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er support

검색결과 745건 처리시간 0.032초

과학영재아동의 적응, 자기지각, 사회적 지지 및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cience-gifted Children's Adjustment, Self-Perception, Social Support, and Stress)

  • 이국행;이영환;김현지
    • 영재교육연구
    • /
    • 제13권2호
    • /
    • pp.73-94
    • /
    • 2003
  • 본 연구는 과학영재아동의 개인 및 일상생활에서의 적응수준, 성별에 따른 적응, 자기지각 및 사회적 지지의 차이를 파악하며, 스트레스와 적응과의 관계와 그들의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지각 및 사회적 지지 수준을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연구결과로는 첫째, 과학영재아동의 개인적응, 사회적응, 자기지각과 교사지지는 일반아동의 이러한 능력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적응, 부모지지, 친구지지는 과학영재아동이 일반아동보다 낮게 나타났다. 둘째, 과학영재아동의 자기기획, 편견, 사회적 역량, 행동품행역 량, 자아가치감, 부모지지, 교사지지, 학교친구지지는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과학영재아동의 성취동기, 자기기획, 애착 및 사회적 긍정성은 스트레스와 유의미한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과학영재아동의 사회적 역량, 운동역량, 신체외모역량, 행동품행역량, 자아가치감 및 사회적 지지와 스트레스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영재아동의 자아가치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교사지지($\beta$=.26), 친한친구지지($\beta$=.25), 부모지지($\beta$=.21), 학교친구지지($\beta$=.21)순이고 이들의 설명력은 41%이었다. 또한 과학영재아동의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부모지지($\beta$=-.32),친한친구지지($\beta$=-.28), 자아가치감($\beta$=-.28)순이고 이중 부모지지가 가장 예측력이 큰 변인이었으며, 이들의 설명력은 38%이었다.

아동의 사회적지지 척도의 개발 (Development of the Children's Social Support Scale)

  • 김명숙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37-47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Children's Social Support Scale to assess three potential aspects of social support in elementary school age children ; the children's subjective apprasials of family, peer, and teacher support ; the frequency of supportive behaviors available from the child's support network; and the size of children's social support network.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80 children of forth and six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eoul. The 68 items(perceived support scale 30 items, enacted support scale 35 items, and support network 3 items) were analyzed by the statistical methods of item analysis, principal factor analysis, Factor analysis revealed that a three factor solution was the best for the Perceived Support scale ; family peer, teacher support. Enacted Support scale comprised of three factors; emotional, self-esteem, and informational support. Support Network scale was composed of emotional, self-esteem, and informational support network. Reliabilities for the domains ranged form .75-89. It was concluded that the children's Social Support scale in general is acceptable for use in Korea.

  • PDF

시설 보호 아동의 기질과 사회적 지지가 희망에 미치는 영향 (Temperament and Social Support in Relation to Hope of Institutionalized Children)

  • 임정하;문지윤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63-80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시설 보호 아동이 지각한 희망의 일반적 경향을 살펴보고, 아동의 기질과 사회적 지지가 희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서울 소재 아동복지양육시설에서 생활하고 있는 초등학교 고학년생 198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일반적 특성과 기, 사회적 지지, 희망에 대해 자기보고식 질문지를 이용해 평가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신뢰도 분석, t 검증, 단순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시설 보호 아동이 지각한 희망은 중간 수준 이상으로 나타났고, 아동의 성에 따라 차이가 없었지만, 아동의 나이가 많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둘째, 시설 보호 아동의 나이가 많을수록, 친구, 시설가족, 학교교사의 지지를 많이 받을수록 희망이 높게 나타났으며, 아동의 기질은 희망에 의미있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동기적 측면인 희망주도에는 친구의 지지가, 수단적 측면인 희망경로에는 시설가족과 학교교사의 지지가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미쳤다.

