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er Expertise Development

검색결과 65건 처리시간 0.032초

한국어 예비·경력·현지 교원을 위한 국외 파견 실습 프로그램 개발 연구 -2017 국립국어원 카자흐스탄 파견 실습 프로그램 개발을 중심으로- (Development of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overseas Korean language teachers of preservice career local milieu: focusing on 2017 Kazakhstan project by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 이동은;이수연
    • 한국어교육
    • /
    • 제29권2호
    • /
    • pp.101-123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a training program for overseas Korean language teachers focus on preservice teacher. This thesis based on the 2017 Korean Language (prospective) Teacher Overseas Dispatch and Practical Training Assistance Project (Almaty, Kazakhstan region). The present task established prospective teachers, career teachers, and local teachers as the targets of each assignment. We focused on developing a program that could match each of these characteristics. For prospective teachers, the program was designed and conducted with the goal of "improving real expertise through practical training," whereas for career teachers the program was developed with the goal of "improving leadership" and "retraining teachers" by focusing on their abilities as middle managers to build and maintain foreign and domestic networks. For local teachers, the goal was to provide "retraining as Korean language teacher certification". The limitations of those unable to attend domestic meetings were alleviated through training, workshops, and meetings, and a program was developed for real education practical training. For prospective teachers and career teachers in particular, the program was designed to center on a system of collaboration in which classes based on international Project Based Learning(iPBL) were conducted, and groups prepared practical training and practice modules.

사서교사의 자아상 검사 도구 개발과 자아상 분석 (Th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Measurement Tool and Analysis of Self Images for Teacher Librarians)

  • 변우열;이병기;송기호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31-47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의미변별법을 이용한 사서교사의 자아상 검사 도구를 개발하고, 사서교사의 자아상을 측정하여 개인별 특성과 자아상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사서교사의 자아상 측정 결과 사서교사는 스스로를 '친절하고 계획적이며 섬세하고 협조적일 뿐만 아니라 분별력을 갖춘 사람'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으로는 '불공평하고 초라하며 영향력이 없을 뿐만 아니라 무시당하고 비활동적'이라는 부정적인 자아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서교사의 배경 변인 중에서는 교육경력이 평가영역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선배 사서교사의 조언자 내지는 리더로서의 역할 수행이 매우 중요함을 보여준다. 선배 사서교사와 후배 사서교사의 교류와 협력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한국도서관협회나 한국학교도서관협의회의 중재자로서의 역할이 강화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사서교사 배치를 의무화하여 직업적 안정감과 성취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하고, 학교도서관의 인적자원 간 명확한 역할 구분을 통해서 전문성을 인정할 필요가 있다.

수학 수업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사의 자기연구와 실천 사례 (Exploring Self-Study and Its Application to Enhance Instructional Expertise in Mathematics)

  • 박영은;방정숙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6권3호
    • /
    • pp.467-488
    • /
    • 2016
  • 본 연구는 수학 수업 전문성을 신장하기 위한 방법으로 교사의 자기연구를 소개하고 그에 따른 연구 사례를 밝히고자 하였다. 먼저, 자기연구의 개념과 특성, 방법을 소개하고 교사 주도적인 전문성 신장 방법으로써 자기연구의 유용성을 논의하였다. 다음으로, 교사들이 수학수업의 전문성을 신장하기 위해 활용할 수 있는 자기연구 실천 매뉴얼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자기연구 실천 매뉴얼을 따라 수학 수업에 대한 자기연구를 실천한 초등학교 교사의 사례를 통하여 변화 과정을 살펴보았다. 이를 토대로 자기연구를 실천하려는 교사들에게 필요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학습공동체에 참여한 수학교사의 정체성 형성 과정에 대한 사례연구: 실천공동체 이론을 중심으로 (Case study on identity development of mathematics teachers involved in learning community: Based on the theory of "Community of Practice")

  • 윤정은;권오남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8권1호
    • /
    • pp.1-26
    • /
    • 2024
  • 수학 수업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교사 연수 및 개별적인 노력의 한계가 보고되며, 대안적인 교사 전문성 체제로 학습공동체가 주목받고 있다. 학습공동체는 공동 목표를 바탕으로 상호 참여를 통해 수학 교과 내용, 교육학, 교육과정에 대한 레퍼토리를 형성하는 하나의 실천공동체(Community of Practice, CoP)이고, 따라서 교사들의 학습은 실천공동체 이론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고등학교 교사 학습공동체에 참여한 수학교사들의 정체성 형성 과정을 실천공동체 이론을 중심으로 탐색하였다. 성찰 저널, 협의록, 수업 영상 전사본의 귀납적 분석을 통해 수학교사들의 학습공동체 참여 경험을 도출하였고, 참여 관찰 기록지를 토대로 개별 인터뷰를 진행한 후 이를 유형적으로 분석하여 각 수학교사의 정체성 형성 과정을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수학교사는 학습공동체 참여를 통해 수학 교수·학습에 관한 실천 형성, 지속적인 반성과 성찰을 통한 교수 실행 개선, 공동체 몰입을 통한 함께의 가치 인식을 경험했고, 이 경험을 바탕으로 주변적 궤적, 내부지향 궤적, 내부자 궤적, 경계적 궤적, 외부지향 궤적 등을 보이며 다양하게 정체성을 형성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학습공동체의 효과적 운영을 위한 시사점이 논의되었고 후속 연구가 제안되었다.

