference on Environmental Education' and framework to analyze ESD factors used EIA is developed on the basis of the theory about EIA and ESD factors updated in this study. In conclusion, it proves that the EIA domain through the activity is effective for realization of ES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study, it is proposed that the follow-up studies on the improvement of EIA domain in textbook in both quality and quantity as well as 'the teaching & learning methods and various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etc: based on the emphasis on the activity are needed to progress steadily for realization of effective ESD in high school in the future.

2002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분석(I) -수학과의 성취수준 비율을 중심으로-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in 2002 - The Result Analysis of Achievement Levels in Mathematics -)

  • 조영미;이봉주;나귀수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6권3호
    • /
    • pp.301-312
    • /
    • 2004
  • 이 논문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2002년에 실시하고 이듬해인 2003년에 분석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결과 보고 내용 중에서 특별히 성취수준과 관련된 부분을 요약한 것이다. 이 성취도 평가에서는 ‘수정된 앙고프 방법’을 도입하여 성취수준을 합리적으로 설정하고자 하였으며, 그렇게 설정된 성취수준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초등학교 6학년, 중학교 3학년,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학력의 수준을 분석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평가 영역, 성, 지역별로 각 학년급의 성취수준 비율을 제시하고, 이로부터 교육정책과 수학교육과정에 관련된 제언을 하였다.

  • PDF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인식 분석 (A Recognition Analysis of Elementary Teachers for Software Education of 2015 Revised Korea Curriculum)

  • 김갑수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47-56
    • /
    • 2016
  • 21세기 지식 정보 사회의 창의적인 인재 양성을 위해 2018년도부터 초등학교에서 소프트웨어 교육을 실시한다. 2015년에는 초등학교에서 실시되는 소프트웨어 교육의 교육 내용과 성취기준을 만들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 199명을 대상으로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했고,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프트웨어 교육이 초등학교에 필요하고, 17시간으로는 부족하다. 둘째, 현재 교사들은 일반적인 소프트웨어 교육의 교육 내용, 교수 학습 방법, 평가 방법, 자료 개발 방법 등의 내용을 잘 모른다. 셋째, 성취기준에 대한 이해, 성취기준 적합한 교육 자료 개발과 지도 방법에 대해서도 인지가 낮다. 따라서 초등학교 모든 교사가 교사 연수를 통하여 성취기준에 적합한 교수학습 자료 개발, 평가 방법, 지도 방법을 알 수 있게 해야 한다.

관계형성역량 강화를 위한 주생활 영역 교수 설계안 개발 (The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Design for Strengthening of the Relationship Formation Competence through the Lessons of Housing Area)

  • 김은정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65-77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주생활 영역 수업을 통해 교과역량 중 관계형성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기술 가정 교과의 교육과정 문서와 교육과정 성취기준 및 평가준거 성취기준 및 평가기준 문서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평가기준의 동사와 교육과정 내용 체계에 제시된 기능의 내용을 비교 분석하여 교육과정이 학교 현장에서 충실히 반영될 수 있을지의 여부를 탐색하였다. 그리고 주생활 영역 수업을 통한 교과역량 중 관계형성역량을 함양하기 위한 교수 학습 및 평가 방법을 제안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충실히 구현될 수 있는 계획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개정 기술 가정 교과의 교육과정 문서에는 교과역량 세 가지를 내용 영역에 따라 분리 제시하였으나, 내용 영역이 3가지 교과역량과 상호 배타적이지 않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인간의 능력 개발이 가진 특징 즉 하나의 학습이 하나의 역량으로만 관련되지 않음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둘째, 2015 개정 교육과정 문서의 기능(skills)은 평가기준에 부분적으로 반영되어 있어서, 평가기준을 반영한 교육 평가가 이루어지는 학교 교육에서 교과역량을 평가할 체계를 충실히 반영하기 어려울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교육과정을 실현하는 교사들이 다양한 교과역량을 기르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할 필요성을 보여준다. 그리고 역량 중심 교육과정이 가진 근본적인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교사 재교육과 교사들의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교수 학습 방법과 평가 방법 개선을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K-MOOC 강좌 개발과 학습자 만족도 분석 -어패럴패턴캐드 교육을 중심으로- (K-MOOC Course Development and Learners' Satisfaction Analysis -Focusing on Apparel Pattern CAD Education-)

  • 최영림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369-383
    • /
    • 2020
  • This study proposes a method to effectively teaching technic for pattern development and virtual garment manufacturing by adopting the K-MOOC platform for the Apparel Pattern CAD curriculum. According to K-MOOC guidelines, Apparel Pattern CAD curriculum were developed and presented through the K-MOOC platform. A questionnaire survey was utilized to evaluate K-MOOC platform features in terms of learner satisfaction when adopting the 5-point Likert scale. Questionnaire survey participants included 52 college students. The result of the survey found that most of the attributes of the K-MOOC platform were highly rated in terms of interaction and learning effectiveness. The user interface of the K-MOOC platform were shown to be satisfactory in terms of usability. Participants gave a positive assessment of the benefits of online lectures when comparing online and offline lectures. In particular, the preference for online lectures in computer-related courses such as CAD was higher than the offline. It was concluded that the Apparel Pattern CAD curriculum based on the K-MOOC platform was effective and satisfactory for learners in various asp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