장애 유아 통합보육을 위한 교사 지원이 어린이집 교사의 교사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eacher Support Program for the Integration of Handicapped Children on Teaching Efficacy of Daycare Center Teachers)

  • 박나리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47-265
    • /
    • 2018
  • 본 연구는 장애 유아 통합보육을 위한 교사 지원이 어린이집 교사의 교사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에는 서울과 경기 지역 4개 어린이집 12명의 어린이집 교사가 실험 집단에 선정되었고, 5개 어린이집 12명의 교사가 통제 집단에 선정되었다. 교사 지원은 교사 교육과 현장 관찰 및 자문, 온라인 자문을 통해 실시되었다. 교사 교육은 집단 교육을 통해 발달 영역의 이해, 교육과정 수정, 활동중심삽입교수, 협동 학습, 직접 교수, 장애 이해 교육, 행동 지원, 가족 지원 등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고, 개별 교육을 통해 각 교사들의 장애유아 통합보육의 요구를 반영한 장애유아 보육의 실제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고 자문을 제공하였다. 실험집단 어린이집 당 10회씩 현장 관찰 및 자문을 실시하였고, 이메일과 핸드폰 자문을 통해 교사들의 수업을 지원 하였다. 교사의 교사 효능감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사전-사후 검사 통제 집단 설계를 적용하였으며, 장애 통합에 대한 일반 교사의 교사 효능감 척도(Teachers' Efficacy in Inclusive Practices: TEIP)로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의 분석을 위해 두 집단 간 교사 효능감의 사전-사후 검사 간 차에 대해 두 독립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고, 결과 두 집단 간 교사 효능감과 하위 영역인 통합교육 효능감, 협력 효능감, 행동관리 효능감의 사전 사후 변화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장애 유아 통합보육 현장에서 즉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하고, 어린이집 교사들의 통합보육 전문성을 향상시키고, 교사들의 실제적 요구에 반응적이고, 장애 유아 통합의 다양한 변인을 반영하고, 참여자들 간의 대등한 협력적 관계를 강조한 교사 지원을 제공한 점이 연구 결과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 결과는 장애 유아 통합보육 지원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현장의 실질적인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내재적 학습동기가 국어수행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Effect of Intrinsic Learning Motivation on Korean Language Performanc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 김혜경;정은경
    • 한국심리학회지 : 코칭
    • /
    • 제6권2호
    • /
    • pp.75-92
    • /
    • 2022
  • 내재적 학습동기와 사회적 지지가 아동 청소년의 적응과 학업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연구는 다수 존재한다. 그러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실제 학업적 수행을 측정하여 내재적 학습동기와 사회적 지지의 영향을 살펴본 연구는 드문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들에게 내재적 학습동기가 국어수행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지방 군단위 지역의 초등학교 5, 6학년 122명을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내재적 학습동기와 가족 및 교사의 사회적 지지가 측정되고 약 5개월 후 국어시험이 실시되었다. 연구 결과, 국어수행은 내재적 학습동기, 사회적 지지와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고, 학습동기화와 사회적 지지간에도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냈다. 통제변인을 넣고 분석한 회귀분석에서도 내재적 학습동기는 국어수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는 다중가산조절모델을 통해 가족 지지와 교사 지지로 나누어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 학습동기화와 가족 지지의 상호작용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으나 교사 지지는 상호작용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 지지의 수준에 따른 단순회귀선의 유의성 검증 결과 교사 지지가 높을 때는 학생의 학습동기 수준과 관계없이 국어수행이 높게 나타났으나 교사 지지가 낮은 수준일 때는 학생의 학습동기에 따라 가파른 기울기를 보이며 국어수행의 변화가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 제한점,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예비보육교사의 행동특성이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Pre-Service Child Care Teachers' Behavioral Characteristics on Self-Efficacy :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 설희정;문혁준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1권6호
    • /
    • pp.113-123
    • /
    • 2013
  • This investigation studied 1)the correlations among pre-service child care teachers' behavioral characteristics,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and 2)the mediating effects of pre-service child care teachers'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social support on self-efficacy. The subjects were 240 pre-service child care teachers working at S-center for nursery teacher education or I-center for nursery teacher education in the Incheon area.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s among pre-service child care teachers' behavioral characteristics,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were examined by showing correlations. Second, we found that in terms of the mediating role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ervice child care teachers'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self-efficacy, type D and type S show self-efficacy; they also have a direct impact on the social support indirectly affected through. Thus, social support can be seen as having a partial mediating effect.

