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ing Ability

검색결과 1,411건 처리시간 0.027초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을 적용한 기본간호학 실습교육에서 성찰일지의 작성이 간호학생의 메타인지와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Writing Reflective Journal on Meta-cognition and Problem Solving Ability in Nursing Students taking a Fundamental Nursing Skills Course Applying Blended Learning)

  • 조미영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30-439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n efficient teaching-learning method by analyzing effects of writing reflective journals on meta-cognition and problem solving ability in nursing students in education applying blended learning for fundamental nursing skills. Methods: The research design was a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done to assess changes in meta-cognition and problem solving ability. Participants were 63 nursing students taking the fundamental nursing skills course at one college in Gyeonggi Province. The course was offered from March 21 to June 3, 2016. Data were collected using pre and post tests given before and after writing of reflective journals in blended learning.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OVA, $Scheff{\acute{e}}^{\prime}s$ test and paired t-test with SPSS Statistics version 20.0.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scores for meta-cognition and problem solving ability of these students were all above average.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meta-cognition between pre and post writing of reflective journals but not for problem-solving ability. Conclusion: The findings indicate that writing a reflective journal in blended learning is an efficient teaching-learning method to improve meta-cognition in nursing students.

예비보육교사의 직업기초능력, 교직 인·적성, 행동유형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Basic Vocational Competencies, Teaching Personality·Aptitude, and Behavior Type of Preschool Teachers)

  • 임명희;박윤조;김성현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145-161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보육교사의 NCS 직업기초능력, 교직 인 적성 및 DISC 행동유형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에 소재한 D대학의 예비보육교사 1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NCS 직업기초능력측정검사', '교직 인 적성 검사도구', 그리고 'DISC 행동유형 검사도구'를 사용하여 연구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Pearson 적률 상관계수를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주도성의 성격요인은 수리능력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교성의 성격요인은 자기개발능력과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안정성의 요인은 수리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개발능력, 기술능력, 조직이해능력과 유의미한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업기초능력과 교직 인 적성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직업기초능력과 교직 인 적성의 요소들 간에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주도성의 특성은 문제해결력/탐구력, 판단력, 창의/응용력, 지도성, 지식/정보력, 계획성, 성실/책임감과 같은 영역에서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나타난 반면에서 안정성은 문제해결력. 탐구력, 판단력, 창의응용력, 지도성, 성실/책임감과 유의미한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 Case Study of Improving Instruction by Utilizing Online Instruction Diagnosis Item Pool

  • SHIM, Mi-Ja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6권2호
    • /
    • pp.23-41
    • /
    • 2005
  • One of the main factors that determine the quality of instruction is the teaching ability of the instructor administering the class. To evaluate teaching ability, methods such as peer review, student feedback, and teaching portfolio can be used. Among these, because feedback from the students is directly associated with how well the students feel they have learned, it is essential to improving instruction and teaching ability. The principal aim of instruction evaluation lies in the evaluation of instructor's qualification and the improvement of instruction quality by enhancing professionalism. However, the mandatory instruction evaluations currently being carried out at the term's end in universities today have limitations in improving instruction in terms of its evaluation items and times. To improve the quality of instruction and raise teaching abilities, instruction evaluations should not stop at simply being carried out but also be utilized as useful data for students and teachers. In other words, they need to be used to develop teaching and improve instruction for teachers, and consequently, should also exert a positive influence on students' scholastic achievements and learning ability. The most important thing in evaluation is the acquisition of accurate information and how to utilize it to improve instruction. The online instruction diagnosis item pool is a more realistic feedback device developed to improve instruction quality. The instruction diagnosis item pool is a cafeteria-like collection of hundreds of feedback questions provided to enable instructors to diagnose their instruction through self-diagnosis or students' feedback, and the instructors can directly select the questions that are appropriate to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their instruction voluntarily make use of them whenever they are needed. The current study, in order to find out if the online instruction diagnosis item pool is truly useful in reforming and improving instruction, conducted pre and post tests using 256 undergraduate students from Y university as subjects, and studied the effects of student feedback on instructions. Results showed that the implementation of instruction diagnosis improved students' responsibility regarding their classes, and students had positive opinions regarding the usefulness of online instruction diagnosis item pool in instruction evaluation. Also, after instruction diagnosis, analyzing the results through consultations with education development specialists, and then establishing and carrying out instruction reforms were shown to be more effective. In order to utilize the instruction diagnostic system more effectively, from planning the execution of instruction diagnosis to analyzing the results, consulting, and deciding how those results could be utilized to instruction, a systematic strategy is needed. In addition, professors and students need to develop a more active sense of ownership in order to elevate the level of their instruction.