융합 인재 교육(STEAM) 연수를 통해 교수.학습 자료 개발 및 현장적용을 경험한 초등교사들의 인식 조사 (Primary Teachers' Perception Analysis on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TEAM Education Program)

  • 이지원;박혜정;김중복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2권1호
    • /
    • pp.47-59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about STEAM education of primary teachers who have developed and applied STEAM education to their students through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this study, 101 among 172 attendance are responded to questionnaire of three categories consisting of development and application teaching material for STEAM instruction, and spreading STEAM education.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when primary teachers develop materials for STEAM education, they consider applicabilities in real classes. Second, they feel the burden of time when they develop STEAM material. Third, they think that their own program has significant educational effectiveness and that students enjoyed the program. Especially, they think that STEAM education program can raise students' interest about learning. Fourth, primary teachers point out the constraints for application of STEAM education program, which are lack of expertise and difficulty acquiring class time. Fifth, primary teachers evaluate the effect of STEAM education program on primary education is positive, and they answer that we need many teaching materials for STEAM education, operating as a regular curriculum, and securing budget. In order to spread STEAM education in field of primary education successfully, administrators have to consider and reflect the voice of teachers.

예비 과학 교사들의 고등학교 과학반 지도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예비 교사들이 형성하는 지식의 종류와 특징 (Narrative Inquiry on Student-Teachers' Teaching Experiences with Extra Curricular Science Classes of a High School: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Knowledge Constructed by th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 오필석;이선경;이경호;김찬종;김희백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546-564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26명의 예비 중등 과학 교사들의 고등학교 과학반 수업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를 분석하여 그들이 형성하는 지식의 종류와 특징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예비 과학 교사들은 과학반 지도 경험을 계기로 교과 내용 지식의 중요성에 대해 자각하고 이를 스스로 학습할 뿐만 아니라, 가르치는 상황에서 그들의 교과 내용 지식은 과학 내용을 교수법적으로 전환하는 문제에까지 이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들은 또 학생들과의 관계에 관한 지식과 학생들의 학습을 위한 교수법적 지식을 몸소 체득하였고, 새로운 수업의 맥락에서 과학의 본성을 새삼 발견하였다. 이와 더불어 예비교사들은 실제 교육 경험을 통해 교사로서의 자아에 관한 지식과 장차 과학 교육 현장에서의 교육적인 실천에 관련된 지식을 형성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렇게 실제적인 지도 경험을 통해 예비 교사들이 형성하는 지식은 교사로서의 전문성을 계발하기 위한 토대가 될 수 있다고 생각되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 과정과 결과로부터 얻을 수 있는 과학 교사 교육 및 관련 연구에 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유아 언어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요구 - 유아 언어교육의 목적, 내용, 방법, 평가 및 요구를 중심으로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tion and demand on children's language education - focused on purpose, contents, method, evaluation and the required facts of children's language education)

  • 윤진주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1083-1095
    • /
    • 2007
  • This study had been done to investigate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tion and demand on children's language education and 20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interviewed individually who work at state-owned/ public-owned/ private-owned kindergardens residing G, I, and K cities in Jeollabuk-do. First, the purpose of language education was recognized on the formations of essence, concept, expertise, technique and attitude toward language. Second, the contents of language education must be selected by children's experience that they encounter in ordinary life based on oral language and written language. Besides, early childhood teachers strongly felt the necessity of new contents of language education, although they thought of insufficiency of their knowledge on the issue. Third, the method of language education was mainly accomplished by teaching material and objects. Besides, they were aware of looking for new organized teaching methods and also concerned of the importances of teacher's attitude and group formation method. Fourth, the evaluation of language education must be acquired by desirable evaluation method that was based on the recognition of children's unrealistic language capabilities, even though they had recognized the difficulty to do because of knowledge insufficiency. They also showed the tendency of negligence on the evaluation of language education. Fifth, the required facts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on language education were development and supply of teaching materials, demand on teacher's education and appropriate evaluation method, and cognitive changes on language education by public toward the written language.