교실목표 및 수업환경 지각과 도움요청 행동의 관계 (Teachers' Goal Orientation and Support for Seeking Help as Predictors of Academic Help-Seeking Behaviors)

  • 조준수
    • 아동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57-270
    • /
    • 2001
  •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relation between academic help-seeking behaviors and classroom context based on students' perceptions of various classroom goals stressed by their teachers and their perceived teacher support for seeking help. The 305 subjects were 5th grade students(162 boys and 143 girls) of an elementary school in Gwangyang. The students completed a questionnaire. Data were analyzed by $2{\times}2$ ANOVA.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help-seeking behaviors were influenced by their teachers' goal orientation and perceived teacher support for seeking help.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perceived teacher support for seeking help may be expecially important for some students who could use instrumental help to continue task engagement, and teachers' learning-focused goal orientation is an important variable of instrumental help-seeking behavior.

  • PDF

부모의 이혼여부 및 아동의 연령에 따른 아동의 사회적 지지 지각과 내면화 문제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Internalizing Problems of Children from Divorced and Non-divorced Families)

  • 민미희;이순형;이옥경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3권11호
    • /
    • pp.109-125
    • /
    • 2005
  • This study identified which aspects of perceived social support influence children's internalizing problems. The participants were 91 children from divorced families and 87 children from non-divorced families. They completed a questionnaire assessing the level of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their teacher rated their internalizing problems(withdrawal, depression/anxiety) on K-CBCL scale. Sixth graders from non-divorced families perceived evaluative support higher than sixth graders from divorced families. In withdrawal, third graders from divorced families were rated higher than preschooler and sixth graders by their teacher. In depression/anxiety, third graders from divorced families were rated higher than sixth graders by their teacher. Internalizing problems of children from divorced families were affected by their perceived emotional support. Namely, children from divorced families who perceived less emotional support experienced more withdrawal and depression/anxiety.

어린이집 보육환경이 보육교사의 보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Child Care Environment on Child Care Efficacy of Child Care Teachers)

  • 김정화;김갑순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137-152
    • /
    • 2018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childcare environment on childcare efficacy of childcare teachers.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274 childcare teachers working at childcare centers. The childcare environment was divided into physical environment and the work support environment.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hildcare efficacy depending on the age and career of the childcare teacher. Second, the childcare environment of the childcare center showed a static correlation with the childcare efficacy of the childcare teacher in both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the work support environment. Third, the physical environment of the day care center had an affect on child care efficacy. Among the subfactors, furniture for routine care, play and learning had a significant impact. Fourth, the work support environment of the childcare center had an affect on childcare efficacy of the childcare teacher. Among the subfactors, staff interaction and cooperation, and opportunities for professional growth had a significant impact. Conclusion/Implications: In order to enhance childcare efficacy of childcare teachers, a high quality childcare environment should be established.

사서교사의 직무탈진에 관한 혼합연구 - 직무열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A Mixed Methods Research on the Job Burnout of Teacher Librarians: Focused on Mediating Effects of Job Engagement)

  • 김수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255-283
    • /
    • 2019
  • 본 연구는 사서교사들의 직무탈진 양상과 수준을 파악하여 직무탈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도출하고, 도출된 요인들의 영향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정성적 연구를 위해 17명의 사서교사를 의도표집하여 2018년 9월 5일부터 10월 30일까지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심층면담 내용을 분석한 결과 사서교사의 직무탈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소속감, 전문 직업 정체성, 전문성 강화 기회, 사서교사에 대한 평판, 사회적 지원, 직무열의가 중요한 요인임이 밝혀졌고 이를 사서교사의 직무 특수성이라고 정의하였다. 2018년 12월 5일부터 12월 7일까지 6명의 사서교사를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후 2018년 12월 20일부터 2019년 1월 3일까지 2주 동안 웹 질문지를 통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305부가 회수되었고 이는 모두 분석에 사용되었다. 정량적 연구 결과 첫째, 사서교사의 직무 특수성 중 직무탈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전문 직업 정체성, 사서교사에 대한 평판, 사회적 지원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서교사의 직무 특수성 중 직무열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소속감, 전문 직업 정체성, 사회적 지원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서교사의 직무 특수성과 직무탈진 관계에서 직무열의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전문 직업 정체성은 완전매개, 사회적 지원은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