시멘트와 거푸집을 이용한 중학교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이 창의융합 역량에 미치는 효과 (Development of a Maker Education Program Using Cement and Mold for Middle School Students and Effect on Convergence Ability for Creativity)

  • 김성수;유현석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129-138
    • /
    • 2019
  • 최근까지 메이커 교육의 흐름은 3D 스캐너, 3D 프린터, 피지컬 컴퓨팅 도구 등과 같은 디지털 기기를 활용한 메이커 프로그램 연구들이 주류를 이룬 반면, 학생들의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즉시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하여 직접 손으로 만들 수 있는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 개발은 다소 미흡한 실정이었다. 이 연구에서는 중학교 기술 교과를 학습하는 학생들을 위해 시멘트와 거푸집을 이용한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학생들의 창의융합 역량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준비 단계에서는 문헌분석을 통해 학습단원과 내용요소를 추출하였으며, 개발 단계에서는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고 교수-학습 자료 타당도 및 창의융합 역량을 측정할 수 있는 평가도구를 선정하였다. 실행 단계에서는 교수-학습 자료와 창의융합 역량 평가도구에 대한 전문가 타당도 검증을 실시한 후 수업을 실시하였으며, 평가단계에서는 창의융합 역량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t-검증을 실시한 결과 학생들에게 창의융합 역량에서 유의미한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으로는 소통과 협업능력, 타 분야에 대한 지식, 인본주의 요인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생의 문제해결력을 위한 놀이 중심 알고리즘 교재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lgorithm Teaching Materials Centered on Plays for Problem-solving Abilities of Elementary Students)

  • 백선련;송정범;박정호;이태욱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85-95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한 놀이 중심 알고리즘 교재를 개발하고 적용하는데 있다. 개발된 교재는 전문가에 의해 내용타당도를 검증받고 수정한 후, 대구광역시의 초등학교 5학년 학생 71명을 대상으로 6주간 투입하였다. 컴퓨터교육교재에 따라 놀이 중심 알고리즘 교재 집단, 알고리즘 교재 집단의 두 집단으로 구분하였으며, 혼합변량분석을 통해 사전 사후 각 집단의 문제해결력 점수 변화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컴퓨터교육교재의 적용 전 초등학생의 문제해결력은 적용 이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놀이 중심 알고리즘 교재를 적용한 집단이 알고리즘 교재 적용 집단에 비해 교재 적용 전후 문제해결력에 있어서 큰 변화를 보였다.

  • PDF

초등 수학 영재를 위한 도형수 과제의 수준별 교수.학습 자료 개발 절차와 방법에 관한 연 (A Study on the Process of Teaching.Learning Materials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Level in the Figurate Number Tasks for Elementary Math Gifted Students)

  • 김양권;송상헌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745-768
    • /
    • 2010
  • 본 연구는 수준이 다른 여러 영재 집단의 소속 학생들이 도형수와 관련된 과제를 해결하고 창의적 산출물을 도출하는 가운데 그들의 수학적 사고력과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발휘할 수 있도록 수준별 수학 영재 교수 학습 자료를 개발하는 절차와 방법을 탐구해 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교수 학습 자료 개발의 준거와 절차 모형에 따라 도형수 과제의 교수 학습 자료의 원형과 실제적인 자료를 개발하고 그것을 현장 수업에 적용하면서 학생들의 다양한 해결과정을 분석하면서 그 자료의 문제점과 개선점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초등학교에서 집단의 수준별로 산출물 탐구가 가능한 도형수의 내용 범위를 설정해 보면서 차후 유사한 다른 수학 영재 교수 학습 자료 개발할 때 고려한 네 가지의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 PDF

Cabri II를 활용한 도형의 교수-학습 방안 - 반힐이론을 중심으로 - (A Teaching-Learning Method of Figures Using Cabri II - Focused on the theory of van Hiele -)

  • 최수정;표용수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2권1호
    • /
    • pp.165-181
    • /
    • 2000
  •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of figures using computers make loose the difficulties of geometry education from the viewpoint that the abstract figures can be visualized and that by means of this visualization the learning can be accomplished through the direct experience or control. In this thesis, we present a teaching-learning method of figures using Cabri II so that the learners establish their knowledge obtained through their search, investigation, supposition and they accomplish the positive transition to advanced 1earning. So the learners extend their ability of sensuous intuition to their ability of logical reasoning through their logical intuition.