분수의 나눗셈 수업에 대한 초등교사의 노티싱 특징 분석 (An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n elementary teachers' noticing in fraction division lessons)

  • 선우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7권1호
    • /
    • pp.1-18
    • /
    • 2024
  • 교사의 노티싱 역량은 교사의 수업 전문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로서 다양하게 연구되었다. 그러나 수학 교사 교육 연구에서는 주로 예비교사의 노티싱을 조사한 사례가 많은 반면에 전문성을 갖춘 현직교사의 노티싱에 대한 연구는 드물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문성을 갖춘 현직 초등교사들의 노티싱 특징을 분석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대학원에서 초등수학교육 전공 강의를 수강하는 초등교사 23인에게 (진분수)÷(자연수)의 원리를 지도하는 수학 수업 영상 한 차시를 시청하며 분석지를 작성하게 했고, 그 결과를 주목하기, 해석하기, 반응하기의 측면으로 자세히 분석했다. 연구 결과, 대다수의 교사들은 분수의 나눗셈 수업에서 수학적으로 중요한 측면을 선택적으로 주목하였고, 분수의 나눗셈 지도에 대한 교수·학습 원리를 토대로 자신이 주목한 현상을 해석할 수 있었으며, 나아가 구체적인 교수학적 대안을 제시하기도 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현직교사의 노티싱 신장을 위한 구체적인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CoRe를 활용한 교육실습이 예비 교사들의 PCK 개발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Practice Teaching Utilizing Content Representation on the Development of Student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 정유정;이경희;최병순
    • 대한화학회지
    • /
    • 제59권6호
    • /
    • pp.520-532
    • /
    • 2015
  • 이 연구의 목적은 CoRe를 활용한 교육실습 수업지도 과정에서 어떠한 내용의 지도가 이루어지며, 이 과정에서 CoRe의 역할과 그것이 예비교사들의 전문성 개발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지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이 연구는 질적 사례연구로, 1명의 실습 지도교사와 2명의 예비교사의 CoRe 논의과정, 예비교사가 진행하는 수업의 관찰, 면담 등의 자료를 수집하여 귀납적으로 분석하였다. CoRe를 바탕으로 한 논의과정에서 예비교사들은 자신의 오개념을 확인하고 개념을 명료화하였으며, 서로의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부족한 지식을 보완하며, 새로운 전략을 구성해나갔다. 지도교사는 자신의 구성주의적 교수 지향을 기반으로 자신의 교수 경험을 전달하였다. 이 과정에서 CoRe는 예비교사들에게 지도교사의 지도 과정을 안내하는 역할, 지도교사의 PCK를 드러내도록 도와주는 역할, 논의과정에서 그들의 대화를 도와주는 도구로서의 역할을 하여 교육실습에서 지도교사의 수업지도를 도와주는 유용한 틀임을 확인하였다. 예비교사들은 CoRe 작성과정을 통해 수업 준비를 위한 유용한 틀을 제공받았고, 수업계획 단계에서 지도교사와 함께 CoRe를 개발하면서 교과 내용 지식과 교육과정 지식, 학생의 이해에 대한 지식을 포함하는 PCK 신장에 긍정적 영향을 받았다. 또한, PCK의 구성요소를 이해하고 학생과 교수활동, 과학 교사로서의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 변화를 경험하였다.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교수내용지식, 교수효능감과 교사의 태도 간의 구조분석 (The Structural Model Analysis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eaching Efficacy and Teacher's Attitude for Childhood Music Education)

  • 김지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270-278
    • /
    • 2018
  • 본 연구는 유아 교사의 음악교육을 위한 음악교수내용지식과 음악교수효능감, 음악교육에 대한 교사의 태도 사이에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 하고자 하였으며, 검증을 위해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유아 교사 132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통계적 분석은 SPSS와 AMOS를 사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연구모형에 대한 적합도는 적절하였으며, 유아교사의 음악교수내용지식과 음악교수효능감, 음악교육에 대한 교사의 태도 변수 사이의 인과관계를 명확하게 확인하였다. 첫째, 유아 교사의 음악 교수내용지식은 음악교육에 대한 교사의 태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 교사의 음악 교수내용지식은 유아 교사의 음악교육에 대한 교수효능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 교사의 음악 교수내용지식은 음악교육에 대한 교사의 태도에 음악교수효능감을 매개로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매개 효과는 부분매개 효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의 음악적 발달을 위한 유아 교사의 전문성 강화에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특히, 유아 교사의 음악교수내용지식 변수가 유아들의 음악교육에서 매우 중요한 변수임을 확인할 수 있다.