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Availability of EIA in High School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환경영향평가영역의 활용가능성 연구 - 고등학교 환경교과서를 중심으로 -

  • Received : 2004.11.08
  • Accepted : 2005.02.03
  • Published : 2005.02.28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objectives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EIA) and th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ESD) factors used EIA in 'ecology and environment' textbook, and finally to analyze the situation and contents level of EIA domain in textbook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the positive availability of EIA domain in high school for realization of effective ESD. To analyze the objectives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EIA and ESD factors used EIA, researchers used the text, the activity and the teaching tip in three kinds of 'ecology and environment' textbook by the 7th curricula as the object of analysis. Framework to analyze the objectives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EIA is the category of environmental education objectives of UNESCO presented according to 'Tbilisi Intergovernmental Conference on Environmental Education' and framework to analyze ESD factors used EIA is developed on the basis of the theory about EIA and ESD factors updated in this study. In conclusion, it proves that the EIA domain through the activity is effective for realization of ES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study, it is proposed that the follow-up studies on the improvement of EIA domain in textbook in both quality and quantity as well as 'the teaching & learning methods and various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etc: based on the emphasis on the activity are needed to progress steadily for realization of effective ESD in high school in the future.

Keywords

References

  1. 강 헌, 박석순, 이무춘, 이장훈, 이주삼, 이태관, 이한섭, 이현동, 임재명, 전의찬, 조용진, 한상욱, 2002, 환경영향평가, 동화기술
  2. 권영락, 김종욱, 민경석, 2002, 지속가능발전 환경교육의 개요 및 국내.외 동향, 환경교육학회 2002년도 후반기 정기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집, 26-34
  3. 김귀곤, 1993, 환경적으로 건전하고 지속가능한개발(ESSD)의 달성을 위한 환경영향평가(EIA), 한국환경정책학회지, 1(1)
  4. 김영민, 곽상만, 오용남, 이범홍, 정인철, 2002, 생태와 환경, (주)교학사
  5. 김영화, 2001, 최신 환경영향평가론, 신광출판사
  6. 김임순, 송영일, 최원욱, 한상욱, 2003, 최신 환경영향평가, 동화기술
  7. 남영숙, 2000, 독일의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교육, 2000년 후반기 독일방문연구결과보고서, DFG/KOSEF
  8. 남영숙, 2002, 학교생태감사제도 도입에 관한 연구, 2001년도 한국학술진흥재단 신진교수 연구지원사업 결과보고서
  9. 남영숙, 2004, 학교 생태감사의 이론적 고찰과 도입방안 연구, 환경영향평가학회지, 13(2), 41-55
  10. 박진희, 장남기, 1995,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환경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그 효과, 환경교육, 8, 98-106
  11. 박태윤, 정완호, 최석진, 최돈형, 이동엽, 노경임, 2001, 환경교육학개론, 교육과학사
  12. 박하나, 남영숙, 2004, 지속가능개발 환경교육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학교의제 21 개발 연구. 환경교육학회 2004년도 후반기 정기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집, 178-183
  13. 백문수, 1996, 환경위기에 대한 지속가능개발(ESSD)의 교육방향,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이선경, 1993, 학교 환경교육의 문제점과 자기환경화를 통한 환경교육전략의 효과,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이정선, 2003, 지속가능성을 위한 환경교육 내용 분석,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정완호, 박국태, 박태윤, 이훈정, 2002, 생태와 환경, (주)중앙교육진흥연구소
  17. 최돈형, 남상준, 이재영, 손연아, 2001, 제 2차 중, 장기 환경교육 강화방안연구, 환경부
  18. 최돈형, 2002, 환경과 교수.학습론, 청람환경교육연구실
  19. 최석진, 1994, ESSD와 환경 보전 의식 및 환경교육, 환경교육학회지, 6, 112-120
  20. 최석진, 박선미, 심현민, 이용순, 박종성, 2001, 환경교육 교수-학습 및 평가 방법 연구.개발-제1권, 2권, 한국교육과정평가원.한국직업능력개발원
  21. 최석진, 김종욱, 신동희, 이재영, 2002, 국가 지속 가능발전을 위한 환경교육 추진전략 개발 연구, 환경부
  22. 최석진, 신호상, 이도원, 이두곤, 2002, 생태와 환경, (주)대한교과서주식회사
  23. 한상욱, 2001, 환경영향평가론, 동화기술
  24. 한상욱, 성현찬, 이상훈, 장영기, 2000, 환경영향평가론, 향문사
  25. Haan, G., 2001, Launch of the BLK-Programme 21: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26. Haan, G., Mann, J., Reid, A.M., 2000, Educating for Sustainability, Umweltbildung und Agenda 21, Peter Lang
  27. Haan, G., 2002, Nachhaltigkeitsaudit
  28. Tilbury, Daniella., 1995, Environmental Education for Sustainability: Defining the New Focus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1990s. Environmental Education Research, 1(2), 195-212 https://doi.org/10.1080/1350462950010206
  29. UNESCO, 1980,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Light of the Tbilisi Conference, UNESCO
  30. http://home.t-online.de/home/Dieter. Gross/helsinki.h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