  • PDF

수업컨설팅 및 식생활수업에 대한 가정과교사의 인식 조사 (A Survey of the Cognition on Teaching Consulting and Dietary Class of Home Economics Teachers)

  • 김윤화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18
    • /
    • 2013
  • 본 연구는 가정과교사의 수업컨설팅과 식생활 수업에 대한 인식 조사를 위하여 가정과교사 139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로 실시되었다. 수업공개에 대하여 62.6%의 교사가 부담을 많이 갖는다고 응답하였고, 자신의 수업에 대해서 만족하고 있는 교사는 29.5% 뿐이었다. 수업컨설팅을 받아본 경험이 있는 교사는 56명(40.3%)이었으며, 받아본 적도 해준 적도 없는 교사는 48명(34.5%)으로 30대와 50대 이상의 수업컨설팅 비율이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대부분의 가정과교사가 수업의 질 향상을 위해서 수업컨설팅이 필요하다고 하였고(65명, 46.8%), 수업컨설팅의 기회가 주어진다면 받고 싶다고 응답한 교사가 78명(46.1%), 보통이다 46명(33.1%)으로 대부분의 가정과교사는 수업컨설팅에 대해 긍정적인 자세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컨설팅을 받고 싶은 사람은 106명(76.3%)의 교사가 전문적 지식과 경험을 가진 동료교사에 의한 컨설팅을 원하였다. 식생활 수업에서 주로 사용하는 교수매체는 시청각자료가 가장 많았고(47.5%), 개인차에 대한 피드백은 학생의 반응관찰로 가장 많이 실시되고 있었으며(73.4%), 강의식 수업이 58.3%로 가장 많이 실시되는 수업형태로 조사되었다. 식생활수업 진행 시 갖는 어려움의 정도는 2.60/5.00점이었으나 개인차를 고려한 수업진행의 어려움이 3.26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학생참여 유도(3.11점), 적절한 교수매체 선정(2.88점), 매체 제작(2.88점), 교사 및 학생활동 계획(2.85점) 순이었다. 따라서 자신의 수업에 대한 만족감을 높이고, 수업공개에 대한 부담을 줄이며, 사회적 요구가 증가하고 있는 식생활교육에서 가정과교사의 선도적인 역할을 위해서 가정과교사는 수업반성, 자기장학, 수업컨설팅을 통하여 자신의 수업을 정확하게 분석하고, 끊임없는 훈련과 노력으로 식생활 수업역량을 강화하여 학교 식생활교육을 선도적으로 이끌어 가야 할 것이다.

  • PDF

보육교사의 효능감과 교사역할수행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efficacy belief and role performance of childcare teachers)

  • 김현지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45-53
    • /
    • 2006
  •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efficacy belief and role performance of childcare teachers, and also to utilize the results as the basic data for teacher education. The subjects were 205 teachers at 48 childcare centers located in Jeonlabuk-do area. The instruments employed included efficacy belief, teachers' role performance, experiences, and age. The data were analyzed by t-test, Pearson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ole of child carer was the vest performance through childcare teachers' role. Second, the role of instructor, counselor, researcher, and other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ypes of childcare institution. Third, the social position of ability and personal teaching efficacy belief were correlated positively with teachers' experience. The activeness, the social position of ability, general teaching efficacy belief, personal teaching efficacy belief, and the role of child carer, instructor, counselor, researcher, and others were correlated positively with teachers' age. Fourth, the role of child carer, instructor, counselor, researcher, and others was correlated positively with the activeness and the social position of ability, whereas it was correlated negatively with failure anxiety. Lastly, the activeness was the most powerful variable influencing teachers' role performance.

  • PDF

짝 프로그래밍 학습방법이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air Programming on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and Efficiency)

  • 김정랑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21-28
    • /
    • 2016
  •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의해 프로그래밍 교육이 초등학교 교과에 반영됨에 따라 프로그래밍 교육에 대한 교수학습방법과 관련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짝 프로그래밍 학습방법을 적용하여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학습방법을 적용한 결과 기존의 강의식 교수법으로 수업했을 때보다 짝 프로그래밍 학습방법으로 수업했을 때 창의적 문제해결력에서 효과가 있었고 그 하위 요소 중 비판적 논리적 사고력에서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짝 프로그래밍 학습방법을 적용했을 때 완성된 프로그램의 효율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으며 남녀 사이의 격차를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